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6 Download: 0

직장인의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의 관계

Title
직장인의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Meaningful Work and Job Satisfaction :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Work Engagement
Authors
이유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열의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긍정심리학의 등장으로, 개인의 심리적 부적응과 문제 개선보다는 강점을 부각시키고 성장을 도모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일의 의미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매개하는지,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일의 의미와 상호작용하여 직무열의 수준을 조절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기업 및 진로 상담시 효과적인 개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다양한 직종의 직장인 4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438명의 응답 가운데 불성실하거나 중복된 응답 5부를 제외하고 총 433부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가 결합된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 직무만족, 직무열의, 자기효능감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열의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일의 의미, 직무열의, 자기효능감과 같은 긍정심리학적 변인, 특히 개인의 심리 내적 요인을 직무만족과 연결시켜 연구하였으며 그 변인들 간의 심리구조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직무열의가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을 부분매개하고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직장인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조직의 직무환경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자원을 점검하고 증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 efficacy through work engagement in the process that employees' meaningful work influences job satisfaction. With the rise of positive psychology which focuses on one's strength and growth rather than psychological disorders or problems, the interest in meaningful work is increasing but there has been only a limited number of domestic research don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workplace counseling and career counseling by identifying if work engagement mediates between meaningful work and job satisfaction and if the interaction of meaningful work and self-efficacy moderates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38 employee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have participated. Except for 5 incomplete or duplicated responses, the data from 433 respondents was analyze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SPSS Macro PROCESS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hich comb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eaningful work, work engage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econd, work engagemen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ful work and job satisfaction. Last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work engagem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ful work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links job satisfaction with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especially individual's intrinsic factors such as meaningful work, work engagement, and self-efficacy and also verifies their psychological structure. Work engage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ful work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interaction of meaningful work a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work engage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s psychological resources as well a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