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정은하-
dc.creator정은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8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7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117-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the ethics subject has most comprehensively covered the issue of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ts contents and methods face chronic limitations, such as frequent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olitical and social terrains and mandate-centered reunification discus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ethics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the 'subject-centered perspective' should be presented above all.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moral values' can lead to ethical inquiry-centered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a consistent value system. Therefore, the 'peace education perspective' of the ethics subject can offer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The purpose of peace education is to cultivate peaceful ability to eradicate violence in everyday life and to practice peace more proactively. The ethics subject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integrated peace education is integrated can deal with the issues of South-North Korea division and unification with the ethical value of 'pe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direction of the ethics subject unification education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The specific discussion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thics subject unific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thics subject unification education per period, the relevant feature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necess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peace education. In Chapter III, theoretical background for peace education was explored. After reviewing the concepts of peace in a multifaceted way, the history, notions, objectives, methods, and domains of peace education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Moreover,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peace education reunificatio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Chapter Ⅳ, the core of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thics 2」 textbook the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explained the complementary points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to more practically explore the applications of the peac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ethics sub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synthesized to become the criterion of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descriptions of textbooks could cause narrow-minded thinking about North Korea and South-North Korean relations, and result-centered descriptions inhibited inquiry-centered learning. Therefore,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ea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unification as process of and the recognition non-peace status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ful settlement of South-North Korean conflicts and acti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derived. This study presented a practical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ethics subject perspective" through textbook analysis and suggestion of complementary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eries of research process can contribute to the proactive development of the ethics subject unification education.;“도덕 교육다운 통일교육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었다. 도덕 교과는 북한과 통일 관련 문제를 가장 종합적으로 다루어 온 교과로서 그 정통성과 위상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내용과 성격에 있어 몇 가지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중심 가치는 ‘안보 정신’과 ‘화해 협력 정신’이라는 양립 구도 안에서 형성되어 왔다. 보수 혹은 진보로 대표되는 이념 구도와 정치적 맥락 속에서 통일교육 내용 체계는 변화를 거듭하였다. 이는 결국 올바른 도덕관이나 통일 담론으로 확장되는 데 난제로 작용하였다.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근본적 한계는 ‘통일 논의 방식’에 대한 문제로 이어졌다. 도덕 교과의 통일 논의는 주로 통일의 필요 및 당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통일의 필요성과 긍정성을 부각함으로써 ‘통일은 마땅히 되어야 할 일’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 전개 방식은 도덕 교과의 성격과 다소 부합하지 않는 면이 있다. 도덕 교과는 기본적으로 ‘도덕적 탐구 및 윤리적 성찰’을 추구한다. 이 점에서 도덕 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다루어지는 통일교육은 나열식, 암기식이 아닌 ‘과정 학습’으로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통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근본적 가치가 무엇인지 탐구하게 함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넓혀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볼 때, 도덕 교과 통일교육은 ‘평화교육적 접근’을 통해 새롭게 접근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평화교육은 폭력을 근절하고 주체적으로 평화적인 삶을 살아나갈 수 있는 평화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도덕 교과 통일교육은 평화교육을 수용함으로써 분단과 통일의 문제를 보편적 가치로 다룰 수 있으며, 분석과 탐구 중심의 실천 지향적 교육으로 거듭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평화교육적 접근에 기초한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의미와 적용 가능성 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과정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변천 과정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도덕 교과 통일교육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교육과정 등의 문서를 통해 돌아본 뒤, 그것의 특징과 과제 및 한계들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평화교육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전개하였다. 다양한 평화개념을 검토한 뒤, 평화교육의 역사와 개념, 목표,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 평화교육적 통일교육이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 탐색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2015 개정 『도덕 2』 교과서의 통일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평화교육 관점을 적용하여 보완점을 논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도덕 교과에서 평화교육적 통일교육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해 실제적으로 접근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구체적 연구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통일교육 내용의 특성을 취합한 뒤 분석 준거로 삼았다. 이에 평화교육적 관점을 적용하여 ‘북한에 대한 다원적 이해’, ‘한반도의 비평화 상태에 대한 인식과 과정으로서의 통일’, ‘남북 갈등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적극적 평화’의 내용을 다룰 것을 강조하였다. 도덕 교과 통일교육은 평화교육과의 만남 속에서 보편적 가치를 내면화하여 보다 윤리적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도덕 교육’과 다양한 폭력과 갈등의 문제에 전향적으로 대처해 나가도록 하는 ‘실천 교육’의 성격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는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의 함의를 찾을 수 있다. 평화교육적 접근은 도덕 교과의 본질적 성격을 확고히 함과 동시에 통일교육이 도덕 교과에서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대안적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및 내용 4 C. 연구 방법 4 Ⅱ.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및 특징 6 A.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시기별 변천 과정 6 1. 반공 교육 시기 7 2. 통일안보 교육 시기 11 3. 통일 교육 시기 13 B. 도덕 교과 통일교육의 특징과 과제 17 Ⅲ. 평화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 A. 평화의 어원 및 개념 23 B. 평화의 유형 25 C. 평화교육의 내용 및 성격 29 1. 평화교육의 역사 29 2. 평화교육의 개념 및 목표 31 3. 평화교육의 방식과 영역 33 D. 평화교육적 통일교육의 의미와 적용 37 Ⅳ.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통일 교육 내용 분석 42 A.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 교육과정 통일교육 내용 체계 43 B.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통일교육 집필 기준 44 1. 영역별 집필 기준 44 2. 내용 요소별 집필 기준 45 C. 교과서 본문 분석 46 1.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 48 2.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북한 주민의 생활 51 3. 북한 이탈 주민과 통일의 과제 53 4. 도덕적 관점에서 본 통일의 필요성 55 5. 통일 한국과 세계 평화 56 D. 준거에 따른 비판적 논의 58 1.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 58 2. 보편적 관점에 근거한 가치 판단 59 3. 통일의 도덕적 의미 60 E. 평화교육을 통한 분석 및 보완 방향 제시 62 1. 북한에 대한 다원적 이해 63 2. 한반도의 비평화에 대한 인식과 과정으로서의 통일 65 3. 남북 갈등의 평화적 해결과 적극적 평화 67 4. 제언 : 평화교육을 적용한 도덕 교과 통일교육 내용 체계 69 Ⅴ. 결 론 72 참고문헌 76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3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평화교육 관점을 적용한 2015 개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통일교육 내용 분석 및 보완 방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tent Analysis and Complementary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Ethics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Applying the Peace Education Perspective-
dc.format.pagev, 82 p.-
dc.contributor.examiner이지애-
dc.contributor.examiner이영환-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