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훈-
dc.contributor.author오윤정-
dc.creator오윤정-
dc.date.accessioned2019-02-13T16:30:02Z-
dc.date.available2019-02-13T16:30:0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37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여성잡지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 주거문화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는 여성잡지 5종으로 <주부생활>, <여성동아>, <여성중앙>, <여원>, <행복이 가득한 집>의 3‧6‧9‧12월호의 주거 관련 기사이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계량언어학적 접근법에 근거한 말뭉치 분석 연구로, 주거문화의 통시적 분석을 위해 1970년~2015년의 총 45년간을 대상으로 5년 간격 일정 범위의 기초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한 말뭉치를 대상으로 계량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어휘의 출현 비율적 관점에서 특별히 주목하여야 할 차별어 목록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차별어 목록을 대상으로 의미분류 및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각 시기 말뭉치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논문은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I장은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밝히고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소개하는 부분이다. 주거와 관련한 기존의 논의들이 주로 공간의 물리적 측면의 변화에 초점을 두어 논의되어 왔고, 방법론적으로는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한 방법론이 활용되어 온 경향이 지배적이라는 점에서 주거와 관련한 다양한 층위에 대한 계량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Ⅱ장은 연구의 주제 영역이 기반을 두고 있는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장으로, 문화적 텍스트로서의 주거에 대한 관점과 언어자료에 대한 문화적 접근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언어자료 분석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말뭉치언어학과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Ⅲ장을 통해서는 구체적인 연구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에서부터 말뭉치의 구축과 분석의 과정이 정리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기초자료 수집과 원시말뭉치 구축, 형태소분석 말뭉치 구축 및 개념어 추출, 차별어 목록 선정 및 분석의 각 절차에 대한 구체적 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Ⅳ장은 본 연구에서 구축한 말뭉치의 개요를 제시하는 부분으로서, 여성잡지 말뭉치 구축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말뭉치의 고빈도어 목록, 공기관계 고빈도 목록, 시기별 차별어 상위어 목록을 제시하고 기본적인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Ⅴ장과 Ⅵ장은 말뭉치로부터 추출한 차별어 목록의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부분으로, 각각 의미분류 체계를 적용한 분석 결과와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Ⅴ장에서는 우선 의미분류 체계의 적용을 통해 차별어 목록의 구조를 살펴본 뒤, 문화적 관점에서 ‘주거 공간의 제반 요소’와 ‘주거 공간의 물리적 요소’, ‘주거 주체의 정신 및 행위’ 세 차원으로 범위를 좁혀 분석의 틀을 재구성하고, 앞서 수행한 의미분류 체계에 의한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차원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어휘들을 발췌 적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Ⅵ장에서는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차별어 목록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거시적 차원에서 네트워크의 밀도, 지름, 컴포넌트 등의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구조가 지닌 특성을 시기별로 살펴보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이 높은 어휘들을 살펴보았다. Ⅶ장은 논의의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밝힘으로써 전체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잡지 주거 영역을 대상으로 특수말뭉치를 구축함으로써 한국의 현대 주거문화 연구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과 계량학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의미분류 및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해 말뭉치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근 반세기동안의 한국 주거문화의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모습의 조명을 시도하였다는 점, 나아가 이 과정에서 말뭉치로부터 문화적으로 맥락화할 수 있는 뚜렷한 변화 양상이 관찰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주거문화를 비롯한 일상생활 문화 연구 분야, 말뭉치를 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말뭉치 연구 분야, 언어‧문화교육의 목적으로 문화어휘를 선정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연구 분야 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resent study concerns the Korean residential culture in the corpus of women’s magazines.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includes articles related to the residence in the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issues of five different women’s magazines including Housewives Living(STYLER), Women’s Dong-A, Women’s JoongAng, Yeowon, and A Home Full of Happiness. The present study is an analytical corpus study based on a fundamentally quantitative linguistics approach, which was utilized to build a basic corpus at a particular range of five-year intervals taken from a 45 year period between 1970-2015. The study established a list of discriminatory words that demanded special attention in terms of incidence by utilizing a quantitative methodology applied to the said corpus. The study then structur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us by period through the agency of conducting semantic classification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n the list of the discriminatory words selected. The thesis is comprised of 7 chapters. Chapter I reveals the research purpose and background and introduces the overall flow of the study. The existing discussions on residence have mainly focused on changes to the physical aspect of space, and the fact that a methodology utilizing researcher intuition tends to be the most dominant raises the need for a quantitative approach toward the various layers regarding residence. Hence, the specific direction of the study is established in these terms. ChapterⅡ examin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at is the basis for the thematic field of the study, theoretically delving into the cultural approach toward linguistic material and the perspective toward residence as a cultural text. Furthermore, the chapter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corpus linguistics and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pplied to analyze the linguistic material in the study. Chapter Ⅲ presents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This chapter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from data collection to corpus construction and analysis. Specifically, it describes the details of each process including basic data collection, raw corpus construction, morpheme-tagged corpus construction, concept word extraction, and discriminatory word list selection and analysis. Chapter Ⅳ presents an outline of the corpus built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building a women’s magazine corpus. The chapter specifically presents a list of high-frequency words from the overall corpus, a list of co-occurrence high-frequency words, and a list of hyperonyms of discriminatory words by period after which it examines their basic characteristics. Chapters Ⅴ and Ⅵ conduct an analysis of the list of discriminatory words extracted from the corpus and present analysis results which respectively apply a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and a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method. Chapter Ⅴ specifically looks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discriminatory word list by applying, first of all, a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after which it narrows down the scope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o the three dimensions of ‘various elements of residential space’, ‘physical elements of residential space’, and ‘mind and behavior of the main agent of residence’ so as to reproduce the framework of analysis. The chapter then examines changes following temporal flow by extracting and applying classified word items falling under each dimens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s from the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conducted in advance. Chapter Ⅵ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riminatory word list through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It specifically examines macroscop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structures by period through the use of elements like network density, diameter, and components and microscopically 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Chapter Ⅶ falls under the conclusions of the discussion, presenting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by summary and wrapping up the overall discussion by disclosin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for establishing basic data useful for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residential culture by building a special corpus targeting the topic of residence in women’s magazines, for attempting to shine light on the detailed and factual image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of the past half-century by analyzing the corpus word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emantic classification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based on a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furthermore for observing clear changes capable of cultural contextualization from the corpus during this process. Such research results are also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field of everyday living culture including residential culture, for the field of corpus research which aims at interpreting corpora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nd for the research field of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and developing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6 1. 문화적 접근에서의 주거 연구 6 2. 말뭉치 기반 문화적 연구 11 C. 주요 용어의 정의 14 1. 차별어 14 2. 공기어와 공기관계 16 Ⅱ. 이론적 배경 18 A. 주거의 문화적 의미 18 1. 일상생활의 문화 18 2. 주거공간의 문화 21 3. 주거문화 연구의 역사적 접근 26 B. 언어와 문화 27 1. 언어: 시대와 문화의 거울 27 2. 말뭉치: 문화 표지의 모둠 30 3. 네트워크: 관계의 역학 34 Ⅲ. 연구방법 40 A. 자료수집 및 원시말뭉치 구축 41 1. 자료수집 41 2. 원시말뭉치 구축 44 B. 수집자료의 전처리 46 1. 형태소 분석 및 개념어 추출 46 2. 빈도분석을 통한 차별어 도출 48 C. 말뭉치의 분석 50 1. 의미분류를 통한 말뭉치 구조 분석 50 2.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 53 Ⅳ. 여성잡지 주거문화 말뭉치의 개요 56 A. 주거문화 말뭉치 구축 결과 56 B. 주거문화 말뭉치의 특성 57 1. 주거문화 말뭉치의 공기관계 57 2. 주거문화 말뭉치의 시기별 차별어 60 Ⅴ. 여성잡지 주거문화 말뭉치의 의미구조 80 A. 의미분류를 통한 구조 분석 결과 80 1. 차별어 목록의 범주별 구성 요소 80 2. 차별어 목록의 의미구조 변화 88 B. 차별어 목록의 의미구조에 대한 문화적 접근 89 1. 주거 공간의 제반 요소 91 2. 주거 공간의 물리적 요소 96 3. 주거 주체의 정신 및 행위 104 Ⅵ. 여성잡지 주거문화 말뭉치의 공기관계 네트워크 108 A. 주거문화 말뭉치의 공기관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108 1. 주거문화 말뭉치의 공기관계 네트워크 109 2. 시기별 차별어 목록의 공기관계 네트워크 112 B. 차별어 목록의 공기관계 네트워크 변화 142 1. 공기관계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 142 2. 연결정도 중심성 상위 어휘의 변화 147 Ⅶ. 결론 148 A. 주요 연구결과 요약 148 B.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 152 참고문헌 154 부록1. 주거문화 말뭉치 의미분류의 대분류/중분류/소분류 항목 159 부록2. 시기별 중분류 범주 어휘 수 161 ABSTRACT 1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56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여성잡지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 주거문화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Residential Culture in the Corpus of Women’s Magazine-
dc.creator.othernameOh, Yoonjung-
dc.format.pageix, 16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