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ustainable Design Classes on the Environmetal Literacy : focusing on the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배주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현대에 인류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경제 중심 성장의 무분별한 발전으로 인해 자원고갈, 기후변화 등 심각한 환경오염 위기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부작용에 따른 대안으로 경제와 환경, 사회, 문화적 가치를 통합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과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등장하였다. 이 중에 환경소양의 함양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일차적으로 지향하는 가치로,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행동을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현 시대에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술 교과는 나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지각하고 이미지를 통해 소통하여 삶의 문제를 바라보는 과목으로,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여 창의적인 대안을 창조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미술적 실천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소양, 그리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선행논문을 고찰하여 개념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2015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현재 학교 현장에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현희·서우석(2008)이 개발한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실기평가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대구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6학년의 한 학급, 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환경소양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8차시에 걸쳐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수업의 과정을 관찰하여 매 시간 관찰일지를 작성하였다. 다섯째, 수업을 모두 마친 후 연구대상의 환경소양에 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소감에 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환경소양의 함양과 수업의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여섯째, 실험을 마무리한 후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경소양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환경소양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환경소양의 전체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어서 환경소양의 하위영역인 지식, 정서, 기능, 행동의 영역에서 모든 구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특히 행동의 영역에서 가장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모둠 실기 결과물을 질적 분석한 결과 수업의 참여도와 활동지의 성실성이 완성도 높은 실기결과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징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주제에의 적합성과 실기 결과물의 완성도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8차시에 걸친 수업을 마무리한 후 진행한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기존의 디자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확장시켜 새로운 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 수업 소감 인터뷰와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연구대상의 환경에 관한 지식과 태도, 행동에의 변화를 이끌어 내어 환경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미술수업에의 흥미도 또한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종합하자면, 환경소양 측정 결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연구대상의 환경소양 전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의 실기 결과물, 학습자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질적 분석한 결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환경소양의 함양과 더불어 미술 수업에의 높은 만족도로 이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환경소양을 함양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and reckless development based on economic growth in current society, humankind has faced serious cri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cluding a lack of resources and climate change. As an alternative to these side effects, Sustainable Development(SD) that pursues sustainability by integrating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has emerged. This also led to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for educational practices. Particularly, promoting Environmental Literacy(EL) is what Sustainable Development primarily aims for. Since it can elicit action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 it is becoming more necessary. Art classes allow student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mselves and deal with the problems in life via images. Thus, if art classes combine various fields under the topic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y can create imaginative alternativ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sustainable design classes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focusing on the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s the sustainable design classes are aesthetic practic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sign have been carefully review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amined, we came up with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concept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Second, we analyzed the 2015 Revised Art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design in elementary school. Third, we used an instrument for measu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developed by Jung, Hyun-Hee & Seo, Woo-Seok(2008). Assessments in art expression were composed of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Art Studies Curriculum that wer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5). Fourth, we conducted pre-experi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to one class (18 students) of 6th grade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in Daegu city. We implemented 8 sessions of experimental classes regarding sustainable design. Also, we wrote a daily record by observing the process of every class. Fifth, after all classes were finished, we conducted post-experi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to 6 students. An interview was also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satisfaction level of classes. Lastly, the data w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via the use of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1.0.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experi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there were an overall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ub-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knowledge, emotion, function, and behavior. Especially, in the realm of behavior, we could see the most drastic changes. Second, in regard to the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portfolio results, it was shown that class participation and sincerity of the group worksheet led to higher quality of completion. This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sustainable design allowed better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s regarding class satisfaction, the level of class satisfaction toward sustainable design classes was high. This implies that the sustainable design classes broadened the perception of learners toward current designs, which led to the need for the new design.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 interview and daily observation record showed that the sustainable design class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To be specific,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 environment were improved and their interest toward art classes was also increased. To sum up,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developing environmental literacy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ortfolios, interviews and daily logs proved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es has increased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as well as art class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has discovered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es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promoting environmental literacy on the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