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와 영향요인

Title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와 영향요인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f sun protection behavior in Korean women : Based on socio-ecological model
Authors
권미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n protection behavior of Korean women. The sites of survey were selected from six regions that provide ultraviolet index(UVI) measurement data by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here the latitud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relatively high population of women between 20 and 49 years of age. The survey sites were selected from Seoul city, Pohang city, and Jeju Island, and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ere 606 and one-third of among them(202) for each survey site. The sampling of the participants was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method. Howev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allocated according to the age composition of 25 gu in Seoul city, 2 gu in Pohang city, and 2 cities in Jeju isl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9 administrative district(city or gu).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ranged from 3 to 64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6th to 15th November 2017.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606 participants and 565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HLM 7.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factors of personal, interpersonal, and community level on women’s sun protection behavior. Among multi-level models, this study established random-intercept mode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women’s sun protection behavior was 18.19 on a scale of 35. Among them, use of sunscreen was highest in the scores of three sub-scales of sun protection behavior, followed by sunlight avoidance and hat and paras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sun protection behavior score among the survey sites, Jeju island was the highest score of 18.80, followed by Seoul city with 18.56 and Pohang city with 17.24.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the subscale scores between the survey sites, Seoul city showed high score in the use of sunscreen and avoiding outdoor activities, and Jeju island showed high performance in wearing a hat or parasol. 1. A multi-level model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sun protection behavior of women with level 1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and level 2 of community factors 7.9% of level 1 variance were explained by women’s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community factors, which is related level 2 variance, was 19.0%.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community factors was higher than those of individuals and individuals. 1. Familial social norm(β=0.060, p=.003) was significant when examining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the fixed effect of the level 1. reside in‘dong’(β=1.480, p=.015) was significant when examining community factors in the fixed effect of the level 2,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men’s sun protection behavior was influenced by personal, interpersonal and community factors. Therefore, developing and apply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prevent vitamin D deficiency among women in the community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family and public educ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egion. This study was firstly attempted in Korea to identify the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the sun protection behavior in women, and provided evidence for intervention and research on sun protection behavior related to health promotion.;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개인간 및 지역사회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만 20~49세 성인여성으로, 조사지역은 기상청에서 자외선 관측 자료를 제공하는 6개 지역 중 위도가 서로 상이하고 만 20~49세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는 서울시, 포항시, 제주도를 선정하였으며, 대상자 수는 각 지역 당 202명씩 총 606명으로 하였다. 대상자 표집은 서울시 25개 구, 포항시 2개 구 및 제주도 2개 시의 모집단 연령별 구성비에 따라 대상자 수를 산출한 뒤 대상자를 임의 표집하는 인구비례 임의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9개 시·구에서 대상자를 추출하였으며, 각 시·구별 대상자 수는 3~64명이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1월 6일부터 15까지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60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565명의 대상자를 최종분석에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에 대한 각 수준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HLM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수준 분석 모형 중 임의절편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 수행정도는 35점 만점에 평균점수 18.19로, 3개 하위영역의 각 수행점수는 자외선차단제 사용, 외부활동 제한, 모자 및 양산착용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대상자의 햇빛차단행위 평균 점수는 제주도 18.80, 서울시 18.56, 포항시 17.24 순이었으며, 각 하위영역별 지역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외부활동 제한에서는 서울시 대상자가, 모자 및 양산착용은 제주도 대상자가 높은 수행을 보였다. 1.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개인 및 개인간 요인을 1수준으로 지역사회 요인을 2수준으로 하는 다수준 모형을 구축하였다. 1수준 변량 중에서 개인 및 개인간 요인들로 설명된 변량의 설명력은 약 7.9%, 2수준 변량 중 지역사회 요인으로 설명된 변량의 설명력은 19.0%로 개인 및 개인간 요인에 비해 지역사회 요인의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다수준 분석 결과 성인의 햇빛차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개인간 및 지역사회 요인으로는 1수준 고정효과에서 개인간 요인인 가족의 사회적 규범(β=0.060, p=.003)이 유의하였으며, 2수준의 고정효과에서는 거주지역(β=1.480, p=.015)이 유의하였다. 즉 햇빛차단행위에 대한 가족의 사회적 규범이 높을수록, 거주지역이‘동’인 경우 햇빛차단행위의 수행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 수행에는 개인간 요인인 가족의 사회적 규범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요인인 거주지역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지역사회 성인여성의 비타민 D 부족 예방을 위한 적절한 햇빛차단행위 수행을 위해서는 가족교육 함께 거주지역의 햇빛차단행위 특성과 관련요인을 고려한 지역사회 교육을 제공하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성인여성의 햇빛차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수준별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햇빛차단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수준에 대한 다차원적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