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괴물의 전위

Title
괴물의 전위
Other Titles
The potential of a monster
Authors
이재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In many cases a journey of inner exploration starts when one wants to identify who he is. It arises from a will to find a special meaning in oneself or to create it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other existences. However, what are those unfamiliar feelings that one confronts when attempting to identify who he is within the inner-self? ‘I’ is surely a familiar being that one has been following since the birth but why is it difficult to identify who we are? Those questions arise to any confused person. The researcher felt afraid to disgrace himself in public and blocked things that he could lean on or to express feelings. As a result he went through pains created by himself and sought for something to express his feelings. But a monster was chosen to liberate his feelings. This was because the form and characteristic of a monster - as a result of sensory perceptions - can be infinitely imagined and there is no sense of guilt when inner feelings are applied to it. However, in the process the transfer of emotions to a monster was not one-sidedly planted but the monster and the researcher shared feelings. In other words the identification with the monster made the researcher consider it not as an outside existence but as a direct projection of his feelings. This creation of two senses of self resulted in the artist asking such questions as in the first paragraph, to himself.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sition and change of a monster in the artist’s concept by talking about the tools connoting infinity, open self- portrait, and related questions and answers in that order. In order to deepen and give actual shape to these concepts art practice is run parallel with the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The Change of a Monster’s Position’, the focus is to see how the primary idea of the monster changes within the researcher’s concept; two artists who effectively use an outside subject to represent them are examined. First, Jean-Michel Basquiat’s doodle is an excellent example explaining why the researcher uses a monster as his subject. On the other side, the difference with his work is examined and analyzed. Second, Martin Kippenberger’s open self- portrait is studied to identify how a monster became the researcher’s subject in order to project his inner world. The third chapter, ‘A Break away From a Single Existence’, presents the result of the researcher’s work following the research. A monster is captured in images -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 from the time when the researcher found nothing related in the outside world to the time when the researcher identifies him from the outside. The process of artwork under way allowed the researcher to immediately give shape to the changes of his concept. The researcher has experienced diverse relationships with a monster created by his imagination. By writing about it he attempts to give a new meaning to the idea of existence. A monster is a creation of the researcher but at the same time it represents an isolated existence from society, sharing feelings with the researcher. This idea triggers the researcher’s concept of making an artwork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saves the researcher. Thus the researcher is not within a closed and unseen existence. By learning from this open existence of the monster, the researcher hopes to continue exploring and making questions for the meaning of life.;스스로를 정의하고자 할 때, 그 탐구의 시작을 본인의 내부에서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유의 시작은 자신의 내부에서 특별한 의미를 발견, 혹은 창출하여 다른 존재들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존재가 되고자 함에 기인한다. 하지만 자기 존재의 정의를 온전히 내부에서 찾으려 할 때 마주하는 생경한 감각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잉태의 순간부터 단 한 번도 떨어진 적 없는 ‘나’는 전적으로 친숙한 존재임이 분명한데 자기 존재의 정의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질의는 혼란 속 존재에게서 발현한다. 본 연구자는 자기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단어를 찾고자 했을 때, 속해있는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에 따라 ‘나는 누군가의 딸이며, 친구이며, 연인이다.’라는 문장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함을 느꼈다. 하지만 위의 관계가 사라지는 순간을 경험했을 때, 상실감과 함께 본 연구자는 자신을 정의하는 요소가 사라지는 것에 혼란과 두려움 느꼈다. 이러한 경험은 부모의 죽음과 같은 관계의 상실을 상상했을 때 같은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상상 속 죽음에 대해서는 두려움을 느끼고 마주하는 것을 꺼렸으며, 죽음 이외의 이유로 관계가 끊어지지 않도록 다른 이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 죽음에 대한 도피행위였다.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었을 때 온전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관계를 끊어내는 요소라 간주했고 감정을 분출할 대상을 스스로 차단하였다. 이러한 잠재된 감정의 누적은 오히려 본인을 누군가와의 관계로 설명하는 것에서 그 대상으로부터 분리되기를 욕구하게 했다. 즉, 분출되지 못해 넘칠듯한 감정의 용광로에서 스스로가 어느 상황에서 희로애락을 느끼는지 알게 되었고, ‘관계함’으로부터 유발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관계하는 대상과의 분리를 원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 온 행동과 사고방식의 관성으로 실제세계에서 의존하는 누군가에게 감정을 분출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상상 속에서 감정을 분출할 수 있는 대상을 찾게 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자는 감정해방의 도구로 괴물을 선택했다. 괴물을 선택한 이유는 비실재적 존재로서 형태와 특성이 무한상상 가능하고 감정을 전가했을 때 어떠한 죄의식과 상실의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데에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괴물에 대한 감정의 전이는 일방적이 아닌 공유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상상 속에서 감정을 전가한 괴물과의 동일시는 괴물존재를 사회 밖으로 분리된 외부의 존재에서 본연구자의 투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괴물에 대한 이해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스스로에 대한 질의와 자신이 느꼈던 두려움을 마주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무한성을 내포한 도구’와 ‘열려 있는 자화상’, 그리고 ‘문답의 주체’의 순서로 본 연구자의 상상 속에서 괴물이 자리하는 위치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 기록하고자 한다. 괴물이 새롭게 이해되는 세 단계의 과정을 사회 외부에서 본인의 사유 내부로 옮겨지는 것으로 보고 위치가 변화한다는 뜻을 가진 ‘전위’로 서술하였다. 괴물의 전위에 대한 사유의 심화와 구체화를 위해 도자매체를 이용한 작업과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Ⅱ장 ‘괴물의 지위 변이’에서는 일차적 의미의 괴물이 본 연구자의 어떤 사유에 의해 의미변화를 일으켰는지 외부요소로 자신의 발의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낸 두 명의 예술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장 미셸 바스키아의 ‘낙서’를 제시하여 본 연구자가 ‘괴물’을 상상의 기제이자 감정해방의 도구로 선택한 이유를 서술할 것이다. 이어 연구를 진행하면서 인지한 장 미셸 바스키아의 도구와 괴물의 다른 점과 그렇게 사유하게 된 이유를 나열하고자 한다. 차이의 나열에서 찾은 ‘외부의 것’에서 인간, 나아가 본 연구자의 투영으로 기능하게 된 괴물을 마르틴 키펜베르거의 ‘열린 자화상’을 통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Ⅲ장 ‘단일존재에서의 탈피’는 Ⅱ장에서 전개된 괴물의 이해단계에 따라 본 연구자가 작업한 결과물이다. 교집합이 없다고 여겼던 외부의 존재부터 물음을 통해 주체를 형성시키는 존재까지 발전된 사유를 세단계로 나누어 각각에서 포착된 괴물의 형상을 담아낸 것이다. 연구와 함께 진행된 작업은 사유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구체화한 기록이다. 본 연구자는 상상 속에서 만들어 낸 괴물과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면서, 그 경험의 서술을 통해 ‘존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여기서 ‘존재’는 표면적으로 괴물을 의미하나 사회에 소외된 존재의 표상으로 감정을 공유했다는 점에서 ‘나’를 포함한다. 괴물이 촉발한 사유의 과정과 그 과정의 순환은 틀에 갇혀 무세계적인 존재로 전락하고 있는 나를 구출해주었다. 이러한 열린 존재로서의 괴물이 선사한 본인의 실존을 향한 탐구와 물음이 연속되길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