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자유학년제 미술과 중심의 진로 교육프로그램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유학년제 미술과 중심의 진로 교육프로그램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based free grade system on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Authors
정운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of the low happiness index of youths who were raised as limitations of school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having to enter university without experiencing sufficient exploration opportunities related to the career,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2016. During the free semester period, students were free from the burden of the paper test, and had enough time to explore and plan their own capacity and career path which fits their own talents. In order to establish and spread the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 free grade system was held and test operated centering on hope schools in 2017. The free semester system of 2015 revision curriculum, which was officially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vision curriculum, it aimed to produce talents with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emphasizing the need to build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ity,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foster independent human beings who establish self-identity themselves and cultivate their own career and life. Among the free semester system education revised curriculum of the 2015, voluntary courses provid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career search and career experience to provide students with intensive and systematic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These voluntary courses focus on building a program that fosters students'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provides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and focus on organizes a variety of programs considering student interests, talents and school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explore their career and ultimately lead them to design thei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s and centered career program, which can also be applied for free semester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affect the learner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career education policy in Korea and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period, and examin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concept and policy of free semester system in career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art centered career education was examined as well. Second, based on the preference for art related career an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ssociated with art education, 6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among the first grade students of J middle school in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the study designed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the free semester system art classes based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rd, a total of 16 programs were applied from March 2018 to May 2018 for 66 students attending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study measured the pre- and pos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us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developed by Kore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2017). Four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evaluations of the researchers and the peer evaluation of the students, the practical works were analyzed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actical results. The pre- and post-test data of the collect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which deducted the meaningful conclusions of the study by analyzing the equival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of this prog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ing between pre and post-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students as a whole who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verifying that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test.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covered in the total score of the individual and social field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the average of the pre-tests of the four sub-areas than in the post-test. In this regard, it is certain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itive self concept, self-initiative, sociality, and civic awareness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J middle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career management area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the post-examination average of the three sub-areas and the pre-test average. And the fact the former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average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this study did increase their career recognition, career search, and career design areas. Fourth, the score of post-test average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the academic area increased from the pre-test averag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pre- and the post-test of the first grade students in J middle schoo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since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mproved in all areas, manifes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rough this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esign their own career paths to seek their dreams and talents, and to decide the right career path which can ultimately help them develop necessary career path for their future lives.;학교 교육의 한계로 제기되었던 청소년들의 낮은 행복지수와 진로에 대한 충분한 탐색기회를 갖지 못하고 진학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2016년 전국적으로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시행되었다. 자유학기동안 학생들은 지필고사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고, 자유학기제의 긍정적인 교육활동을 안착 및 확산을 위하여 2017년에는 시범운영 및 희망학교 중심으로 자유학년제가 운영되었다. 자유학기제가 정식 반영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창의성, 인성, 의사소통능력 등의 미래를 지향하는 역량을 강조하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중, 자율과정 활동에서는 진로탐색과 진로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여 학생들에게 집중적, 체계적으로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율과정 수업들은 학생들의 미래핵심역량을 길러주고 능동적, 자기 주도적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에 중점을 두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 학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며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것으로,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에 활용이 가능한 미술과 중심의 진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진로개발역량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진로교육 정책과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에 대해서 살펴보고, 진로개발역량에 대하여 알아본다. 진로교육에서 자유학기제의 개념과 정책 등을 알아보고, 또한 미술과 중심의 진로교육의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학생 중 예술·체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6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미술 관련 진로선호도와 미술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진로개발역량을 기초로 한 자유학기제 미술과 중심의 예술·체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J중학교 1학년 중 예술·체육 활동을 수강하고 있는 6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총 16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자유학년제 미술과 중심의 진로 교육프로그램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에서 개발한 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진로개발역량을 측정 하였다. 넷째, 연구가 끝난 후에 연구자의 평가와 학생들의 동료평가를 토대로 실기작품을 분석하여 실기결과물로 질적 평가를 하였으며, 취합한 진로개발역량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SPSS ver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등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진로개발역량 검사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 예술·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진로개발역량 전체를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응표본 t-test 검증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로개발역량의 개인·사회 영역의 총점 및 네 가지의 하위영역의 사전검사의 평균보다 사후검사에서 평균보다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J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 자기주도성, 사회성, 시민의식에서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의 진로관리 영역의 총점과 세 개의 하위영역의 사후검사 평균이 사전검사의 평균보다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대상들의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진로개발역량의 학업 영역의 사후점사 평균이 사전검사 평균보다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에 대해 정리해보면, 연구 대상인 J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여 검사결과를 보았을 때,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의 모든 영역 부분에서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본 프로그램의 연구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아 자신의 진로를 설계하고, 올바르게 진로를 선택하여 앞으로의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진로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