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기억과 은유

Title
기억과 은유
Other Titles
Memory and Metaphors: A Study on Fiber Art Using Korean Knots
Authors
KIMSARAHJEESOO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인간에게 과거의 시간과 그 안의 기억은 현재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 할 수 있을 만큼 소중하다. 그러나 과거의 소소한 기억들은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는 점차 사라져가는 기억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한국 전통 매듭을 통해 표현한 것이다. 매듭은 제작 방식에 따라 점, 선, 면으로 표현이 가능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 연봉매듭과 도래매듭은 구형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점으로서 표현될 수 있고, 매듭의 끈은 직선과 곡선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듭은 그 제작 방법에 따라 점과 선들이 모여 방향성을 가진 다양한 면을 만들어낼 수 있다. 끈을 병렬 또는 교차 시킴으로써 2차원 또는 3차원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매듭의 조형성을 활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용적 또는 장식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매듭을 조형예술작품의 표현소재로 재해석 하였다. 시간의 연속성은 선, 즉 끈의 연속성으로 표현하였으며, 기억의 상실을 막는 상징적 의미는 매듭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 제작 과정 중 기억을 더듬어가는 과정에 의해 소환된 소소한 기억들을 축적하고, 현재의 불안정한 존재의식 속의 자신을 치유하며, 더 나아가 작품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도록 함으로써 내면의 상실에 대한 긴장으로 인해 촉발된 심리적 불안감에 대해 치유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I장은 문헌상에 연구된 기억의 의미 및 기억을 표현하는 작품에 대한 고찰이다. 앙리 베르그송에 관한 문헌을 연구하며 기억의 의미에 대해 정의하고 이해한다. 작품 분석을 통해 현대 작품의 미적 표현, 그리고 작가 내면의 추상적인 기억 및 기억의 축적을 조형 예술로 시각화하는 이론적 배경을 연구한다. III장은 매듭의 기원과 유래에 대해 연구한다. 숫자나 언어 등 의사소통을 위한 매듭으로부터 장식을 위한 매듭까지 인간의 문명과 함께한 매듭의 발전에 대해 연구한다. 칸딘스키의 점, 선, 면 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매듭의 조형성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매듭을 이용하여 예술 활동을 하는 작가들을 분석하여 매듭의 조형성을 활용한 작품을 분석한다. IV장은 본 연구에서 작품에 활용될 한국 전통 매듭의 이해를 위해 전통 매듭의 역사, 종류와 특징을 연구한다. 그리고, 한국 전통 매듭을 활용한 조형작품을 분석한다. V장은 연구자의 작품 분석 연구로서 연구자의 작품에 드러나는 모티브 및 제작 의도를 살펴보고 본 논문의 주제가 작품제작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논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시간과 기억이라는 대상을 섬유라는 재료를 통해 조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둘째, 주로 장식이나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되던 한국 전통 매듭을 섬유조형작품으로 제작하여 그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셋째, 제작된 매듭의 굵기, 길이, 크기 등에 따라 작품의 양감을 표현하여 부드러운 조각(soft sculpture)로서의 장르로 자리매김할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 매듭과 끈의 구성적 변화를 통해 다발성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에서의 섬유설치미술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에게 과거에 외면하고 지나쳤던 기억들을 다시 상기하고 감정을 대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자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고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새롭게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장식품이나 실용물로 사용되던 매듭을 조형예술작품의 독립된 세부 장르로서의 기능과 미학적 코드를 재해석한 본 연구가 섬유예술 연구자들의 학문적, 예술적 표현 활동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The past and the memory of the past is precious ground on which one can define one’s present identity. However, we tend to forget trivial memories of the past while engulfed by the complicated modern life. This study attempts to express the sorrow of the fading memories through traditional Korean knots. A knot can be formed to represent dots, lines and planes. The yeonbong knot and dorae knot are spherical and can express dots while the cords of the knot can be used to express straight lines and curves. Also, depending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knot, points and lines can be gathered to form various planes that have directionality. Two or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s can be demonstrated by laying the lines in parallel or crossing them.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the knot – generally used for practical or decorative purposes – as a material for fiber arts by utilizing this formability. The continuity of time is represented by the continuity of the line, the cord,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loss of memory is expressed by the kno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ccumulate small memories of the researcher in the course of tracing back memories during the process of art making to heal herself in the current unstable consciousness of existence, and furthermore, to achieve inner healing through sympathiz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her artwork.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studies literatures on the meaning of memory and its expression in artwork, and studies literature on Henry Bergson and defines and understands the meaning of memory. Analyzation of aesthetic expressions in modern ar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visualizing the internal abstract memory and the cumulation of it into a formative art is also done here. Chapter III studies the origin of knots. Knots have been used as a form of communication, meaning numbers and others to decorative detail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ots, lines and planes in Kandinsky’s work is reviewed, along with the formability of knots. Artists that use knots, and artwork utilizing the formability of knots are analyzed Chapter IV covers the history, the variety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knots to understand the knots used in this study. It also studies artwork that use traditional Korean knots. Chapter V is the examin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which addresses the motive and intentions in the artwork, and shows how the theme of this study is show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 of nonvisual and abstract time and memory was embodied in the form of the material fiber. Second, Korean traditional knots, which were mainly used for decoration or practical purposes, were made into fiber artworks and their meanings reinterpreted. Third, the sense of volume was expressed by using different thicknesses, lengths, and sizes for knots. Fourth, compositional changes of knots and lines were used to give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