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3 Download: 0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Title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Design Study for the Place-Brand Identity where Storytelling was Applied : Focused on Seoul Dulle-gil trails
Authors
박재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오늘날 현대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특히 웰빙(wellbeing)과 힐링(healing)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은 사회의 피로로부터 육체와 정신의 치유에 대한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가 시간에 자연 속에서 걷는 것은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으며 각 지자체는 둘레길이나 올레길과 같은 도보 관광지를 앞 다투어 조성하였다. 도보 관광지는 단순하게 걷기만을 위한 장소가 아닌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자연경관을 경험하는 곳이다. 국내 관광객들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들에게도 문화적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양적으로 늘어난 도보 관광 길은 장소에 대한 브랜딩이 미흡해 다른 노선의 도보 관광길과 혼란을 초래하고 사인 시스템(Sign system)이 제각각으로 설치되는 등 장소만의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에 도보 관광길에 대한 장소 브랜딩 연구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장소가 가진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적용한다면 장소 이미지 개선과 신뢰, 방문객 증가 및 브랜드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효과와 도보 관광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보 관광길 중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에 위치해 도시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설화나 전설을 가지고 있는 <서울둘레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본론은 2장 이론적 배경과 3장 사례 현황 및 디자인 분석, 4장 대상의 현황 분석과 문제점 도출, 5장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로 나뉜다. 2장 이론적 배경은 브랜드와 장소 브랜딩,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3장은 국ㆍ내외 도보 관광길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장소성이 반영된 시각적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4장은 <서울둘레길>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서울둘레길>은 서울 외곽을 환형으로 연결한 길로 서울의 역사와 문화자원 그리고 생태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또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유아부터 노년층까지 이용할 수 있고 대중교통으로도 각 코스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각 코스에는 전설이나 설화, 유래 등의 스토리가 풍부한 도보 관광 길이라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는 장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특색이 없으며 사인 시스템과 인쇄매체 등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통일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5장에서는 앞 장에서 도출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서울둘레길>의 코스마다 보유한 스토리를 그래픽 모티프로 반영해 뚜렷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사인 시스템을 보완하여 통일감을 주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소의 인지도 상승과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서울둘레길>의 장소브랜드가 서울을 대표하는 도보 관광자원으로서 방문객들이 장소에서 느끼는 경험을 더 풍요롭게 하고 더 나아가 해외 관광객 유치 및 국가 도보 관광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길 바란다.;Recently, the modern people’s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Particularly, the explosive interest in wellbeing and healing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desires for healing and resting on the body and spirit from the fatigue of society have been reflected on that. Walking in nature in free time has become a trend, and accordingly, each municipality has competitively constructed the walking tourist spots, such as Dulle-gil trails or Olle trails. Walking tourist spots refers to the place not just for walking, but for going through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natural sceneries. They may influence foreign tourists as well as domestic tourists as the place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However, since the walking tourist trails which have indiscriminately quantitatively increased may have the insufficient branding for the places, they cannot take advantage of the values that the places only have: e.g., that they are causing confusion with the walking tourist trails in other routes, that the sign system is installed respectively, etc. Thus, currently, the necessity of studying place branding for the walking tourist trails is higher than ever. In terms of an effective way to solve this, if we could reflect a place story in the place brand identity by visualizing the story that the place has, it might b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place image, increases of reliability and visito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on brand value, and play a huge role in the development of walking tourism industr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place brand identity was designed by selecting the Seoul Dulle-gil trail as the subject, where the accessibility of urban dwellers are excellent as it is located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among the walking tourist trails and which has various tales and legends. The body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2, the current condition examples and design analysis in Chapter 3, the status analysis of the subject and problem deduction in Chapter 4, and the identity design development in Chapter 5.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may be divided into the brands and place branding, and the reviews of storytelling, and in Chapter 3, the importance of a firm visual identity where the placeness was reflected was identified through the case study of walking tourist trails both at home and abroad. Chapter 4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Seoul Dulle-gil trail'. 'Seoul Dulle-gil' is a trail circularly connecting the outskirts of Seoul, in which the Seoul's history, cultural resour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could be experienced. In addition, I could recognize that it is a place with the great strengths: since it is composed of the dirt road with non-severe inclinations, it can be utilized by people from infants to elderly people; its accessibility to each course is excellent by public transportation; and each course has the affluent stories, such as legends, tales, origins, etc.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lace brand identity was not featureless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sign system, printed media, etc., were not unified in communication. Accordilgny, In chapter 5, complementing the problems induc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distinctive place brand identity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stories, which each course has in 'Seoul Dulle-gil', as a graphic motive. Furthermore, we was trying to give the unified feeling by complementing the existing sign system, and intended to raise the awareness of places and provoke the positive images,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 wish that the place brand of 'Seoul Dulle-gil', which the storytelling was applied, would enrich more the experiences that visitors could have at the places, as the representative tourism resources of Seoul, and further,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ng foreign tourists and the national walking tourist trai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