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0 Download: 0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s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진
Abstract
영어는 전세계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국제 공용어로써의 수단이 되었다.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거나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외국어로 배우는 국가의 인구가 영국, 미국, 호주와 같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의 인구보다 3배 더 크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영어는 특정 국가에만 국한된 언어가 아닌 전세계의 공통어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Kachru, 1990). 이에 따라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반이 되는 어휘 학습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서도 구두 청각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과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 Translation Method)을 지양하고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을 지향하게 되었다. Schmitt(2000)의 주장에 따르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어휘 학습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어휘 학습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김영숙, 2002; 배두본, 1998; 정동빈, 2009; 최연희, 2009; 최연희, 전은실, 2006). 특히 초급단계의 영어 학습자가 처음 접하는 것이 어휘이기 때문에 초등 학습자와 같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어휘 지도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재미있고 흥미로운 어휘 학습법을 통해 초등학습자를 가르쳐야 한다는 방침을 정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5). 이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Asher(1977)의 전신반응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을 초등 어휘 학습에 적용하였으나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보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자에게 학습 선택의 자율권을 주고 자기 평가를 통해 성찰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지만 초등 학습자의 어휘 학습과 연계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신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한 어휘 학습법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지만, 어휘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수용적 지식(Receptive Knowledge)습득에 주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쳤으며, 표현적 지식(Productive Knowledge)습득에 주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초등 어휘 학습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자료 분석에서 이전의 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학습과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목표어휘를 직접 몸으로 표현해보는 실험 집단과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을 하는 통제 집단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전 어휘 평가지, 설문지와 사후 어휘 평가지, 설문지를 통해 어휘 학습 효과와 정의적 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내용으로써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수용적, 표현적 어휘 지식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나아가 능숙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수용적, 표현적 어휘 지식의 습득 효과도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학습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관심도, 중요도, 자신감, 학습 현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방법으로 IBM SPSS를 이용하여 집단 내 분석에서 대응표본 t-test를, 집단 간 분석에서 독립표본 t-test를 적용하였다. 실험 진행을 위해 경남 창원시 소재 N초등학교 6학년 4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9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통제집단은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을, 실험집단은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질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과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 모두 집단 내 비교에서 어휘 학습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집단 간 분석에서는 어휘 학습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어휘 습득 효과를 수용적 어휘 지식과 표현적 어휘 지식 측면에서 분석했을 때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집단 내 비교에서 영어 능숙도에 따른 어휘 습득 양상에 대해, 신체 표현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은 하위 집단의 표현적 어휘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은 상위 집단의 표현적 어휘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집단 간 비교에서는 두 학습 기법의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내 분석에서 신체 표현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은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에 유의미했으며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은 영어에 대한 중요도 인식하락에 유의미하였다. 집단 간 분석에서는 영어 어휘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도, 중요도,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휘 학습의 유용성을 묻는 질문에 실험 집단의 60%가 어휘 학습에 유용하다고 응답했으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13.5%에 그쳤다. 반면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을 한 통제집단은 학습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실험집단 응답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26.9%였으며, 학습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실험집단 응답의 2배에 가까운 25.5%였다. 따라서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이 어휘 학습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더 유용한 어휘학습 방법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수업의 장점과 단점을 묻는 개방형 문항에서 장점으로는 단어를 몸으로 표현함으로써 단어를 기억해 내는 것이 쉬웠고, 활동이 하나의 놀이 같아서 지루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반해 단점으로는 수업시간이 너무 짧고, 모든 단어를 몸으로 표현해 보는 것이 부담이 되었으며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경우에만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 초등 영어 교육에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이 학습자들의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을 근거로, 어휘 학습에 있어 불안감을 가지고 부담을 느끼는 학습자에게는 신체 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을 통해 어휘 학습이 하나의 놀이로 인식되어 부담감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과 전통적 암기식 어휘 학습에 대한 유용성 인식 비교를 토대로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이 초등 학습자에게는 더 선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전통적 암기식 위주의 어휘학습보다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을 적용하여 초등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어휘 학습 방법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셋째, 신체표현을 통한 어휘 학습과 같은 오관을 활용한 다양한 어휘 학습법을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초등 영어학습자들이 전통적인 암기방식 외에 실생활에서도 다양한 경험을 통해 효과적으로 어휘를 학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English has become an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 and is a method that allows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cluding countries like the Philippines and Singapore using English as its official secondary language, and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China and Germany, whic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glish and learn English as a secondary language, the population that use English as its secondary or tertiary language is three times bigger than that of countries that use English as its primary language, such as United Kingdom of England,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Australia. This shows that English is not limited to certain countries, and instead has become an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 (Kachru, 1990).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English has been focused on, and so active vocabulary learning has to take place in order to establish smooth communication. So, the South Korean English education began to reject audio-lingual method and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instead support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leading to active research about vocabulary learning based on Schmitt’s (2000) argument that supports vocabulary learning. (Yeong-sook Kim, 2002; Du-bon Bae, 1998; Dong bin Jeong, 2009; Yeon-hee Choi, 2009; Yeon-hee Choi, Eun-shilJeon, 2006). Among research about vocabulary learning, since learners in the primary level encounter vocabulary first before anything else when learning English, there has been an increased demand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for learners in the primary level. S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created a policy that states that learners in the primary level should be taught through entertaining and interesting vocabulary learning classes centered on the learners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5). Following this, many researches have been proposed applying the total physical response by Asher(1979) in the primary vocabulary learning, but this had its limitations since classes centered on learners could not be composed. Classes centered on the learners are successful ways of teaching by giving the empowerment of choosing learning methods to the learners and a chance to reflect upon oneself through self-evaluations, but domestic researches that connect primary learners and vocabulary learning have very poor states. So, many other vocabulary learning researches that 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otal physical response in various ways have been attempted, but this merely led to learning the effects of learners acquiring receptive knowledge through vocabulary learning, and researches that tried to understand the acquirement of productive knowledge have been very incomplete. As a result, this research tries to find out how vocabulary learning method that uses physical expression influences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cquirement of vocabulary and affective domains,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primary vocabulary learning plan and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former research in the data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4 6th grade elementary classes, or 90 students, were temporarily chosen in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sangnam-do, Changwon.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PP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vocabulary learning through physical expression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ach class.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First, there was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in both groups that learned vocabularies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and learned vocabulary through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 However, in the analysis of each group, there was an equal effect in vocabulary learning.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when analyzing each group’s vocabulary learning effect in terms of receptive knowledge and productive knowled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vocabulary learning based on English skills, since vocabulary learning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y gave a positive impact on every aspect except for the lower-level group’s productive knowledge and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s was significant in every aspect except for the higher-level group’s productiv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equal effect within the two learning effect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Third, during the analysis of th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impact on how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y raised the confidence of the learners and it is also significant how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 decrease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Within the analysis of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terest, importance and confidence aspects of English learning by the English vocabulary learners. When asked the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60% of the group that learned the vocabularies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responded by saying that the activities were useful for vocabulary learning, while only 13.5% responded that the activities were not useful. On the contrary, those within the group that learned the vocabularies through the traditional memorizing methods who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 learning was only 26.9%, which is not even half of the group. Moreover, 25.5% of the group responded negatively to the question, which is almost twice the number of the learners who responded negatively to the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earners understood that the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to learning English vocabularies. Furthermore, in the open question that asks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vocabulary learning classes through physical expression, there was an overwhelming response saying that the benefits of the classes were that it was easy to remember the vocabularies by expressing them physically and that the activities were not boring since they felt like games. On the other hand, the drawbacks pointed out that the class times were too short, it was a burden to express every vocabulary through physical expressions and that learning was only allowed if the learne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n, it could be concluded tha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through physical expression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vocabulary collection. Also, making learners think of learning as a sort of game, thus lessening the burden of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vocabulary learning effects but also on some affective domain as well.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on the South Korea’s primary education for English. First, based on the fact that significant results were created in the learners’ confidence aspect through vocabulary learning using physical expressions, learners who are anxious and burdened about learning should be able to lessen their burden by recognizing that learning can be a form of game through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physical expression. Next, it can be seen that elementary level learners prefer learning vocabulary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learning vocabularies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and the traditional memorizing way.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elementary level learners to suggest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by applying vocabulary learning through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s. Lastly, there is a need to apply divers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such as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that use the five senses to elementary level English learners in order to allow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hrough many experiences in real life, besides using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