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서툰 관찰자의 기록

Title
서툰 관찰자의 기록
Other Titles
A Curious Observer : Focused on My Paintings
Authors
전현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순옥
Abstract
우리를 둘러싼 세계는 보는 시점과 시각에 따라 상이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인은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상을 앞에 두고 지속적으로 관찰해나갔다. 그런데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들은 부분적이고 단편적이어서, 호기심과 상상으로 그 사이의 틈을 채우며 대상의 온전한 모습에 다가가려고 끊임없이 노력한다. 그럼에도 완전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판단은 유보되고 모호한 추측만이 가득하다. 이런 불명료한 상태를 그대로 기록할 수 있는 매체로 회화를 선택했고, 다층적이고 다각적인 표현을 통해 화면 속에 메아리처럼 반복되는 질문을 담았다. 본인의 작품은 어느 날 우연히 화면에 등장했지만 점차 그 위치를 굳건히 하여 다양하게 변주되는 뿔이라는 대상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인은 이전부터 원뿔의 형태를 많은 도형 중 하나로 다루어 왔었는데, 어느 날 그것을 낯설게 인식하고 ‘뿔’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 후로 뿔은 주인공이 되어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모티프가 되었다. 갑작스럽게 등장한 뿔을 둘러싼 서사로부터 출발한 작품은 점차 증폭되고 확장하는 흐름을 형성했다. 작은 가설처럼 회화 속에 놓여 있었던 시작점은 변신을 거듭했고, 결국에는 특정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작품의 근원이자 원동력 자체가 되었다. 이것은 은유적이며 상징적인 모티프를 통해 근본적인 목적지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과정이기도 하다. 뿔로부터 발생한 불확정적 서사를 시작점으로 증폭되어가는 조형적 사건을 담은 본인의 작품은 뿔의 변신, 혹은 뿔을 대하는 관찰자 본인의 태도 변화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사물이었던 뿔을 향해 본인은 많은 질문을 던지며 그 주변을 맴돌았다. 뿔은 어느 시점에 이름 없는 산이 되어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커다란 존재가 되었다. 대답이 없이 쌓여가는 질문들이 하나의 대상을 확고하게 만들었고, 그것은 결국 모든 것이면서 동시에 아무것도 아닌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프란츠 카프카의 『성』에는 성에 도달하고자 하지만 끝내 다가가지 못하는 주인공 K가 등장한다. K의 이러한 완결되지 못한 여정은 본인의 회화에서 뿔이 가진 의미의 구멍이 만들어내는 끝없는 서사와 결말 없는 회화와도 같다. 또한 뿔은 기본 도형의 형태라는 점에서 세잔이 일생동안 추구했던 자연의 근본적인 형태의 연장선상에 놓일 수 있다. 본인의 작업 속에서 구체적인 사물이 기본형으로 자유롭게 환원되는데, 이를 통해 외관 이면에 존재하는 비가시적인 면들이 드러난다. 작품을 이루는 요소들은 미리 정해진 역할이나 의미가 없는 비고정적이며 미완결된 부분들이다. 따라서 중심-주변이나 주제-부주제가 나뉘어져 있지 않은, 변화의 가능성을 지닌 회화이며 들뢰즈가 말한 ‘내재성의 평면’ 개념에 걸맞은 회화가 된다. 본인은 사물과 이미지가 지닌 본래의 맥락을 제거하고 화면 위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즉흥적으로 선택한 이미지들을 회화 안에서 부피감 있고 무게감 있게 다루기보다 캔버스 위에 얇고 납작하게 구현한다. 이는 회화의 평면성을 강조하고 대상의 충실한 재현을 포기하는 태도이다. 또한 이미지와 서사는 본인의 작업 속에서 충돌하며 동시에 가능성을 안겨주는 분리할 수 없는 두 개의 축이다. 확신할 수 없는 것들을 마주한 서툰 관찰자는 자신만의 보는 방법을 통해 미완성의 문장들을 만들어나갔다. 회화를 통한 기록은 단순한 기록의 차원을 넘어서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미완결의 상태로 화면 안에서 자유롭게 재구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의미가 확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간격과 틈새들이 불러오는 상상력은 더욱 풍부할 것이다.;The world around us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I have been observing the subject which is unfixed and constantly changing. Since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e observation is partial and fragmentary, however, I continually try to reach the real appearance of the object by filling the gap between unclear details with curiosity and imagination. Nevertheless, the judgment on the subject is deferred and only vague speculation is predominant due to its uncertainty. I choose painting as a medium for documenting imprecise status frankly and put repeated questions on the canvas with multi-level and multi-faceted expressions. The work has progressed with a subject ‘cone’ as a central figure that was appeared by chance but gradually enhanced its position. I have been treated the shape of a circular cone as one of many figures and named ‘cone’ once I found it unfamiliar. Since then, the cone has become the main character and motif which able to create the work. The work had started with the narratives around the cone that were suddenly appeared, gradually built up amplifying and expanding flow. The starting point which had placed in the painting like a little hypothesis was repeatedly transformed and eventually became the essence and driving force of the work that i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type. It is also the process of getting closer to the fundamental destination through metaphorical and symbolic motives. A series of my works dealing with formative incidents that are amplified from the starting point with uncertain narratives occurred from the cone,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e or my attitude to the cone as an observer. I have hovered around and asked a bunch of questions on the cone, the object hard to interpret meanings. At some point, the horns became a nameless mountain and a core being that does not ease to move. Accumulated questions remained without answer entrench one object, and it has placed in a status of everything but nothing at the same time. Franz Kafka's The Castle features the main character K who wants to reach the castle but fail to the end. K's unfinished journey is like an endless narrative or open-ended paintings created by the gap of the meaning of the cone. Since the cone is a basic shape of a circular cone, besides, it can be the extension of the fundamental form of nature that Paul Cézanne pursued throughout his life. Specific objects freely transform to the basic shapes in my work, and it reveals invisible aspects existing behind the surface. The elements comprising the work are flexible and unfinished with no predetermined role or meaning. Therefore, it is a painting only implies the potential for change with no separ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or the subject and subtopics, and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plan d'immanence‘ that Gilles Deleuze asserted. I remove the original context of objects and images to impart new meaning to them in the painting. Extemporally chosen images are expressed thinly and flatly on the canvas rather than focused on its volume and weight. It is an attitude that emphasizes the flatness of painting but gives up the faithful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Images and narratives are also two inseparable axes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and provide possibilities in work. In this regard, the study of medieval manuscripts has mad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s that paintings have been concerned. Facing uncertain things, the unaccustomed observer has created incomplete sentences through a personal way of looking. The documentation through painting goes beyond a simple record. It is a strategy for freely reconstructing and developing one's experience and ideas as unfinished status. Since its meaning is not definitive, the imagination that the gaps and spaces bring would be more vibr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