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and Facilitator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Titl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and Facilitator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Authors
문수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A number of changes in terms of inter-Korean relations took place in 2018. Three inter-Korean summits were held, and inter-Korean exchanges became an increasing trend not only in the government level but also in the private sector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to establish smooth inter-Korean relations. Althoug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came from the same root, Korean people, they have been living in different environments for 70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which led to cultural gap between the two nations. As a result, they cannot be regarded a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ultural background. This was confirmed by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refugees’ adaptation difficulties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language differences.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is to present proposals for smooth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in order to prepare for further inter-Korean exchanges and the era of unific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ical studies on North Korean refugees’ difficulties while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due to language problem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that present and analyz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y had experienced. Therefore, by analyzing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that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have experienced while communicating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derive failure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m.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ritical incident techniques. As research participants, 11 North Korean refugees and 11 South Koreans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South Korean participants have had continuous interactions with North Korean refugees for at least two to 18 years. In-depth interview with 22 participants was conducted and all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Thirteen main factors were diagnosed regar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1) North Korean refugee's language barriers; (2) rejection behaviors; (3) stereotypes; (4) perception differences; (5) South Korean’s emphasis on differences; (6) communication style differences; (7) life style differences; (8) educational background difference; (9) age gap; (10) reciprocal indifference; (11) South Korean's lack of knowledge on North Korea; (12) South Korean's ethnocentrism; and (13) limited conversation topic. The following nine factors regar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were diagnosed: (1) having mutual interest; (2) showing consideration; (3) having a genuine attitude; (4) overcoming language barriers; (5) understanding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6) South Korean's acceptance attitude; (7) North Korean refugee's learning South Korean culture & system; (8) North Korean refugee's having a confident attitude about one's origin; and (9) North Korean refugee's de-emphasizing difference. As for suggestions to help better communications each other, eight categor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six categories to South Koreans were derived. Sugges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o North Korean refugees were (1) learning South Korean culture & system; (2) learning languages & South Korean communication style; (3) having a genuine attitude; (4) having a confident attitude about one's origin; (5) understanding different perceptions; (6) adapting different life style; (7) having an acceptance attitude; and (8) reading books. Suggestions to South Koreans for better communication were (1) having a genuine attitude; (2) having an acceptance attitude; (3) showing consideration; (4) learning North Korean language & communication style; (5) learning North Korean culture & system; and (6) de-emphasizing difference.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It suggests failure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perceived by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respectively and provides better communication skills in both parties in their own lives. Therefore,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es in future regarding studies in specific situations or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and South Koreans. For research participants, there were no limitations on age, gender and occupation, except for North Korean refugees’ origin and South Koreans’ communication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refuge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be aimed at deriving demographic subdivision on the same subject. Another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is to conduct a research of the impact of revealing North Korean refugees' origins while interacting with South Koreans. In this study, majority of research participants mentioned that conversation went well when North Korean refugee had a confident attitude toward one's origin, but one claimed that communication went smoothly when she did not disclose her North Korea origin at the work pla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revealing North Korean refugee's origin while interacting with South Koreans in future researches. The number of commun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predicted to increase considering current improved inter-Korean rela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anguage barriers are not the only factors that made communication difficult, but also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s had a negative impact on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made not only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oint of view.;2018년에 들어 남북 관계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며, 남북 교류는 정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측면에서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원만한 남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남한사람과 북한사람은 비록 ‘한민족’ 이라는 같은 뿌리에서 비롯되었지만, 분단 이후 70 년 동안 서로 다른 환경에서 생활함에 따라 문화적 차이가 발생했고, 따라서 동일한 문화적 배경을 가졌다고 간주될 수 없다. 이는 문화와 언어 차이로 인한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의해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위한 제안을 함으로써, 남북한 교류와 통일시대를 준비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를 수치상으로 제시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그들이 경험한 상황을 제시하며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의 부정적인 혹은 긍정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분석하여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결정적 사건 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이다. 눈덩이 표본 추출(Snowball Sampling)을 통해 11명의 북한이탈주민과 11명의 남한주민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남한주민들은 최소 2년에서 18년 동안 북한이탈주민(들)과 지속적인 교류 경험이 있었다. 22명과의 심층적인 인터뷰가 수행되었고 모든 인터뷰 내용은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들은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통해 분석되었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장벽에 관한 13 가지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1)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장벽, (2) 거절 행동, (3) 고정관념, (4) 인식 차이, (5)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주민과 다름에 대한 강조, (6) 대화방식 차이, (7) 생활방식 차이, (8) 교육 배경 차이, (9) 연령 차이, (10) 상호간의 무관심, (11) 남한주민의 북한에 대한 지식 부족, (12) 남한주민의 자기민족중심주의, (13) 제한된 대화주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9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1) 상호간 관심을 가짐, (2) 배려를 보임, (3) 진정성 있는 태도를 취함, (4) 언어장벽 극복, (7) 북한이탈주민의 남한문화 및 시스템 학습, (8) 북한이탈주민의 출신에 대한 자신감, (9)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차이점을 부각시키지 않음. 상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제안으로는 북한이탈주민에게 8 가지, 남한주민에게 6 가지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주민에게 하는 제안은: (1) 남한의 문화와 시스템 학습, (2) 언어 학습 및 남한의 대화 방식 학습, (3) 진정성 있는 태도를 취함, (4) 출신에 대한 자신감 있는 태도, (5) 인식 차이를 이해, (6) 다른 생활 양식을 받아들이는 것, (7) 수용 태도를 갖는 것, (8) 독서. 남한주민에게 하는 제안은: (1) 진정성 있는 태도를 취함, (2) 수용 태도를 갖는 것, (3) 배려를 보임, (4) 북한 언어 및 대화 방식 학습, (5) 북한의 문화와 시스템 학습, (6) 북한이탈주민의 차이를 부각시키지 않음.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이 각각 인식하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제시하고 양 당사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을 대상으로 한 특정 상황이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출신과 남한주민의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의사소통 경험을 제외하고 나이, 성별, 직업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인구통계학적 제한을 둔 동일한 주제의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후속 연구에 대한 다른 제안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의 출신지 공개여부가 남한주민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대다수의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이탈주민이 자신의 출신에 대해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였을 때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었다고 말했지만 한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직장에서 북한 출신임을 밝히지 않았을 때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었다고 주장했다.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출신지 공개여부가 남한주민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현재의 개선된 남북 관계 상황으로 인해 남한과 북한 간의 의사소통은 계속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장벽이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유일한 요소가 아니며, 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향후 언어적 관점에서의 연구 뿐만 아니라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도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