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조한나-
dc.creator조한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33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3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2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시인의 개성’ 요소를 구안하고 확립하는 것과 현대시 영역에서 ‘작가의 개성’ 교육의 구체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작가의 개성’ 교육은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명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안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현대시 이론에서의 ‘작가의 개성’ 교육 관련 내용 탐구를 통해 ‘시인의 개성’ 교육의 감상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인의 개성’ 요소를 현대시 이론으로부터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교과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시인의 개성’ 교육 내용과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게 되었다. ‘시인의 개성’ 교육은 정보처리역량과 자기 성찰·계발 역량 그리고 문화 향유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Ⅱ장에서는 현대시 영역에서의 ‘작가의 개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고찰하였다. ‘작가의 개성’ 교육 관련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교육 현황 분석 및 교육 방안 고안의 기준으로 적용할 틀이 없었다. 그렇기에 현대시 이론 고찰을 통하여 ‘시인의 개성’ 교육을 위한 감상 단계와 그에 따른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시인의 개성’ 요소는 시인의 개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작품 감상의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의 현대시 교육의 텍스트적 요소는 개별 작품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미시적 감상 요소이다. ‘시인의 개성’ 요소는 한 시인을 관통하는 거시적 감상 요소라는 점에 있어서 구별된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도출한 ‘시인의 개성’ 요소를 기준으로 2011개정 교육과정의 (14)번 성취기준이 구현된 <국어Ⅰ> 교과서를 분석했다. ‘시인의 개성’의 상위 요소인 ‘화자’, ‘대상’, ‘시적 장치’와 각각의 하위 요소가 분석 기준이 되어 관련 작품 수록 현황 및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대시를 학습 제재로 선정한 아홉 개의 출판사에서 총 여덟 명 시인의 열한 작품을 수록하였다. 대부분의 학습활동에서 ‘시인의 개성’을 가치관과 고유한 생각을 파악함으로 알고자 하였다. 이에 관하여 ‘화자’ 요소와 ‘대상’의 ‘소재’ 요소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경우가 많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으로부터 현대시 영역에서 ‘작가의 개성’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시인의 개성’을 판단할 줄 아는 능력, ‘시인의 개성’ 감상 단계를 활용할 줄 아는 능력과 ‘시인의 개성’ 요소를 종합적으로 적용할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에 따른 교육 내용의 가능성을 작가와 작품 선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시인의 개성’ 감상 단계에 따른 요소를 기준으로 세웠다. 각 요소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작가와 작품을 통해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시를 생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감상 범위를 자발적으로 확장하는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과 치유로서의 감상을 활용하며, 창작을 통한 개인의 정체성 구축을 통해 완성된다. 본 연구는 ‘시인의 개성’ 교육을 통해 학습독자가 스스로 현대시 작품 감상의 즐거움을 깨닫고 문학을 생활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의 개성’ 교육을 위한 감상 전략을 ‘시인의 개성’ 요소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막연한 시 작품 감상을 방지하며, 감상 능력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현대시 영역에서 ‘작가의 개성’ 교육 구체화 방안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lement of ‘poet’s individuality' and to propose a direction of education of ‘author’s individuality’ from modern poetry field. Although the ‘author’s individuality’ education has been specified from the 7th curriculum, there has been insufficient discussion of the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prepared an appreciation strategy for the ‘poet’s individuality’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contents of ‘author's individuality’ education in modern poetry theory. As a result, it has been possible to analyze textbooks based on the elements of ‘poet's individuality’.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oet’s individuality’ education. This process shows its educational meaning in terms of building self-instruction, self-development, information processing, and cultural enjoyment. In chapter Ⅱ, overall understanding of ‘author’s individuality’ in modern poetry field is examined. As it is hard to find the study about the education of ‘author’s individuality’, the frame with which one can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was absent. Therefore, the stage of appre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poet's individuality’ and the key elements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modern poetry. The element of ‘poet’s individuality’ plays a role in providing the basis of appreciation of the poetry so that one can understand the ‘poet’s individuality’. The text element of the current modern poetry education is microscopic appreciation elem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The element of ‘poet’s individuality’ is distinguished in that it is a macroscopic appreciation element penetrating a poet. In chapter III, the textbook <Korean> is analyzed to see if the 14th standard of accomplishment has been embodied in educational course revised in 2011 with the element of ‘poet’s individuality’ drawn in chapter Ⅱ. Using the ‘poetic speaker’, ‘poetic object’, ‘poetic device’ that are upper element and each lower elements as an analytic standards, the status of related poetry and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learning activities was reviewed. Nine publishers, who selected modern poetry as a learning sanction, included eleven poems from eight poets.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aimed to know the ‘poet’s individuality’ by understanding his values and unique ideas. This was often looked at through ‘poetic speaker’ and ‘poetic material’ elements of ‘poetic object’. In chapter Ⅳ, it seeks a acceptable way forward for the education of ‘author’s individuality’ in the modern poetry field, based upon the analysis of chapter Ⅲ. The comprehensive ability to judge the ‘poet’s individuality’, the ability to use the appreciation stage of a ‘poet’s individuality’, and the ability to apply the elements of a ‘poet’s individuality’ is needed. We also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s a result through selection of writers and works. The selection is based on elements that follow the level of appreciation of the ‘poet’s individuality’.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specified through poets and poems whos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are prominent. Finally, a method was devised for practising poetry. This is completed through the creation of individual identity through creativity and using empathy and appreciation as a c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oluntary expansion of one's appreciation range. This study shows that the ‘poet’s individuality’ education can help the learner realize the enjoyment of appreciation of modern poems and take attitude to apply the literature to the life. An appreciation strategy for the education of ‘poet’s individuality’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element of ‘poet’s individuality’. It helps to prevent an vague appreciation of poetry and serves to provide the strategie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eci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groundwork for the way in which the ‘author’s individuality’ in the modern poetry field contributes to practising poet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2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Ⅱ. 작가의 개성 교육에 대한 시 교육적 고찰 6 A.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작가의 개성 교육의 위상 6 1. 작가의 개성 교육의 학습 활동 제안 : 7차 교육과정 6 2. 작가의 개성 교육 내용 요소의 강화 : 2007 ~ 2011개정 교육과정 6 3. 작가의 개성 교육 영역의 생활화 : 2015개정 교육과정 7 B. 현대시 영역에서 작가의 개성 교육의 가치 10 1. 정보처리 역량 함양의 가치 10 2. 자기 성찰계발 역량 향상의 가치 11 3. 문화 향유 역량 함양의 가치 12 C. 현대시 이론에서의 작가의 개성 교육 관련 내용 탐구 13 1. 현대시 이론에서의 시인의 개성 의미 14 2. 시인의 개성 요소의 도출 28 Ⅲ. 고등학교 <국어> 현대시 단원의 시인의 개성 요소 분석 36 A. 화자 요소 중심의 현대시 단원 분석 36 1. 화자 관련 작품 수록 양상 분석 36 2. 화자 관련 학습 활동 분석 41 B. 대상 요소 중심의 현대시 단원 분석 45 1. 대상 관련 작품 수록 양상 분석 45 2. 대상 관련 학습 활동 분석 49 C. 시적 장치 요소 중심의 현대시 단원 분석 51 1. 시적 장치 관련 작품 수록 양상 분석 51 2. 시적 장치 관련 학습 활동 분석 56 Ⅳ. 시인의 개성 요소를 활용한 시인의 개성 교육의 구체화 방안 59 A. 시인의 개성 교육 방향의 구체화 59 1. 시인의 개성 판단 능력 함양 61 2. 시인의 개성 감상 단계의 활용 62 3. 시인의 개성 요소의 종합적 적용 64 B. 시인의 개성 교육 내용의 구체화 66 1. 시인의 개성의 근본 이해하기 67 2. 시인의 개성의 핵심 파악하기 72 3. 시인의 개성의 완결성 알기 83 C. 시인의 개성 교육의 생활화 방안 94 1. 이해의 자발적 확장 95 2. 공감과 치유의 감상 99 3. 정체성 구축의 창작 102 Ⅴ. 결론 및 논의 115 참고문헌 118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3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작가의 개성’ 교육 구체화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국어> 현대시 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uthor’s Individuality’ Education: Focusing on the Modern Poetry Unit of the textbook <Korean>-
dc.creator.othernameCho, Hanna-
dc.format.pagev, 125 p.-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혜-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