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중‧고등학교 미술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연구

Title
중‧고등학교 미술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rt teachers' sense of Efficacy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21세기의 사회·문화,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현장은 다양한 교육적 개혁에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미술 교과는 감정이나 직관을 바탕으로 한 미적체험과 표현 활동, 감성적 체험이 주가 되기 때문에 미술교사에게는 일반 교과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 외에도 미술교과의 특성에 따른 특수한 전문성이 함께 요구된다. 이에 따라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교육현장에서 미술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중·고등 미술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환경 자각 수준, 교사효능감에 대한 직무환경의 영향력을 밝히고, 나아가 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교사효능감의 개념과 교사효능감과 직무환경과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환경 자각수준을 진단하고, 교사효능감과 직무환경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현재 전국 소재 중·고등학교의 미술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한 미술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설문지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 SPSS(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을 통하여 정량 분석하고, 인터뷰는 귀납적 분석 기법으로 정성 분석하였다. 설문지와 심층인터뷰 자료를 정량·정성 분석하여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교사의 교사효능감에서 즉, 미술 교사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 활용능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자신감을 보인 데에 비해 수업운영 영역은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므로, 미술 교사의 교사 효능감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교사 효능감 하위 요인 중 특히 학생의 수업 운영에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교사의 직무환경 지각 수준에 있어 사후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동료교사나 기관장에 대한 지각 수준 차이에 비하여 학습자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각 수준 차이가 더 뚜렷한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이끌어 낼 수 있으므로 교사 효능감 재고에 있어 학습자와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학부모를 제외한 학습자, 동료교사, 기관장, 물리적 환경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므로 교사효능감 후속연구는 미시적 분석과 함께 개인이 처한 환경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학부모의 경우 유의미한 관련성 영향력을 갖지 못하였지만 인터뷰에서는 교사들이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효능감이 낮아진 사례를 언급하였으며, 이는 학부모와의 관계가 미술교사로서 교사 효능감, 즉 미술교과의 수업 운영이나 교수전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담임 업무를 맡는 교사로서의 일반적 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물리적 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물리적 환경 요소만이 영향을 미쳤으므로 미술 교사의 효능감을 재고함에 있어 미술실의 시설 수준과 재료 구비를 위한 예산 지원 등의 수업 여건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사효능감의 수업운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습 독려와 수업 구성은 직무환경의 어떠한 요인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지 않았으므로 따라서 미술교사의 효능감에 대한 후속연구로 배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사효능감 후속연구를 제언할 수 있다. 일곱째, 교사효능감의 교수전략 하위영역에서 동료교사에 대한 지각 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인터뷰에서 교수 방법에 대한 조언과 도움을 많이 얻을 때 미술교사의 효능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높아진다는 교사들의 진술과 동일하므로 미술 교사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료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과 직무환경 자각수준, 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직무환경 자각수준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양적 결과로 제시하고, 직무환경에 따르는 교사효능감의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질적 결과로 제시하여 직무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미술교사의 효능감 수준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진행될 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 연구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Educational field in twenty first century is under various innovational endeavors adjusting itself to the prevalent shifts i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sequently, professional capability of the qualified teachers to adjust to these changes in a flexible manner is becoming essential. Major educational components in subject of art, in particular, include artistic and sentimental experience, and expression exercises driven from personal emotions and intuitions, which naturally require art teachers to have professional capacities specialized in curriculum of art in addition to the basic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he general curriculum. Recognizing the need for a concentrated research targeting art teachers in prior context,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teacher’s efficacy and different level of awareness towards the schooling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teachers actively committed to teaching the subject of art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reveal the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towards the teacher’s efficacy, and extend the findings to discuss differen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icacy of art teachers. To reach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 first observed theories that define the teacher’s efficacy and relevancy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ing environment. Then, I conducted Mixed Methods Research to assess art teacher’s efficacy and the level of awareness towards schooling environment,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ing environment. I reinforced the factual evidence by surveying fifty-five art teachers who are presently active teachers in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statically sampled five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conduct interviews. Results from the survey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method. Following findings summarize the outputs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responses that drew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in art teacher’s efficacy criteria, art teacher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confidence level in their ability to utilize the teaching strategy whereas, the ratings for class operation was remarkably low – in seeking ways to enhance the art teacher’s efficacy, improvements in classroom operations must be brought into focus. Second, results from the posttest comparison of art teacher’s awareness level of schooling environment showed that differences in awareness level towards students and physical environment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in driving the change in teacher’s efficacy compared to the differences in that of colleague faculties and the headmaster – improvement in student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teacher’s efficacy. Third, parents of the students do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ve influence to the teacher’s efficacy; however, examples for experiencing difficulty in parent-teacher relationship that lead to a decrease in efficacy were mentioned in the interview. Evidently, parent teacher relationship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rt teacher’s efficacy, class operations of art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y, but it does affect general efficacy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 class. Fourth, the results suggested significantly high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on teacher’s efficacy. Particularly, only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were found significant to affecting teachers efficacy which suggest that improvements in classroom condition such as art classroom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 for art material shall be considered in enhancing art teacher’s efficacy. Fifth, in sub-criteria for teacher’s efficacy in class operations, no factors in learning encouragement and course organiz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environment. Thus, research on art teacher’s efficacy focused on background variables is suggested for a succeeding research on art teacher’s efficacy. Sixth, in sub-criteria for teacher’s efficacy in teaching strategy, awareness level of colleague teachers demonstrat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s efficacy. This result is also in alignment with interview responses that the assistance and advice in teaching strategy can drive efficient increase in teacher’s efficacy. Accordingly, efforts to enhance the teacher’s efficacy shall comprise offering of an environment conducive to forming healthy relationship among colleague teachers and providing amicable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This research presents quantitative results for the level of art teachers’ efficacy, their awareness level of the job environment, and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awareness level towards art teacher’s efficacy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aculty. With addition of qualitative results from specific case examples that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job environment towards teacher’s efficacy,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analyzing the art teacher’s efficacy focusing on the job environment influences. I humbly hope that this research shall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on the subject of art teacher’s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