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송영지-
dc.creator송영지-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07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0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7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55-
dc.description.abstract경복궁에서는 쉽게 현장체험학습 중인 학생들을 볼 수 있다. 현장체험학습은 학생의 경험과 체험을 통한 학습을 말한다. 이 자체로도 학생들에게 학습의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역사 교육에서 역사적 장소는 사료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문화유산의 연장선에 있는 현장체험학습이아니라, 역사 이해를 위한 역사적장소가 사료로 활용되는 현장체험학습이 진행되어야한다. 역사적 장소는 많은 인물과 사건의 기억을 담고 있다. 이러한 기억들 중 역사 교육에서 어떤 학습적 의미와 내용을 끌어낼 것인지는 교사의 역량에 달려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이다. 조선의 궁궐 하면 경복궁을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현재의 우리도 경복궁이 가지는 법궁의 의미를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경복궁은 조선 개창과 함께 지어진 첫 번째 궁궐이기 때문에 경복궁은 조선 개국의 이상을 담고 있고, 조선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실제로 경복궁이 법궁으로 갖춰지게 된 것은 세종 때부터이다. 세종이 경복궁의 법궁체제를 정비한 것은 조선 개국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반대로 세종은 조선의 수성기라는 시대적 상황 앞에서 유교적 통치체제를 정비하면서, 조선의 정체성을 찾아야했다. 그 과정 속에서 경복궁의 법궁체제가 갖추어지기도 하였다. 세종 즉위 후 9년 뒤 경복궁에 이어하였으며, 대대적으로 경복궁을 정비해나갔다. 태조 이후 경복궁의 전각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 전각들도 중수해나갔다. 각 문들의 명칭을 새롭게 정하였고, 내전의 교태전, 동궁전, 궐내각사 등이 정비되었다. 경복궁의 법궁 체제는 세종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세종이 통치이념을 실현해가는 과정 속에서 경복궁에 새로운 전각이 세워지거나 실현의 의미가 담겨있는 전각들이 있다. 세종은‘인재’를 활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집현전이 설치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의정부서사제를 통해 여론정치를 실시 이는 근정전의 품계석을 활용하여 재상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민본정치의 입장에서 농본정책들을 살펴볼 수 있고, 근정전의 조계시간과 연결할 수 있다. 농본정책의 기본 학문인 천문학의 발달은 보루각,흠경각을 세우게 하였음을 연관지을 수 있다. 또, 왕의 자손의 생산 또한 왕의 덕이었으므로 강녕전 중수와 교태전과 동궁전의 설치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경복궁이라는 역사적 장소에서 세종이라는 인물의 기억을 꺼내어 역사이해를 위한 현장체험학습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고등학교 『한국사』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에게 역사적 사고력을 발달시키고 초·중학교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의 교과서에서 배웠던 파편적인 세종시대, 통치체제, 유교 이념 등의 역사지식들을 경복궁이라는 과거의 낯선 세계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대로 경복궁이라는 사료를 통해 조선 초 세종의 시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세종을 감정이입적으로 이해해봄으로써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 교육적 효과로 장소, 인물, 사건, 직접 체험의 다각적이고 동시적인 현장체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수업안의 실험을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은 주도적이고, 흥미를 느끼는 수업안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흥미는 새로운 시각이나 내용에 대한 앎이 이루어졌을 때였음을 확인하였다. 또, 장소와 인물의 연관성에 대한 학습이 유의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places in history education and to present methods for field experience learning reflecting them. Field experience learning refers to learning through experience of students. This in itself has meaning of learning to students. However, in history education, historical places have value of historical records. Therefore, instead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is an extension of cultural heritage, field experience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where historical sites for historical understanding are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e historic place has many memories of people and events. Of these memories, it depends on the ability of the teacher to derive the learning meaning and content from history education. Gyeongbok Palace, the subject of the main study, is the main palace(法宮) of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e palace of Joseon reminds us of Gyeongbok Palace is because we now accept the meaning of the main palace. Because Gyeongbok Palace is the first palace built with founded Joseon , it contains the ideals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and represents the identity of Joseon. In fact, Gyongbok Palace was equipped with the main palace from King Sejong's time. King Sejong reorganized the main palace system of Gyeongbok Palace to realize the ideals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On the contrary, King Sejong ha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by adjusting the Confucian governance system in front of the era of the SuseonggI Dynasty. In the process, the court system of Gyeongbok Palace was established. high school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and pursu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cattered historical knowledge of King Sejong era, the ruling system, and the Confucian ideology learned from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unfamiliar world of Kyungbok Palace. On the contrary, the historical period of King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called Gyeongbok Palace. In this process, students can exercise their imagination by understanding King Sejong emotional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sent diverse and simultaneous on-site experience methods for location, character, event, and direct experience through historical educational effects. From the experiments in the clas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high school students were leading and interested in classes, and that their interest was confirmed when knowledge of new perspectives and contents was confirmed. Also, it was found that learn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place and person was signific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Ⅱ. 이론적 고찰 4 A. 역사과 현장체험학습 4 B.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9 C. 경복궁과 세종의 학습 자료와 개념 15 Ⅲ. 현장체험학습 방안 개발 26 A. 목표 설정 26 B. 현장체험학습의 도입 단계 27 C. 현장 활동 단계 28 D. 정리 및 평가 단계 36 Ⅳ. 현장체험학습방안 실행 및 해석 38 A. 현장체험학습 실행 현장의 학생 활동 분석 38 B. 현장체험학습 후 설문지 및 글쓰기 분석 52 Ⅴ.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1. 학습지도안 65 부록2. 설문지 69 부록3. 글쓰기 활동지 71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75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경복궁을 활용한 역사과 현장체험학습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ield experiences method of history education using Gyeongbok Palace-
dc.format.pagev, 73 p.-
dc.contributor.examiner오영찬-
dc.contributor.examiner차미희-
dc.contributor.examiner박민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