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김지수-
dc.creator김지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2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2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4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4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1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문화재의 조성연대와 유형에 따른 입지특성이 현재 문화재가 처한 홍수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해위험의 개념을 고찰하고, 홍수재해 분석 연구와 문화재의 홍수위험도 분석 연구 및 문화재의 입지특성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 문화재의 연대 및 유형에 따른 자연적, 역사·인문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문화재 중에서 홍수재해에 노출된 문화재를 가려내기 위해 서울시에서 구축한 100년, 200년, 500년빈도의 외수범람예상도와 10년, 30년, 50년빈도의 내수침수예상도를 토대로 홍수재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위험 문화재를 대상으로 정량적 위험도 평가 기법(Quantitative Risk Assessment)을 적용하여 연간 홍수위험도를 산정하였다. 이 결과를 앞서 분석한 문화재의 자연적, 역사·인문적 입지특성 및 홍수재해 분석 결과와 종합하여 서울시 문화재가 연대와 유형에 따라 어떤 입지특성을 지녔고 그것이 문화재별 연간 홍수위험도에 어떻게 관여하였는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재해, 취약성, 위험에 관한 개념을 검토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문화재의 연대 및 유형에 따른 입지특성이 재해위험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역환경에서의 홍수 발생에 초점을 맞춘 잠재적 재해 분석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인 문화재의 취약성을 함께 고려할 때 진정한 문화재의 홍수위험도가 평가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재해적 영향을 저감 또는 증폭시키는 내부적 위험요인으로서 문화재 고유의 속성에 관한 물리적 분석과 함께 인문·사회과학적 자료를 분석에 포함할 때 보다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둘째, 서울시 문화재의 조성연대와 유형별 고도, 경사, 수계거리, 지형입지 등 홍수위험과 관련된 자연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양상을 역사·인문적 입지배경과 함께 설명하였다. 연대 및 유형별 입지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홍수피해에 노출되기 쉬운 입지특성을 지닌 연대의 문화재는 연대미상, 삼국시대, 근대·일제강점기 문화재로 나타났다. 홍수에 민감한 입지특성을 지닌 유형은 상업·유통, 교통, 근대교통·통신, 지구과학기념물, 주거, 관청, 궁궐로 나타났다. 셋째, 100년, 200년, 500년빈도의 외수범람 시나리오와 10년, 30년, 50년빈도의 내수침수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의 홍수재해를 분석한 결과 총 139건의 위험 문화재가 도출되었다. 이들의 연대별 비중을 검토한 결과 조선시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근대·일제강점기, 연대미상, 고려시대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형의 측면에서는 생물과학기념물, 관청, 민속신앙, 교통, 주거 유적 등이 높은 비중을 보였다. 조성연대와 유형을 동시에 고려하여 위험 문화재 내 비중을 확인한 결과 조선시대 생물과학기념물, 관청 및 교통 문화재, 연대미상의 민속신앙 문화재, 조선시대 조경 문화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위험 문화재별 연간 홍수위험도를 도출한 결과 외수범람 시나리오에서는 풍납동 토성, 암사동 선사주거지, 영등포구 문래동4가 영단주택, 구 경성방직 사무동,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 등의 순으로 연간 홍수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다. 내수침수 시나리오의 위험 문화재 중에서는 경복궁,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동대문구 청량리동 부흥주택, 강남구 수서동 광평대군파 묘역(1), 종로구 가회동 북촌한옥마을 등의 순으로 홍수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다. 조성연대와 유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류한 문화재 그룹별 연간 홍수위험도의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외수범람 시나리오에서는 삼국시대 군영·성곽, 선사시대 주거유적, 삼국시대 무덤, 근대·일제강점기 군영·성곽, 주거, 근대산업·생산 문화재의 연간 홍수위험도가 전체 위험 문화재의 연간 홍수위험도 평균값을 상회하는 높은 위험 수준을 나타냈다. 내수침수 시나리오에서의 위험 문화재의 경우 조선시대 궁궐 및 조선시대 무덤의 연간 홍수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다. 다섯째, 위험 문화재의 연대와 유형에 따른 자연 및 역사·인문적 입지특성과 오늘날의 환경에서 예상되는 홍수재해 분석 결과와 연간 홍수위험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 문화재는 풍수지리나 유교 규범 등의 사상, 시대적 맥락 속에서 지역이 지녔던 지정학적 이점과 도시운영 지침, 산업화에 따라 재평가된 지역환경 등 서로 다른 역사·인문적 배경을 토대로 유사한 지형·수문환경에 입지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한강 본류와 지류의 합류부에 맞닿은 낮고 완만한 범람원, 또는 지류 인근의 저지대나 경사급변지 상에 위치해있어 다른 곳에 비해 홍수가 발생하기 쉬운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극한강수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지형기복과 수계로부터의 인접성에서 기인하여 수공구조물에 가해지는 내재적 하중에 시설의 결함과 개발압력에 따른 시설 성능의 저하 문제가 더해지면서 문화재의 홍수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강수 패턴과 날로 심화되는 도심개발 등 인위적 효과가 결부되어 향후 문화재는 더욱 큰 홍수위험에 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개별 문화재에 대해 이루어지던 국지적인 재해위험 분석을 넘어 지역의 스케일에서 지역 내 모든 문화재의 특성 전반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홍수위험도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또한 위험 문화재의 단순 도출에서 나아가 문화재별 연간 홍수위험도를 절대적 수치로 정량화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나아가 과거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유래된 문화재의 내재적 특징과 오늘날 설치된 홍수방어시설 속에서 극한강수로 인해 현재 문화재가 처한 홍수위험 간 연관성을 보다 합리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toward the flood risk of heritage. For this purpose,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disaster risk, flood risk analysis of cultural heritage,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were reviewed. Based on this, natural and historic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age and type were analysed. Flood hazard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cultural heritage exposed to flood hazard among the cultural properties of Seoul based on the flood hazard map of 100, 200, 500 years flooding scenarios and 10, 30, 50 years inundation scenarios. The average annual loss i.e. flood risk for each cultural heritage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 Technique. The result was integrated with the na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results of the flood hazard analysis to explain how cultural heritage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age and typ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flood risk.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impli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age and type have a different impact on disaster risk.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lood risk of cultural heritage can be assessed when considering the vulnerability of the cultural properties to be studi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potential hazard focusing on the occurrence of floods in the lo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include humanity and social sciences data in the analysis together with the natural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roperty itself as internal risk factors that reduce or amplify the disaster impact from the outsid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cational factors related to flood risk of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age and type, cultural heritage of unknown age showed the lowest elevation and slope, and the shortest water distance so that it is at the circumstance sensitive to flood damage. The age with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easily exposed to flood damage were unknown age, Three-Kingdom period, and the moder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ypes with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easily exposed to flood damage were commerce and distribution, traffic, modern traffic and communication, geological monument, residence, government office, and palace. Third, 139 cultural heritage at risk were extracted from flood hazard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hydrologic modeling based on 100, 200, 500 years flooding scenarios and 10, 30, 50 years inundation scenario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portions of the age of heritage, the Joseon period occupied more than 60%, followed by the moder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unknown era, and the Goryeo period. In terms of types, biological monument, government office, folk religion, traffic, and residential ruin showed high propor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roportions in the cultural heritage at risk, the biological monument, government office and traffic properties of the Joseon period, the folk religion assets of the unknown age, and the landscape properties of the Joseon period were ranked high. Fourth,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ood risk for each cultural group classified by age and type, in the flooding scenarios the castle assets of Three-Kingdom age, prehistoric residential assets, tombs of Three-Kingdom period, military, residential, and modern industrial asset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ed the higher flood risk than the average annual flood risk of all cultural heritage at risk. In the case of inundation scenarios, the flood risk of the palace and tombs of Joseon period was highly estimat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 history, and humanity according to age and type of cultural heritage at risk, and the results of flood hazard analysis and flood risk were examined comprehensively. These cultural properties were based on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such as feng shui theory and Confucian norms, geographical advantage of the reg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urban operation guidelines, and reevaluated loc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industrialization. These areas are located on low and gentle floodplain that meet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and tributaries, or near the bottom of the tributaries. As a result, when an extreme event occurs the inherent load applied to the hydraulic structures due to the topography and the proximity from the water system increases the flood risk of the cultural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 defect and lowering facility performance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pressure. In this situation, owing to the rapid change of the precipitation patterns by climate change and the artificial effect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cultural assets will be subjected to a greater flood risk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flood risk was assess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ll cultural properties in the area beyond the local risk analysis that has been done for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it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has quantified the flood risk of cultural heritage as an absolute value in addition to the simple extraction of cultural heritage at risk. Th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the researches on disaster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in that i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perties derived from pas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the current flood risk in a flood defensive facility installed today comprehens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B. 연구 방법 7 C. 연구 지역 10 1. 자연환경 10 2. 역사인문환경 1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4 A. 위험의 개념 14 1. 잠재적 재해(Hazard) 15 2. 취약성(Vulnerability) 18 3. 위험(Risk) 21 B. 선행연구 동향 24 1. 홍수위험도 분석 연구 24 2. 문화재의 홍수위험도 분석 연구 25 3. 문화재의 분포 및 입지특성 연구 29 C. 시사점 및 소결 35 Ⅲ. 서울시 문화재의 현황 및 입지특성 38 A. 문화재의 현황 38 1. 서울시 문화재의 전반 38 2. 문화재의 조성연대별 현황 40 3. 문화재의 유형별 현황 42 B. 문화재의 조성연대 및 유형별 입지특성 45 1. 입지특성 분석요인의 설정 45 2. 문화재의 조성연대별 입지특성과 공간 분포 50 3. 문화재의 유형별 입지특성과 공간 분포 66 C. 소 결 90 IV. 문화재의 홍수재해 분석 97 A. 홍수재해 분석 방법의 검토 및 적용 97 1. 분석 방법의 검토 97 2. 분석 방법의 세부 적용과정 98 B. 위험 문화재와 재해노출도 분석 108 1. 외수범람 시나리오와 위험 문화재 108 2. 내수침수 시나리오와 위험 문화재 127 C. 소 결 139 Ⅴ. 위험 문화재의 연간 홍수위험도 평가 145 A. 연간 홍수위험도 평가 방법의 검토 및 적용 145 B. 홍수위험도 평가 148 1. 홍수재해 분석 148 2. 취약도 분석 149 3. 손실도 추정 155 4. 홍수위험도 평가 159 C. 연간 홍수위험도 평가 결과 170 1. 위험 문화재의 연간 홍수위험도와 공간적 분포 170 2. 조성연대 및 유형별 문화재의 연간 홍수위험도 179 Ⅵ. 종합 고찰 188 A. 외수범람 시나리오에서 위험 문화재의 홍수위험에 대한 고찰 189 1. 서울 동부의 잠실, 광진구, 성동구 일대 189 2. 서울 서부의 용산, 영등포, 가양동 일대 196 B. 내수침수 시나리오에서 위험 문화재의 홍수위험에 대한 고찰 203 1. 광화문 일대 203 2. 수서동과 일원동 일대 211 3. 서교동 일대 215 Ⅶ. 결 론 221 참고문헌 226 ABSTRACT 2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401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문화재의 입지특성과 홍수위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문화재의 조성연대 및 유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nd Flood Risk : Focused on the Age and Type of Cultural Heritage-
dc.format.pagexii, 25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