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Korean Early-Study-Abroad (ESA) Returne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Workplace

Title
Korean Early-Study-Abroad (ESA) Returne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Workplace
Authors
도유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혜진
Abstract
2000년 이후 조기유학생의 숫자는 매년 큰 비율로 증가해왔다. 이는 한국인의 높은 교육열과 더불어, 국제어인 영어의 중요성이 세계화의 확산과 함께 증대해왔기 때문이다. 2010년 이후 조기유학생의 숫자는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해외 고등교육과정에 재학중인 학생의 숫자는 여전히 높은 숫자를 상회하고 있다.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유년기를 영어권 국가에서 보내고 독립적 자아의 성년으로 대학과정을 보낸 조기유학생은 이중언어(bilingual)사용자임과 동시에 한국과 유학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cultural identity)을 동시에 가진 정체성을 띄고 있다. 조기유학생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지만 기존연구의 경우, 대상자가 청소년기에 귀국한 학생을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모두 받은 조기유학생이 2000년도 후반에 두드러졌기 때문에 이들 집단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2000년대 이후 조기유학 열풍을 타고 유학을 갔던 상당수의 조기유학생들이 한국으로 귀국했으며 이들은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로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경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핵심인재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귀국자들이 문화적 차이 및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회사 내에서의 비유학파 한국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국인 및 교포와는 달리 조기유학 귀국자들은 외향적인 차이도 없고 한국말도 능숙하기 때문에 비유학파 한국인들의 경우 이들 귀국자들의 문화적 다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에도 익숙할 것이라고 여긴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귀국자들은 오해와 갈등으로 인해 회사에서의 소통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조기유학귀국자들의 이문화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파악하여 회사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학을 졸업한 조기유학 귀국자들의 의사소통의 특징, 문화적 차이로 인한 사내에서의 의사소통의 혼선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기유학 귀국자들이 알아두어야 할 요인들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유학 귀국자들의 이문화간 의사소통 특징을 알아보고 비유학파 한국인과의 업무 시 의사소통에서의 효율성과 개선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미국에서 청소년기 중등교육 과정을 경험하고 고등교육과정을 졸업한 한국인 조기유학 귀국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일대일 방식으로 직접면담 혹은 전화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인터뷰 전 기본 인적 사항을 조사한 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 비언어적,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조직문화의 범주가 생성되었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서는 제스처, 외모적 요소, 미국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하위 요소로 분류되었다.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서는 한국어 발음, 한국어 단어 사용, 능숙한 영어발음, 영어 단어의 사용, 한국적 문맥의 이해, 한국어 단어 사용의 미숙함, 직설적인 표현, 한국 관련 컨텐츠의 부족한 이해, 미국 관련 컨텐츠의 친숙함 등이 있었다. 조직문화에서는 강력한 서열 및 위계질서 문화, 직함명의 사용, 업무의 범주, 사생활의 범주 등이 있었다. 조기유학 귀국자들은 비언어적, 언어적 요소에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소통의 혼선은 한국과 미국간의 다른 조직문화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조기유학 귀국자들이 한국회사에서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적응을 위한 제언도 같이 첨가했다. 조언에는 일의 범주를 넓게 고려할 것, 업무종료 시 상사에게 보고할 것, 업무전달에 있어 다시 한번 확인할 것, 퇴근시간을 동료들과 맞출 것, 공통분모와 친밀감을 생성할 것, 한국식의 말과 제스처를 사용할 것, 인사를 잘할 것, 존댓말 사용, 중립적인 태도, 외국컨텐츠의 사용 지양, 사적인 대화의 범위를 넓힐 것 등이 포함되었다.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has become extremely importan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is, combined with Korean's fixation on education, led t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Korean early study abroad students between 2000 and 2010. Although that number began to decrease after 2010, as of 2017, the total number of Koreans studying abroad in higher education was over 130,000. ESA students spend the critical years of identity formation overseas. They also experience overseas’ higher education systems as independent adults. Therefore, ESA returnees are bilingual and share the cultural identity of both Korea and the country where they studied. Although studies have examined ESA students or returnees, researchers have primarily focused on ESA teenagers rather than ESA college graduates. Moreover, since the vast majority of ESA returnees who experienced bo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overseas did so beginning in the late 2000, few studies have considered this group. In addition, research regarding ESA returne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as been relatively limited. Numerous ESA students who left during the post-2000 study abroad fever have returned and, because they are proficient in both English and Korean and have international experience, multinational corporations located in Korea consider these returnees important human resources for enforcing their global strategies. However, many of the ESA returne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local Koreans at work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Korean High Context culture. Unlike foreigners or overseas Koreans, ESA returnees are treated as local Koreans with the same appearance and Korean mother tongue; they are therefore expected to have communication competence comparable to local Koreans. Indeed, most local Koreans do not recognize the different cultural identities of ESA returnees and expect the returnees to act according to Korean conventions. Thus, study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ifferences between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and applying the information in workplace communication is crucial.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1) perceptions of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ESA returnees among local Koreans and returnees themselves, (2) miscommunications that stem from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3) any information to be aware of for the returnees previously working with local Korean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 factor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ifferences between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and to utilize the acquired information to minimiz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foste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ose two groups in the workpla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formulat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arly-Study-Abroad (ESA) returnees? 2. What are the communication style differences between Korean Early-Study-Abroad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in the workplace? 3. What are the sources of miscommunications between Korean Early-Study-Abroad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in the workplace? The researcher utilized qualitative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arly study abroad returnees who had experienced secondary education and received bachelor’s degrees in the United States. They also had a minimum of one-year work experience in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face-to-face or voice call interviews with 5 female and 5 male ESA returnees. Before asking the main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a demographic survey.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er used Colaizzi’s strateg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ESA returnees differed from local Koreans. In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 ESA returnees had distinctive gestures and appearances, and Americanized attributes. Regarding different verbal communication styles, ESA returnees exhibited Korean pronunciation, Korean vocabulary usage, English pronunciation, English vocabulary or expressions, Korean context, misuse of Korean, directness, Korean content, and American conten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y, the clustered sub-categories included hierarchy, titles, work responsibility, and privacy. The study considered both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of ESA returnees.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aused ineffective communications between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in the workplace. Lastly, ESA returnees made suggestions to help prospective ESA returnees effectively engage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Korean workplaces: (1) broaden the scope of your work; (2) notify to your boss when you complete a task; (3) double check; (4) align your departure time with your colleagues; (5) cultivate common interests and intimacy; (6) use Koreanized speech and gestures; (6) greet coworkers cordially; (7) use honorifics; (8) maintain a conservative, modest, and neutral attitude; (9) refrain from using foreign content; and (10) openness to privacy . Because the study targeted a very specific group of participants, the data could not represent a large number of Korean ESA returnees’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 workplace.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aid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effective workplace communication between ESA returnees and local Koreans. As a result, future studies could broaden the scope of these findings by considering other study abroad countries and the perspectives of local Koreans, and by utilizing more long-term study desig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