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이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이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rt Clas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 Focused o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황서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20세기 이후 산업화의 발달로 인류는 풍요로운 삶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류의 무분별한 지구자원 소모로 인해 심각한 환경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삼림파괴, 동물과 식물의 멸종,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대대적인 혼란을 발생시켰으며,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위협하고 있다. 생태계 파괴와 생명에 대한 무관심, 인간성 상실, 생명경시 풍조 등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생명에 대한 교육의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생명존중에 대한 교육이 교과서의 독립적인 단원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학생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것보다는 역량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해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생명존중교육이 형식적이고 표면적인 교육으로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생명존중의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명존중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과 태도, 인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단순히 지식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실생활 속에서 생명의 가치와 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여러 교과 중 미술 교과는 인성과 문화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핵심 교과로 새로운 시각을 통해 작품을 창조하는 과목이다(교육부, 2015). 2009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2)부터 미술과는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발맞춰 미술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적정화하기 시작했으며, 학습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삶의 문제와 관련된 실제적인 수업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미적 대상을 특정 대상에 국한시키지 않고, 생활 속에서의 실천적인 활동도 미술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과에서 학생들의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삶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는 수업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존중의식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환경미술 수업으로 설계하였으며, 이를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생명존중의식이 함양될 수 있는 환경미술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동심, 고등사고능력, 자기주도적 능력과 같은 실천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과 생명존중의식에 대한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존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환경미술교육과 관련된 교과서 및 단원 분석을 통해 환경미술교육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수업의 주제로 ‘동물보호 공익영상광고 제작’으로 선정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L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29명과 통제집단 29명, 총 58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은 이종기(2002)의 생명존중 검사지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총 8차시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협동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종료 후에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생명존중의식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사전·사후 생명존중의식 검사를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비교·분석하여 양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수준, 초등학교 교과서 등을 바탕으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실기 결과물에 대해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자기평가, 동료 내 평가, 동료 간 평가, 수업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생명존중의식 검사의 분석한 결과,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생명존중의식 함양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기 결과물 평가에서 실험집단은 평가요소인 ‘독창성, 의도 전달력, 주제 표현력, 종합성’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고, 특히 주제 표현에 있어서 독창적인 문구 제작과 주제의도를 정확히 포함한 공익광고를 제작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미술 수업 이후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 평가가 높게 나왔으며, 수업 만족도와 학습동기가 높게 나온 이유는 연구대상의 관심을 고려한 미술 수업으로 동물보호 관련 활동을 진행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수업환경이 자기주도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론을 종합해보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동물보호 공익영상광고 제작’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생명존중의식 함양과 미술 수업의 흥미에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며, 본 연구가 미술과 수업에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앞으로도 생명존중의식 함양을 위한 후속연구를 통해 미술과에서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since the 20th century has enabled human life to become abundant, nonetheles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ing caused by the reckless wasting of human resources. Forest destruction, extinction of animals and plants, global warming, triggered a massive chaos and threats to all life on Earth. As the issues such as destruction of ecosystems, indifference to life, loss of humanity, and the tendency of disregard of life have become mor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life and life respect consciousness has been required. Recently, life respect education has become to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unit of textbooks, nonetheless it still aims to make people achieve a role as a competent member of society rather than to improve studen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In addition, since life respect education is carried out only in formal and superficial education, thus, it negatively affects studen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hange in studen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attitude, and personality about respect for life, there should be a qualitative change in education so as to learn life value and knowledge in real life rather than from the education of knowledge-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rt curriculum has become a core subject for creative talent development with personality and cultural literacy, and it is a subject to create a novel artwork through new perspective (Ministry of Education, 2015).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the art department has begun to appropriately adjust the methods and contents of 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emphasize practical lectures related to the real issues in our daily life which learners may be interested in. It also emphasizes the fact that pract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can be an object of art without confining an aesthetic object to a specific o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lass that deals with practical issues related to our real life so that the art department can develop the right personality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environmental art class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cultivating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by applying it,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its influence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the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ed environmental art class which can cultivate life respect consciousness. Furthermor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practical skills such as cooperation, high order of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ability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issues close to students' lives and solving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s a theoretical specula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identify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respecting lif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n, it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rough textbooks and unit analysis related to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selected 'Production of public image advertising of animal care', as a subject of the class, and designed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A total of 58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9 experimental group and 29 control group in Yongin-si, Gyeonggi-do.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verified using Lee Jong-ki (2002)‘s life respect evaluation test. Both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a total of eight classes.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environment art class applying problem-oriented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environment art class applying traditional cooperative learning. After the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post-test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was conducted, and the pre- and post- life respect consciousness test of each group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quantitative results were derived. In addition,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chievement level of 2009 revisio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actual results. Self-evaluation, evaluation within peers, evaluation among peers and a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were conducted with the learners becoming the subject. Through this, the satisfaction of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was analyzed and the research was verified and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 life respect consciousness test, the experiment group that applied the problem-based learning the environmental art clas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enhancement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actual produc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evaluation elements, which are 'originality, intention conveyance ability, theme expressiveness, and comprehensiveness'. In particular, It was highly evaluated In particular, it received high evaluation for the ability to produc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cluding original phrases and precise intention of subject motifs in theme expression. Thir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ason why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learning motivation was shown high after the environmental art class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s due to the fact that it conducted animal conservation related activities considering the interest of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 environment was positively influenced since it was performed in the self-driven and free atmospher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environmental art class, 'Production of public image advertising of animal care',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problem-based learning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art clas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aking better art class. Hopefully, it is also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programs for lifelong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art department through follow-up research in order to raise life respect conscious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