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지현-
dc.contributor.authorSUBPRASOB, PIYAPORN-
dc.creatorSUBPRASOB, PIYAPORN-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2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2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38-
dc.description.abstractIn today’s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ntercultural sensitivity plays an essential role and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ally different employees, as Intercultural sensitivity is a person’s perspective and capability that assists to communicate and work successfully with culturally different people. This study is conducted as an exploratory research to investigate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Thai-Korean encounters and employees’ job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and has two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es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Thai-Korean Encounters affect employees’ job performance? 2. Does Job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Thai-Korean Encounters and Employees’ job performance? The instrument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include 4 parts: demographic survey, intercultural sensitivity questionnaires, job satisfaction,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was distributed online to 250 Thai employees who are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working with Korean employees in the Thai, Korean, or Foreign organizations both in Thailand and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v.25) and the results were relevant to four hypotheses. Firstly, the overal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ai employees who are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working with Korean employees in the workplace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wo of four subcomponent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teraction engagement and Interaction confid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of Thai employees. Secondly, the overall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Thai employees who are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working with Korean employees in the workplace affected their job performance and only one of four subcomponent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teraction engage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performance of Thai employees. Thirdly, Job satisfaction of Thai employees who are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working with Korean employees in the workplace affected their job performance. And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Job performance relationship in Thai employees who are either currently or in the past working with Korean employees in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multicultural companies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also give guidance to conduct Intercultural training programs in the workplace. For the academic purpos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Thai-Korean Encounters in the workplace, which lacks of literatures are found.;문화간 감수성은 한 개인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방식으로서 오늘날의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문화간 감수성이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문화적으로 다른 고용인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고용인의 업무 수행과 직무 만족도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태국인-한국인 사이의 면대면 의사소통에 관한 문화간 감수성과 직장 내 고용인의 업무 수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탐구적 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두 가지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태국인-한국인 사이의 면대면 의사소통에 관한 문화간 감수성이 고용인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직업 만족도는 태국인-한국인 사이의 면대면 의사소통에 관한 문화간 감수성과 고용인의 업무 수행 사이의 관계를 중재할 수 있는가? 이 연구의 수단 및 질문 사항은 네 가지 부분–인구통계 조사, 문화간 감수성 설문지, 직업 만족도, 고용인의 업무 수행– 을 포함한다. 현재 또는 과거에 태국과 한국의 기관 혹은 태국과 한국에 위치한 외국 기관에서 한국인 고용인들과 함께 일한 250명의 태국 고용인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배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와 네 가지의 가설과 관련된 결과들을 분석하는데 SPSS(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v.25)을 사용하였다. 첫째로, 현재 혹은 과거에 직장 내에서 한국인 고용인들과 근무한 태국 고용인들의 전반적인 문화간 감수성은 그들의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문화간 감수성의 하위 구성요소 네 가지 중 두 가지인 상호작용 참여와 상호작용 자신은 태국 고용인의 직업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번째로, 현재 혹은 과거에 직장 내에서 한국인 고용인들과 근무한 태국 고용인들의 전반적인 문화간 감수성은 그들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문화간 감수성의 하위 구성요소 네 가지 중 한 가지의 요소인 상호작용 자신만이 태국 고용인의 업무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세번째로, 현재 혹은 과거에 직장 내에서 한국인 고용인들과 근무한 태국 고용인들의 직업 만족도는 그들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재 혹은 과거에 직장 내에서 한국인 고용인들과 근무한 태국 고용인들의 문화간 감수성과 업무 수행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직업 만족도의 부분적인 중재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연구는 고용인의 업무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문화 회사들에 시사점과 제안을 제공하며, 또한 직장 내 태국인-한국인 사이의 면대면 의사소통에 관한 문화간 감수성 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적 목적으로는 이 연구가 문화간 의사소통 연구와 관련 문헌이 부족한 직장 내 태국인-한국인 면대면 의사소통에 관한 문화간 감수성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Needs for the study 1 B. Research objectives 3 C. Research hypothesis 3 D. Definitions of key terms 4 II. Literature review 5 A.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5 B.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Job performance 8 C.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Job satisfaction 9 D.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12 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15 III. Research method 18 A. Participants 18 B. Research model and instrument 20 C. Research procedures 24 IV. Results 26 A. Pilot test results 26 B. Main study results 28 1. The participants 28 2. The instruments 30 3. The hypothesis testing 36 4. Discussion of the testing 47 V. Conclusion 54 A. Summary and discussion 54 B.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58 Bibliography 61 Appendix A. Survey Questionnaire (Thai) 71 Abstract (In Korean)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6015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Intercultural Sensitivity on Employees’ Job Performance-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 case of Thai-Korean Encounters in the Workplace-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