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n Effective Management of Infants’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Authors
김현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효과적인 동극 활동 운영을 위해 창의극을 활용한 동극 활동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의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 창의극을 활용한 과정 중심적인 동극 활동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따른 유아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햇살유치원 내 초록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초록반 유아 22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8년 1월 20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는 유아 동극 활동의 문제점 인식 및 해결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실행 방안에 대한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동극 활동 모습을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 노트를 만들었고 동극 활동 계획안, 교사 저널 등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창의극을 활용한 동극 활동에 따른 유아의 반응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극 활동이 공연을 목적으로 동화 내용의 기억과 재연에 치우쳐 있으며 일정한 순서와 과정을 연습하는 형태로 실시되고 있는 문제를 인식 후 효과적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유아의 표현력과 아이디어 증진 및 과정 중심적인 동극 활동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위해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을 실행하기로 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표현력과 아이디어 증진을 위해 창의극 중 무언극, 즉흥표현을 활용하였으며, 과정 중심의 즉흥적인 활동에 초점을 두고 시행되는 창의극을 통해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로 함께 만들어 가는 과정 중심적인 동극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1차 실행 결과 무언극을 활용한 신체, 미술로 표현하기와 언어를 통한 즉흥표현과 도구를 활용한 소리 만들기는 유아의 아이디어와 즉흥적인 표현력을 신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개별적인 표현력은 증진되었지만, 상황에 따른 적극적인 표현이 부족하고 다른 친구와 함께 표현하는 것을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였다. 2차 실행에서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유아 표현력 증진 및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예술적 협동경험을 제공하는 방안을 계획하였다. 이에 따른 2차 시행 방안으로 즉흥극과 협동적 동극 활동을 통합한 활동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둘째, 창의극을 활용한 유아 동극 활동으로 초록반 유아는 다양한 역할 참여를 통한 융통성과 자신감이 증진되었으며 신체, 언어 표현능력 및 다양한 예술적 표현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친구의 표현을 격려하고, 협력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유아의 즉흥적인 상상력으로 새롭게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 중심의 동극 활동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창의극을 활용한 동극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a plan of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drama activities and examined infants’ responses in the action process. It also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ocess-based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in the education field and enhance educational effects. Some questions are rai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1. How can infants’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be effectively managed? 2. How are infants’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effective management of infants’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horok class of Haetsal kindergarten located at Seoul, and the subjects include 22 infants enrolled in Chorok class. The period of study ranged from January, 20 to May, 31, 2018. This study progressed in turn: recognition on problems of infants’ drama activities and seeking a plan to solve them; the 1th action; the 1th evaluation of action; the 2nd searching for a plan; the 2nd action; and evaluation of the action plan. The field note was completed by recording and transcribing drama activities. From an analysis on a drama activity blueprint and journals for teachers, infants’ responses to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were arrang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d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after recognizing that drama activities for performance are biased toward memory and repetition of fairy tale contents and only uniform processes are practiced according to a constant order. From the results, it was necessary to seek out a plan of process-based drama activities and enhance infants’ expression and idea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rama activities, and therefore, infants’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were determined to be performed. At the 1st action, a pantomime and impromptu expression of creative drama was used to enhance infants’ expression and ideas, and process-based drama activities created together through infa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were promoted, based on creative drama focusing on process-based impromptu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1st action showed that expressing with the body and fine arts using a pantomime, impromptu expression using language and making a sound using some tools gave some opportunities to extend infants’ ideas and impromptu expression. However, although individual expression has been improved, infants had little active expression depending on each situation and difficulties in expressing something together with their peers. At the 2en action, a plan for providing artistic and cooperative experience to them was designed, so they could increase active and a variety of expression and work with others. Therefore, activities integrating impromptu drama and cooperative drama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performed. Second, infants’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enhanced confidence and flexibility of infants in Chorok class, by allowing them to play various roles and fostered body and language expression and a variety of artistic expression. In addition, such activities also increased their pro-social activities by encouraging them to praise peers’ expression and cooperate with them, and experience problem-solving processes. This study proposed process-based drama activities which could be newly modified and reorganized with infants’ impromptu imagin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rama activities, and also suggested a plan for drama activities using creative drama.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design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drama activities, in the field of preschoo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