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김해니-
dc.creator김해니-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34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3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5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214-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지식정보화시대로 수많은 정보들 사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체적으로 선별하고 창의적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단순 지식 습득이 아닌 통합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통합수업을 중요시하고 있다. 타 교과와의 통합은 개인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의 문제나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인지·정의·신체의 균형적인 개발을 이루는 전인적 발달을 궁극적 목표로 둔다. 하지만 우리 학교교육은 전인적 발달과는 거리가 먼 입시와 같은 수단적 가치에 머물러 개인의 자아정체감 혹은 내면적 발달을 소홀히 하고 있다(손승남, 2002). 학생들은 자신의 소질, 적성, 흥미, 성격, 가치관 등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는 기회가 필요하며, 따라서 학교는 학습자들에게 자신을 탐색·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의 장을 마련해 주어 바른 인성 및 건강한 자아정체감 확립과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인적 발달을 강조하며 여러 분야와의 연계를 추구하고 있는 미술 교과와 도덕 교과의 통합수업을 개발하였다. 자신을 주제로 하는 표현활동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조화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자아이해를 이루며,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미술교과와 자신을 둘러싼 현상을 탐구하면서 내면의 도덕성을 성찰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삶 속에서 실천적 태도를 기르는 도덕교과는 인성 함양의 핵심 교과이고, 이는 학습자가 스스로 내면세계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삶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점은 학습자 개인의 자아정체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교과 통합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나만의 스토리 북 제작하기’를 주제로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을 실제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를 통하여 독특한 자아의 모습을 발견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바탕으로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데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이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두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과 통합과 자아정체감, 초등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미술과와 도덕과의 2009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자아정체감’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Fogarty의 거미줄형 모형에 따라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아정체감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의 6학년 2학급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총 8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21명으로 연구자가 설계한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을, 통제집단 22명은 기존의 전통적인 분과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수업을 진행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완성된 수업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 실험집단의 통합수업 만족도 설문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정체감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통합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실기 결과물을 포함한 수업의 전 과정에서 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실기결과물에서 ‘주제표현’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작품의 완성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수업만족도 평가 결과는 수업만족도 결과에서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내용뿐만 아니라 자아정체감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자면, 미술과와 도덕과의 ‘자아정체감’을 주제로 한‘나만의 스토리 북’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자아정체감에 확립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미술 교과와 도덕 교과의 통합수업의 활용가능성과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며, 앞으로 미술 교과와 다양한 타 교과가 연계하여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이루는 통합수업의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이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며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길 기대한다.;The modern society requires the ability to create new knowledge by independently sorting out necessary information among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n this knowledge information age and creatively reconstructing it. In response to these societal demands, the current 2015 revision curriculum focuses on cultivat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talent with the decent personality. In the educational field, integrated class is also highly valued which offers an academic experience instead of simply acquiring knowledge.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ultimately aims to develop daily life problems experienced by individuals and the ability to solve crucial issues faced by society, and further develops individual’s holistic development of cognitive, justice, and balanced physical ability. Nonetheless, in our current school education, the self-identity or inner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is neglected, since the education is stayed at the instrumental value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which is far from the holistic development (Son Seungnam, 2002). Students need opportunities to fully consider their own qualities, aptitudes, interests, personality, values, etc. Therefore, the school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various educational field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ir self, which can eventually enable them to establish a decent personality and a healthy self identity and live a happy lif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mphasizes holistic development and developed an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es pursuing association with a variety of fields. Whil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ve activi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subject of themselves, achieving self-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harmony, exploring the art curriculum that can form a positive self concept, the moral subject is a core subject that helps learners to introspect their inner morality as well as to build a practical attitude in their daily life by explor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m, which can make a close relation with the life of the self by enabling learners to focus on their inner world. Based on this,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theme of 'making my own story book' being aware of the necessity of integrated teaching of the subject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hildren’s self ident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an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to actual field, in order to discover the unique figure of self through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others, and examine its influence on forming healthy self identity based on positive self concept.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on learners’ self identity and find out the implications, and thus, the research methods designed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Through the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the study had theoretically examined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 the self identity, and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of art and moral subject. Based on the 2009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of the art and the moral subject, the theme of ‘self identity’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Fogarty's web type model, the curriculum of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was desig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 classes of the 6th grade in P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which were proved to be the same through pre- self identity test, and both experiment and then a total of 8 classes were taught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21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an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designed by the researchers while control groups received 22 traditional subject classes. After performing research classes, the results of the pre- and the post-test of the self ident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urthermore, the conclusions were deducted based on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completed class results,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integrated class of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experimental group applying an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 identity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Second, in all sub-domains of self identity,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 than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he integrated class was better evaluated in terms of the whole course including bringing out actual outcome. In particular, in the actual outcome, they were rat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field or 'theme expression', an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work also showed difference. Fourth,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class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learning contents were high in the class satisfaction and the interest and it was also found that interest in the self identity as well as the learning contents were increased.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class of 'My own storybook' on the theme of 'self identity' between art and moral subject was effective in establishing self identity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to utilize art and moral integrated class and has educational value to establish self ident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e follow-up study regarding the integrated classes with art subject and a variety of other subjects is constantly conducted, enabling students to form a healthy self identity and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6 A. 자아정체감 6 1. 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하위요소 6 2. 아동기의 자아정체감 10 B. 교과 통합 13 1. 교과 통합의 개념 및 필요성 13 2. 교과 통합의 유형 18 C.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 27 1.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수업 27 2.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의 교육적 의의 42 3.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 44 Ⅲ. 연구 방법 46 A. 연구 대상 및 절차 46 1. 연구 대상 46 2. 연구 절차 48 B. 연구 도구 50 1. 수업 도구 50 2. 검사 도구 80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8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87 A. 연구 결과 87 B. 논의 112 Ⅴ.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18 부록 목차 122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85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Integrated Instruction of Art and Moral Education on Self-Identity: Focusing on the 6th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iii, 151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