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2 Download: 0

천을 결합한 도자함 디자인 연구

Title
천을 결합한 도자함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design of ceramic box combined with wrapping cloth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차세대 4차 산업혁명은 공예분야에도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공예가들이 작업 과정에 3D프린터와 스캐너를 접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불필요한 노동의 단순화와 제품의 품질 안정화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미 현대문류 산업의 생산구조 안에서 현시대에 공예가들이 기술을 위한 기술에만 의존한다면 수공예(handicraft)라는 분야의 본질을 잃게 될 것이다. 수공예란 느리더라도 손으로 만드는 것에 가치가 있는 영역이다. 시대적 흐름이라는 이유로 공예품이 단순히 기계화되고 디지털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공예 가치를 고려한 디자인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단축된 현대의 편리한 제작기법보다 사람의 손을 통해 나타낼 수 있는 감성적인 방법에 대해 주목하여 공예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의 조화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상품화를 고려한 산업도자인 캐스팅 기법에 기계로는 구현해 낼 수 없는 수공예적 요소를 접목하고자 한다. 이에 방법적적으로 수공예가 대중적인 시대였던 조선시대 규방문화의 대표적인 행위인 바느질을 매개체로 선택하였다. 바느질을 통해 규방공예품들 중 복(福)의 의미가 담겨 있는 보자기를 도자기와 결합하여 귀한 것을 더욱 귀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도자함을 제작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보자기는 같은 디자인의 도자함이라 할지라도 결합한 천에 따라 색다른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단일 소재로 제작된 기존의 기성품들과 차별성을 두어 작품의 다양화를 구현해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조선시대 여인들의 규방문화에 대해 알아보았고 규방공예의 대표적인 행위인 바느질을 통해 만들어진 보자기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보자기를 활용한 포장 이미지를 통하여 천과 도자기가 결합이 용이한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한국의 고유한 미감을 바탕으로 수공예의 가치가 담긴 실용성 있는 공예품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The fourth-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revolutionized many areas today, has also created a new trend in the crafts area. These innovations have provided the environment that craftsmen are able to combine 3D printers and scanners in their workflow.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secure unnecessary labor simplification and product quality stabilization. However, if the craftsmen rely only on the technology in modern time when cheap and high quaility goods have already become popular, the essence of the field of handicraft will be lost. Handcraft is the area that is worth creating by hand, even if it is inefficient. In order to minimize the mechanization and digitization of crafts just because of the trend of the times, study for the design considering the value of handicraft that can be expressed by only hand is required.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harmony of beauty and practicality of craft by focusing more on the emotional way which can be expressed through hands rather than the modern convenient manufacturing techniques. The element which can not be produced by the industrial casting technique considering commercialization is combined. As a method, sewing, which is a representative act of the Kyobang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where handicrafts were popular era, is chosen. It is tried to be combined with wrapping cloth which has a good meaning among the Kyobang crafts by combining sewing and porcelain, Thus, it was purposed to produce a ceramic storage that could hold precious things more careful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ifferent impression depending on the combined fabric even if the same design ceramic storage is used.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show diversification of work by differentiating it from existing ready-made articles made of a single material. The researchers studied the culture of the women of the Joseon Dynasty, the types of wrapping cloths and various packaging methods made by the representative act of Gyoban crafts for this study. After designing the design of the porcelain which is easy to combine with the wrapping cloth, the researcher studied the ceramic storage containing Korean emotions by combining a well-matched wrapping cloth.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s study on practical crafts that contain the appeal and value of handicraft to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