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경기 12잡가 中 <십장가> 비교연구

Title
경기 12잡가 中 <십장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a sibjang-ga of 12 Gyeonggi Folk song : Centered on Bi-chwi Ahn·Gye-wol Mook·Eun-ju Yi’s Melody
Authors
이혜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잡가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에 서민문화와 양반문화의 융합과정에서 발생한 성악곡으로, 지역과 지방적인 가락토리에 따라 경기잡가, 남도잡가, 서도잡가로 구분된다. 이중, 경기잡가는 총 12곡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십장가>는 이에 속하는 곡으로, 통절형식으로 된 다른 잡가와 달리 뚜렷한 유절형식으로 되어있어 이 곡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반면, 12잡가 중 <십장가>에 대한 선행연구가 가장 미진하여 본 논문을 통해 그 음악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는 <십장가>의 이론적 배경 및 사설풀이와 창자의 생애 및 음악 활동, 그리고 <십장가>의 보유자인 안비취를 중심으로 묵계월과 이은주의 소리를 비교분석하여 장단, 출현음, 선율과 사설붙임새 및 시김새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십장가>의 장단은 전곡에 아울러 6박 도드리 장단 으로 진행하였고, 창자별 장단의 수는 안비취 97장단, 묵계월 96장단, 이은주 97장단으로 묵계월의 장단 수가 더 적었다. 이는 잡가가 구전심수로 전해져 내려오는 과정에서 묵계월이 한 마디의 사설을 부르지 않은 것으로 짐작된다. 창자별 곡의 빠르기는 안비취 M.M.󰁜=44-48, 묵계월은 M.M.󰁜=40-44, 이은주는 M.M.󰁜=42-44의 빠르기로 부른다. 안비취가 두 창자에 비해 전체적인 템포가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안비취의 선율이 다른 두 창자의 선율 대비 시김이나 리듬분할이 적고 선율음을 중심으로 부른 것과 관련 있을 것이다. 둘째, <십장가>의 창자별 출현음은 안비취가 C, D, Eb, F, G의 5개 출현음이 나타났고, 묵계월은 Bb, C, C#, Db, D, Eb, F, G의 8개 음, 이은주는 Ab, C, Db, D, Eb, F, G의 7개 음이 나타난다. 세 창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출현음은 총 5개로 C, D, Eb, F, G 이다. 셋째, 선율과 사설붙임새 및 시김새에서는 사설내용을 바탕으로 총 11단락으로 나눈 후, 선율의 흐름에 따라 앞서 나눈 단락을 다시 두 세 장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5가지의 공통선율이 확인 되었는데,‘단락별 종지음이 F음으로 마무리 된다’,‘C음에서 G음으로 완전4도 하행한다’,‘Eb음에서 C음으로 단3도 하행 후, F음으로 완전4도 상행한다 ’,‘G음에서 F음으로 장2도 하행 후, C음으로 완전5도 상행한다’,‘C음을 중심으로 Eb음으로 꾸며준다’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중,‘Eb음에서 C음으로 단3도 하행 후, F음으로 완전4도 상행’하는 선율이 가장 출현횟수가 많았다. 사설 붙임새를 비교하면 창자에 따라 일부 가사를 첨가 혹은 삭제한 바 있으며, 사설을 붙이는 빠르기와 가사의 특정 부분에서 어휘상의 상이점도 나타난다. 창자별 음역대 분석에서 세 창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비율이 중음부 > 저음부 > 고음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십장가>의 곡 특성상 특별히 높은 음역대가 없고 중음부의 선율이 중심을 이루는 바와 같다. 세 창자의 시김새 출현에서는 안비취가 89회, 묵계월이 94회로 평으로 잘게 떠는 시김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은주는 2~3회 짧고 굵게 떠는 시김을 78회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안비취는 한 시김에 치우지지 않고 선율을 이어나간 것에 비해 다른 두 창자는 한가지의 시김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1900년대 당시 가장 활발하게 활동을 전개한 안비취, 묵계월, 이은주 세 창자를 통해 경기12잡가 중 <십장가>를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묵계월과 이은주는 비슷한 빠르기로 부른 반면, 안비취는 두 창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템포가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비취는 하나의 시김새를 특징적으로 활용하기보다 소리의 주선율에 집중하며 여러 시김새를 비슷하게 사용하였고, 묵계월과 이은주는 특정 시김이나 꾸밈음을 동일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세 창자 간 소리에서 시김새와 창자별 음악적 특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간 <십장가>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던 것에 비해, 본 논문을 통하여 곡의 음악적 특성을 파악하고 12잡가에서 차지하는 <십장가>의 위치와 의미를 토대로, 향후 12잡가 중 <십장가>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길 기대해 본다. ;Japga(雜歌) is a vocal music o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with that of the privileged from the late of 19 century until early 20 century. It is classified into Gyeonggi Jab-ga(京畿雜歌), Namdo Jab-ga(南道雜歌), and Seodo Jab-ga(西道雜歌) depending on region and rhythm. Gyeonggi Japga consists of 12 folk songs, one of which is ‘Sipjang-ga’(什長歌). There ar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ipjang-ga’(什長歌) with stanzaic form of chorus, whereas the other Japgas are apparently different with no stanzaic form of chorus. However, since only a little existing research has been on ‘Sipjang-ga’(什長歌), this study examined some limited parts of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An Bi-chwi, a conserver of ‘Sipjang-ga’(什長歌), Mug Gye-wol, and Lee Eun-ju to examine the rhythm, tone of appearance, narration matching and melodic line, and Sigimsae (vocal cords vibrating) in ‘Sipjang-ga’, including both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narration understanding and the singers’ lives and music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pjang-ga’(什長歌) is entirely sung in sextuple rhythm called Dodeuri Jangdan. As to the number of using this rhythm by each singer, An Bi-chwi used 97 times, Mug Gye-wol 96, and Lee Eun-ju 97, so Mug Gye-wol showed a smaller number of rhythms than the others. This is probably that as ‘Sipjang-ga’(什長歌) was passed down orally, Mug Gye-wol might have sung it omitting one phrase. For the tempo of ‘Sipjang-ga’(什長歌) by each signer, An Bi-chwi’s tempo is faster than the others’: An Bi-chwi – M.M.♩.=44-48, Mug Gye-wol – M.M.♩.=40-44, and Lee Eun-ju – M.M.♩.=42-44. It may imply that An Bi-chwi’ melodic line is less vibrating and rhythmic than the two singer’s and is great part of the song. Second, over the tone of appearance in ‘Sipjang-ga’(什長歌) by each signer, there are 5 sounds of C, D. Eb, F, G in An Bi-chwi’s song, 8 of Bb, C, C#, Db, D, Eb, F, G in Mug Gye-wol’s, and 7 of Ab, C, Db, D, Eb, F, G in Lee Eun-ju’s, so the common tone of appearance in ‘Sipjang-ga’ is 5 sounds of C, D, Eb, F, G. Third, this study went through melody, narration matching, and Sigimsae in ‘Sipjang-ga’ by mainly dividing it into 11 sections on the basis of its story and into 2 to 3 rhythms by its melody progress. From this analysis, there have been found 5 common melodic lines in ‘Sipjang—ga’(什長歌): Jongji-eum (closing note) each paragraph ‘closed to F’, ‘Perfected 4th down from C to G’, ‘Minor 3rd down from Eb to C, then Perfected 4th up to F’, ‘Major 2nd down from G to F, then Perfected 5th up to C’ and ‘Grace note Eb centering on C’. Among these, the melodic line ‘Minor 3rd down from Eb to C, then Perfected 4th up to F’ most appears throughout ‘Sipjang-ga’(什長歌). Over the comparison of narration matching, it is found that some lyrics were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singers.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vocabularies of certain parts of lyrics and tempos in narration matching. By the analysis of voice range by each singer, three singers all show the common rate of voice range: middle register > lower register > upper register. This is because ‘Sipjang-ga’(什長歌)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which are mostly composed of the middle voice range of melodic line with no upper register. For Sigimsae in ‘Sipjang-ga’(什長歌) by each singer, An Bi-chwi made much use of normally fine vibrating () 89 times, Mug Gye-wol 94 times, and Lee Eun-ju chiefly did 2 or 3 short, thick vibrating () 78 times. An Bi-chwi, without being tided to one Sigimsae, continued melodic lines with different Sigimsaes whereas two other singers usually did one specific Sigimsae. This study analyzed An Bi-chwi, Mug Gye-wol, and Lee Eun-ju, who were most active during the 1900s, to look into ‘Sipjang-ga’(什長歌) which is one of 12 Gyeonggi Japgas(京畿雜歌). Both Mug Gye-wol and Lee Eun-ju sang at similar tempo, while An Bi-chwi’s tempo was faster than that of the two’s. According to Sigimsae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Sipjang-ga’(什長歌) by each singer,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among them. While in Mug Gye-wol and Lee Eun-ju’s song some distinct Sigimsaes or grace notes appeared repeatedly in the same section, in An Bi-chwi’s main melodic lines took great part of it with different Sigimsaes being evenly used rather than using one distinctive Sigimsa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Sipjang-ga’(什長歌) having been limited, this study will be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and actively study on ‘Sipjang-ga’(什長歌) with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on and meaning of ‘Sipjang-ga’(什長歌) which is one of 12 Gyeonggi Japgas(京畿雜歌).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