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하정은-
dc.creator하정은-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3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3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8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87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225-
dc.description.abstract소비문화가 감성적 측면으로 변화하였고, 문화콘텐츠가 활용된 상품에서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브랜드와 유통업계가 문화콘텐츠 상품을 제작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출판 산업은 소비자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전략을 통해 종이책 판매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도서콘텐츠를 활용한다. 리커버 디자인 전략과 굿즈 디자인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심리를 자극하고, 소장욕구와 구매 욕구를 상승시켜 판매까지 이어지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서점 문화콘텐츠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대형서점에서 출판사와의 협업으로 도서의 리커버와 함께 굿즈의 단독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보문고의 <리-커버:K>, 예스24의 <리멤버북>, 알라딘의 <본투리드>로 각 프로모션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서점들의 프로젝트 안에서 리커버와 굿즈의 디자인 전략이 이루어진 도서의 사례를 각 10개씩 총 30개로 정리해 선정하였다.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의 요소를 연구하기 위해 시각적 연관성과 의미적 연관성을 분석하고, 디자인 컨셉을 통해 디자인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도서와 굿즈의 시각적 연관성을 함께 비교하기 위한 분석의 이론을 찾을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연관성을 도서와 굿즈의 사례를 비교분석 후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모티프의 4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의미적 연결성은 도서콘텐츠와 굿즈가 어떻게 연결 되어 있는지 도서 속 문장의 인용, 주제와의 연결, 작가와 연결, 도서 속 내용에 등장하는 상품군 연결의 4가지로 정리하였다.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와 굿즈의 의미적 연관성이 없는 사례는 도서와 굿즈의 시각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체적으로 시각적 연관성을 중심으로 통합적 디자인 성향을 보였고, 그중 의미적 연관성까지 있는 사례가 더 좋은 사례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의미적 연관성이 모두 해당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교보문고 리커버:K>의 도서 끌림, <예스24 리멤버북>의 도서 말그릇, <알라딘 본투리드>의 프랑켄슈타인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콘텐츠가 굿즈로 제작되었을 때 일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희소성 있는 상품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서콘텐츠를 시각적, 의미적으로 연결했을 때 콘텐츠 디자인의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의 시안을 진행하였고, 디자인 시안의 선호도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문화콘텐츠의 활용과 굿즈 상품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sumer culture has changed to emotional aspect, and design is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products where cultural contents are used. Brand and distribution industries produce cultural contents products and create value added. The publishing industry uses book contents as part of marketing for the sale of paper books through design strategies based on consumers' analog feelings. Through the Reckerber design strategy and the Goods design strategy, consumers are encouraged to feel emotion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large bookstore cultural contents. Three bookstores were chosen to sell design books that were sold jointly with publishers and the products used in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analyzed, and the meaning of design was studied through design concepts. No theory of analysis can be found to compare the visual associations of books and goods. In this study, we drew four elements of color, illustration, Typography, and graphic motif after comparing the visual associations of books and goods. A connection of meaning was organized into four ways of linking book contents to the goods, quoting story in the book, connecting to themes, connecting authors, and connecting product groups in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analysis of design cases using book contents showed that there was a visual connection between the books and the goods that did not have a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content and goods. Generally, there was an integrated design bias centered on visual relevance, among which meaningful associations were analyzed as a better example. A typical example of visual and semantic associations was analyzed as a Book <Attraction of Kyobo> of The Kyobo Bookstore <Re-cover:K>, Book <A Bowl of word> of The Yes24 <remember book>, Book <Frankenstein> of The Aladdin <Bon to read> In this study, the book contents provided daily routine experience when they were made into goods and found that scarce products moved consumers ' minds.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highly scalable in content design when the contents of a book are visually and semantically link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a graphic design using book content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draft.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s utilize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 and manufacture the goods of the Go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소비문화와 문화콘텐츠 3 A. 소비문화의 변화 3 B. 문화콘텐츠의 상품화 4 Ⅲ. 출판 산업의 도서콘텐츠 디자인 9 A. 출판 산업의 현황 9 B. 출판 산업의 도서콘텐츠 디자인 전략 10 1. 리커버(Re-Cover) 디자인 11 2. 굿즈(Goods) 디자인 16 Ⅳ. 대형서점의 도서콘텐츠 디자인 분석 20 A. 자료수집 방법 20 B. 사례분석 21 1. 교보문고의 리-커버:K 21 2. 예스24의 리멤버북(Remember book) 33 3. 알라딘의 본투리드(Born to Read) 45 C. 도서콘텐츠와 굿즈 디자인 분석 57 D. 소결 65 Ⅴ. 디자인 개발 및 제안 66 A. 도서 선정 배경 및 제작 의도 66 B. 도서 콘텐츠 디자인 표현 전략 68 C. 도서 콘텐츠 디자인 제안 70 1. 시안A 70 2. 시안B 73 3. 시안C 76 4. 디자인 설문조사 79 5. 디자인 최종 시안 83 Ⅵ. 결론 89 참고문헌 91 부록 1. 설문지 93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9694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대형서점 문화콘텐츠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서 리커버 및 문화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of Culture Content in Large bookstores : Focus on the book cover re-design and Goods development-
dc.creator.othernameHa, Jeongeun-
dc.format.pageviii, 97 p.-
dc.contributor.examiner김인성-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권혜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