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흙을 통한 산수와 점경(點景) 표현

Title
흙을 통한 산수와 점경(點景) 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the Landscape and Jeomgyeong (點景) from Clay
Authors
한지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영
Abstract
본 논문은 큰 산수 속 작은 이야기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 흙을 통한 상상의 산수로 진행된 작업의 표현 방법적 연구를 통해 본인의 회화구조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 산수화에서 큰 산수와 작은 점경(點景)의 관계는 거대한 자연과 작은 사람, 동물, 사물의 조화로운 삶을 이야기한다. 점경(點景)은 點(점 점)에 景(볕 경)으로, 거대한 산수 안에서 작은 빛의 점이 산수를 환히 밝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자연 속 작은 점경(點景)은 자연의 거대함을 강조하며, 산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그 산수의 특징적인 성격을 내포한다. 이러한 전통 산수화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큰 산수 속에 본인의 이야기를 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전통 산수화의 큰 산수 속 작은 이야기의 자연관을 중심으로, 원망가진(遠望可盡) 사상과 점경(點景)의 이야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큰 산수는 멀리서 보아야 그 형상과 진면목(眞面目)을 알 수 있다는 원망가진(遠望可盡) 사상을 배경으로, 본인은 흙을 통해 산수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전체적인 형상을 본다. 그리고 점경(點景)의 이야기를 흙을 통한 산수에 표현되고 있는 토우와 도자기, 눈을 끄는 점(奪目點)인 당나귀를 통해 그 의미를 서술한다. 사람 모양과 동물 모양 토우는 산수에 살고 있는 존재이며, 보물처럼 곳곳에 숨겨진 도자기는 완상(玩賞)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본인의 이상과 감정이 실린 당나귀는 자유로운 나그네가 되어 산수를 유람한다. 표현 방법적 연구를 전통 실경산수화와 관념산수화가 아닌 흙을 통한 상상의 산수를 형상화하는 작업의 과정으로 기술한다. 본인은 상상의 산수를 관념적으로 표현하지 않기 위해 흙을 만졌고,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만지면서 자유롭고 다양한 형상을 만들었다. 흙의 형상은 산의 전체적인 형상으로 느껴졌고, 흙의 굴곡과 주름은 폭포로 연상되어 산수화로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흙과 본인의 접촉으로 느꼈던 촉각적인 경험을 통해 산수의 질감을 천연안료로 만지듯이 표현하였다. 이로써 흙을 통한 형상과 촉각적 표현방법으로 관념적이지 않은 상상의 산수를 표현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흙을 통한 상상의 산수를 흰색으로 표현하고 산수의 어떤 부분은 물에 잠기고 비치면서 신비롭게 형상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 분석에서는 <한 줌의 흙>과 <새벽별 잠기는 곳>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 줌의 흙>은 손이 가는 대로 만들었던 입체 흙 작업과 흙의 형상과 촉각을 중심으로 동양화로 만지듯이 표현한 초기작업이다. 그리고 <새벽별 잠기는 곳>은 본인이 만든 흙을 산수로 연상하여 표현하고, 그 안에 점경(點景)의 이야기를 담아 신비로운 상상의 세계를 형상화한 작업이다. 본 논문은 큰 산수 속 작은 이야기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흙을 통해 상상의 산수를 형상화한 본인의 회화구조를 정리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흙을 통한 상상의 산수에 본인의 점경(點景) 이야기를 담는 회화적 표현을 기반으로 앞으로의 발전적인 작업 진행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ursue a theoretical study with a little story of view of nature in the large landscape. I will set up my painting structure with the analysis of fictive landscape work procedure from clay.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arge landscape and the little Jeomgyeong (點景) indicates harmonious lives of vast nature, animals, and things. Composed of the concepts of jeom(點), which means a dot, and gyeong(景), signifying light, the Jeomgyeong (點景) is founded on the idea that the tiniest lights brighten the landscape in the large landscape. Therefore, the little Jeomgyeong (點景) in great nature underlines the hugeness of the nature. It also embraces the characteristic traits and enriches the contents by making up the story of the landscape. With this view of nature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I continued the work which has my story in the large landscape. Also, I will concentrate upon the theoretical study with the view of nature in the large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I seek to examine about the wonmanggajin (遠望可盡) philosophy and the story of Jeomgyeong (點景). Based on the wonmanggajin (遠望可盡) philosophy which means one can see the appearance of the large landscape and its real worth when seen from a distance, My work sought to see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landscape by making it smaller from clay. And I will examine the meaning of Jeomgyeong (點景) by including clay dolls, potteries, and donkeys which catch the eye. All these things are comprised in the landscape through clay. Men and animals shaped clay dolls live in the landscape. Like treasure, there are potteries here and there like hidden treasures which involve wansang (玩賞). And as unconstrained travelers, the donkeys which have my ideals and feelings travel to every corner of the land. Expression methodical study is explained not through the traditional realview landscape painting and fictive landscape painting but through forming the fictive landscape work procedure from clay. I touched the clay in order not to ideologically express the fictive landscape and I made various unconstrained shapes, leaving my hand to touch the clay. I became aware that the shapes of clay are the overall shape of the mountain and I embodied ridges and creases of the clay as the landscape painting because they are associated with waterfalls. From my tactual experience, I expressed the texture of landscape as if I felt it with a natural pigment. Thereby, with the shapes from clay and the tactual method of expression, I could express the non-ideological fictive landscape. I painted the fictive landscape from clay white and I also mysteriously embodied some parts which are reflected in the water. Based on such interpretation, this paper mainly develops the work analysis of and . is an initial work which was tactually expressed through oriental painting mainly by leaving my hand to touch the clay to make three-dimensional clay work, the shape of the clay and the sense of touch. And is the work where the mysterious fictive world is embodied by embracing the story of Jeomgyeong (點景) and expressing the associated landscape from the clay. This paper regards it as meaningful to establish my painting structure which embodied the fictive landscape with the little story of view of nature in the large landscape from the clay. I expect the future developmental work procedure based upon pictorial expression which embraces my Jeomgyeong (點景) stories in the fictive landscape from c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