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6 Download: 0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의 규칙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의 규칙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class rule for 3-year-olds in the Saesak class at Saemteo kindergarten
Authors
하민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at kind of rules there are at a Saessak class for 3 year olds, Saemteo Kindergarten and what characteristic they have and analyzes reasons why young children break the rules and the way teachers teach the rules. Hence, it aims to make teachers in the field expand their understanding on the class rules for 3 year olds. To achieve such aims of the study, research topics are set as follows. 1. What are the class rule for the 3-year-olds at the Saessak class, Saemteo Kindergarten? 2. What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do the class rule have for the 3-year-olds at the Saessak class, Saemteo Kindergarten? 3. What would lead to children's noncompliance for the 3-year-olds at the Saessak class, Saemteo Kindergarten? 4. How teachers do encourage children to follow the class rule for the 3-year-olds at the Saessak class, Saemteo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Saessak class for 3-year-olds, Saemteo Kindergarten located at Seoul, ranging from March to December, 2017. It was done for 21 young children and 2 teachers at the Saessak class for 3-year-olds. For data collection, the current study carried out 60 participant observations, 12 interviews with teachers, informal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udio recording and document collection, and then constructed database for field notes and interview transcriptions. Also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and encodi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kind of class rule at the Saessak class, there were 7 rules including 'Getting along with friends', 'Keeping order', 'Arranging· organizing', 'Keeping seat', 'Behaving safely', 'Cleaning-up' and 'Keeping table manners'. 'Getting along with friends' is the rule of peer relations for young children to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in a harmonious manner. 'Keeping order' is the rule for young children to live an orderly life, and they have to line up when moving and wait for their turn for an activity. 'Arranging· organizing' is the rule for them to arrange·organize their things and classroom toys under cooperation after free-choice activities. 'Keeping seat' is the rule for their safety and order. Through this rule, teachers could give them instructions safely and smoothly since they could know where young children were. 'Behaving safely' makes children move their bodies and use toys and playing equipments with safe. Cleaning-up' is on their clean bodies and 'Keeping table manners' is on their proper dining etiquette and habit. Secondly, characteristics of class rule at the Saessak of 3-year-olds are as follows. 'Class rule is similar to contents of the basic life habit education.', 'Class rule lead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Class rule are essential processes for certain activity', 'Compliance with the class rule may be exempted depending on a situation', 'Class rule is standard for their peer relations' and 'A phenomenon of tradeoff may happen during compliance'. Through such rules, they could learn self-help skills including putting on and taking off clothes and shoes, and also order,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to live together others in a community. Besides, 3-years-old children could develop while experiencing and obeying the rules, understanding perspectives of others and moderating their mood and feeling as a member of a community. Teachers at the Saessak class sometimes exempted young children from compliance considering their health, personal taste and adaptation. Furthermore, Class rule of the Saessak had an effect on their peer relationship. Children protected their rights and solved conflicts based on the class rule. They were not willing to play with friends who often violated class rule. Thirdly, there were 7 reasons why 3-year-old children at the Saessak violated the rules including 'interpretation of the rules from their perspective', 'failing in regulating themselves', 'following a behavior of their close friend', 'personal reasons', 'maladjustment in class', 'thinking that rules are not to be observed necessarily' and 'thinking that violation may be concealed'. Children broke the rules since they interpreted the rules from their view or failed in regulating themselves. In addition, 3-year-old children violated the rules since they had personal reasons. They had difficulty in observing the rules because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ealth, difference in food preference,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the other hand, reasons why they violated class rule had something to do with their morality. They broke class rule when there was no one to see them and told a lie for denying the violation. Fourthly, practice by teachers for teaching class rule to 3-year-old children at the Saessak was divided into 'instructional step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structional steps' were classified into 'pre-instruction for compliance', 'instruction for compliance·violation' and 'post-instruction for compliance'. There were 12 'instructional methods' including 'Storytelling', 'Discussion', 'Directions', 'Explanation', 'Questions', 'Demonstration', 'Reward', 'Prohibition', 'Showing others' mood or position', Immediate action', 'Telling how to express' and 'Negotiation'. Teachers used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depending on kind of class rules. They mainly used 'Demonstration' for 'Arranging organizing', 'Showing others' mood or position' and Telling how to express' for 'Getting along with friends', and 'Immediate action' for 'line-up. It suggests that instructional methods have to be used according to kind of rules. Teachers used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according to response of young children. Teachers conducted the 1st instruction with 'Directions' and 'Questions', the 2nd instruction with 'Showing others' mood or position' and 'Explanation', and the 3rd instruction with 'Prohibition'. It means that instruction of the rules for 3-year-old children by teachers is a repetitive process to teach them class rules depending on responses by young children. The research examined class rules at the Saessak for 3-year-olds, Saemteo Kindergarten. 3-year-old children at the Saessak grew up as a community member by establishing the basic life habit education and learning a desirable behavior within a community through the rules. They broke the rules owing to their developmental level, personal reason and lack of the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the rules. Teachers taught them rules in a phased and repetitive manner so helped them with experiencing, understanding and observing the rules. Furthermore, when teaching the rules, they considered situations and contexts of compliance, developmental levels and personal reasons of children. This study findings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n teaching the rules to 3-year-old children through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on the rules at classes for 3-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규칙의 종류와 규칙의 특성은 무엇인 지 살펴보고, 유아들이 규칙을 위반하는 이유와 교사의 규칙에 대한 지도 방법이 무엇인 지를 분석하여 현장의 교사들에게 만 3세 학급 규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유아들이 지켜야 하는 규칙은 무엇인가? 2.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규칙의 특성은 무엇인가? 3.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유아들이 규칙을 위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교사가 유아들에게 규칙을 어떻게 지도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에서 이루어졌고, 연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3세 새싹반의 유아 21명과 교사 2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총 60회의 참여관찰과 12회의 교사 심층면담, 교사와 유아의 비형식적 면담, 동영상 촬영,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 등을 한 후에 현장 노트와 면담 전사본을 자료화했고,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 부호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싹반 규칙의 종류는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 ‘차례 지키기’, ‘정리·정돈하기’, ‘자리 지키기’, ‘안전하게 행동하기’, ‘청결히 하기’, ‘바르게 식사하기’의 7가지가 있었다.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는 유아들이 또래 친구들과 조화롭게 지내기 위한 또래 관계에 대한 규칙이었다. ‘차례 지키기’는 유아들이 질서 있게 생활하기 위한 규칙으로, 학급 유아 전체가 이동할 때 줄을 서야하고 활동을 할 때 자신의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었다. ‘정리·정돈하기’는 자신의 물건을 정리·정돈하는 것과 자유선택활동 시간 후 모두 함께 협력해서 학급의 놀잇감을 정리하는 것이 있었다. ‘자리 지키기’는 유아들의 안전과 질서를 위한 규칙이었다. 교사는 ‘자리 지키기’규칙을 통해, 유아들이 어디에 있는 지를 알 수 있어 안전하게 교육할 수 있었고 수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었다. ‘안전하게 행동하기’는 유아들이 자신의 신체를 안전하게 움직이고 놀잇감과 놀잇기구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었다. ‘청결히 하기’는 유아들이 자신의 몸과 주변을 깨끗이 해야 한다는 것이고, ‘바르게 식사하기’는 유아들이 올바른 식사 예절과 습관을 기르기 위한 것이었다. 둘째, 새싹반 규칙의 특성은 ‘기본생활습관의 내용과 유사하다.’, ‘유아의 발달을 이끈다.’, ‘특정 활동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상황에 따라서 규칙 준수가 면제되기도 한다.’, ‘유아들이 또래 관계를 맺는 기준이 된다.’, ‘유아 간 규칙 준수 시 상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의 6가지로 분석되었다. 새싹반 규칙은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의 내용과 유사했다. 유아들은 규칙을 통해 옷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등의 자조 기술과 공동체에서 다른 사람과 지내기 위한 질서, 배려, 협력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규칙을 경험하고 준수하며 발달해갔다. 규칙을 통해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조절하여 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해갔다. 새싹반 교사는 유아의 건강 상태, 개인적 기호, 적응 정도 등을 고려해서 규칙 준수를 면제해 주기도 했다. 또한 새싹반의 규칙은 유아들의 또래 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유아들은 규칙을 기준으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갈등을 해결해갔고, 규칙 위반을 자주하는 유아들과는 함께 놀지 않으려 했다. 셋째, 유아들이 규칙을 위반하는 이유는 ‘규칙을 자신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때문’, ‘자기 스스로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 ‘친한 친구의 행동을 따라 하기 때문’, ‘개인적 사정이 있기 때문’, ‘학급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 ‘규칙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 ‘규칙 위반을 숨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의 7가지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기 관점에서 규칙을 해석하거나 자신을 조절하지 못해서 규칙을 위반했다. 또한 만 3세 유아들은 개인적 사정이 있기 때문에 규칙을 위반했다. 유아들은 건강상의 이유, 식품 선호도의 차이, 기질, 성격 등의 개별 특성으로 인해 규칙을 준수하기 어려웠다. 한편, 규칙 위반 이유는 유아들의 도덕성과도 관련이 있었다. 유아들은 보는 사람이 없으면 규칙을 위반하기도 했고 위반을 부인하는 거짓말을 하기도 했다. 넷째, 교사가 만 3세 새싹반 유아들에게 규칙을 지도하는 실제는 ‘교수 단계’와 ‘교수 방법’으로 구분되었다. ‘교수 단계’는 ‘규칙 준수 사전 지도’, ‘규칙 준수·위반 발생 시 지도’, ‘규칙 준수 사후 지도’로 구분되었다. ‘교수 방법’은 ‘스토리텔링하기’, ‘토의하기’, ‘지시하기’, ‘설명하기’, ‘질문하기’, ‘시범보이기’, ‘보상하기’, ‘금지하기’, ‘상대방의 기분이나 입장 알리기’, ‘즉각 실행하게 하기’, ‘표현방법 알려주기’, ‘협상하기’의 12가지가 있었다. 교사는 규칙의 종류에 따라서 교수 방법을 다르게 사용했다. ‘정리·정돈하기’는 ‘시범보이기’를,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는 ‘상대방의 기분이나 입장 알리기’, ‘표현방법 알려주기’를, ‘줄서기’는 ‘실행하게 하기’를 주로 사용했다. 이는 규칙의 종류에 따라 교수 방법을 달리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교사는 유아의 반응에 따라서 교수 방법을 달리 사용했다. 교사는 ‘지시하기’, ‘질문하기’로 1차 지도를, ‘상대방의 기분이나 입장 알리기’, ‘설명하기’로 2차 지도를, ‘금지하기’로 3차 지도를 했다. 이는 만 3세 교사의 규칙 지도는 유아에게 규칙을 지도하고 유아의 반응에 따라 다시 규칙을 지도하는 과정의 반복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샘터유치원 만 3세 새싹반 규칙에 대해 살펴봤다. 새싹반 유아들은 규칙을 통해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고 공동체에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배워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해갔다. 유아들은 발달 수준 때문에, 개인적 사정 때문에, 규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규칙을 위반했다. 교사는 규칙을 단계적, 반복적으로 지도해서 유아들이 규칙을 경험하고 이해하여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규칙 준수의 상황과 맥락, 유아들의 발달 수준, 개인적 사정 등을 고려해서 규칙을 지도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만 3세 학급의 규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규칙을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