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fographic Design Class to which GI model is applied on the Safety Consciousness : in the case of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Authors
강서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최근 지진과 화재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안전공제중앙회의 사고발생통계(2009;2014)에 따르면 학교에서도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 학년에서 안전사고가 매해 증가하고 있다. Jung & Lee(2013)의 연구에 의하면 안전사고에 대한 인지가 낮을수록 사고경험이 높게 나타나므로 학교현장에서 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안전에 대한 지식 및 행동요령을 익혀야 한다(D.Y Jung & S.H Lee, 2013; 홍영호 외, 2014). 안전교육을 통한 안전 지식의 습득은 안전의식 함양의 기본이 되며 안전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에서 다양한 안전관련 지침과 교육자료 등을 제시하였고, 학교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관련 단원이 추가된 체육, 과학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교육부에서 지정한 일부 교과 외에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실질적이고 꾸준한 교육을 위해 모든 교과목에서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주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안전교육 기반의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안전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전교육은 실제 위험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학생들은 교육 내용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이라는 방식을 통해 효율적인 안전교육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인포그래픽 디자인은 정보를 이미지화 및 스토리화 하여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디자인 방식이므로 안전교육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학습의 자율권을 보장하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에 적용하여 자율적이고 진취적인 안전교육이 학습자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자가 안전과 관련된 탐구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모둠구성원들과 협력하며 선택한 주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이 안전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의식 및 협동학습 모형에 대한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각 개념들의 연계성 및 연구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2015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수업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으로 서울특별시 S구 에 소재한 J여자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40명을 각각 실험,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고 교육부(2014)의‘학생안전의식지수 개발보고서 정책연구 설문지’로 안전의식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차시에 걸쳐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때 실험집단에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소집단의 학습방식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안전의식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MATLAB(MATrix LABoratory) R2017a의 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Toolbox 프로그램을 통해 검사내용을 비교·분석하였고, 실기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사후 검사 결과에 의하면 실험집단의 안전의식이 통제집단의 안전의식보다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측정한 안전의식의 하위항목인 폭력 및 신변안전의식, 생활안전의식, 교통안전의식, 재난안전의식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수업 후 모든 하위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은 재난안전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기 결과물의 실기 평가 결과, ‘정보 수집 및 활용’, ‘아이디어의 독창성’, ‘주제의 명확성’세 가지 평가요소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넷째, 태도 평가 결과, ‘역할 수행’, ‘협동심’, ‘발표 참여’ 세 가지 평가요소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탐구활동 과 발표에 적극적으로 자세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안전의식 사후검사의 전체 영역과 항목에서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결과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은 학습자의 안전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Recently, there have been such big and small accidents as earthquake and fires around us, thus increasing anxiety for secur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SSIF, school accide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study by D.Y. Jung & S.H Lee suggests that lower recognition of accidents results in higher rates of accidents, which requires safety education for the knowledge of security and know-how against possible accidents. The acquisition of safety knowledge through safety education is a must to lead safe living in modern society. In Korea, with Sewolho accident as a momentum, Education Ministry provided various safety-related guidelines and materials to schools and schools have carried out safety educations in such classes as PE and science, which in general tended to end in superficial act of safety education and there are few programs or materials for safety education except in some textbooks designated by Education Ministry. Therefore various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both practical and steady education for safety which make students interested in safety. With my research I have three points to check. One is to develop infographic design class based on safety education throug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ensures students’autonomy and make students study for themselves, through which I wanted to check effectively how the safety consciousness of students changes(are built).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of the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actual situations and should enable students to learn it clearly and effectively. Another is to carry out safety education effectively through infographic design. infographic design is a way which is easy to understand by making informations into images and stories and is suitable for safety education. A third is to check the influences the autonomous and developed safety education has on the safety consciousness. This research was plan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ocess where learners themselves select the themes they are exploring and then they study them intensively by helping one another would be efficient to develop safety consciousness. This research enabled me to testify the influence the infographic design class which applies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classes. The method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I deeply considered the connectivity and necessity of the concepts by studying the books about safety consciousness publish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Second, I studied the necessity of the infographic design class to whic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pplied by analyzing the highschool art teaching procedure revised in 2015. Third, I chose 40 students of first grade(two classes, 20 students each class) in J girls’highschool located in Seoul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n identified the homogeneity of the two subject groups by testing them with the inquiries of students’ level of awareness of safety(2014 Education Ministry). Fourth, I had 6 classes in each group. In Experimental group the class was done based on infographic design to whic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applied and in Control group the class was done based on infographic design to which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for smaller group was applied. After those testing classes for two groups I checke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with the MATLAB program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safety consciousness of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in the sub-indexes of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public safety, traffic safety, disaster safety,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while Control group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only in the index of “disaster safety.”Third, Experimental group got better assessment in the indexes of creativity of idea,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its use, and clarity of theme than Control group. Fourth, the assessment of attitude, role performance, team work, active presentation, Experimental group got better assessment in the three items than Control group and was more positive in studying and classroom presentation.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applied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in safety consciousnes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fographic design class to whic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pplied has positive influence on cultivating safety consciousness of th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