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헌민-
dc.contributor.authorZHANG, WENXIN-
dc.creatorZHANG, WENXIN-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8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12-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the reunification of existing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creation, diffusion, and utilization of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transforming into a knowledge-based society that determines the survival of the nation. As the economic role of knowledge is emphasized, knowledge competitiveness at the local level, which has geographical proximity rather than the national level,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Under this background, the concep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emerged. The emergenc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concept can be traced back to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mpetitive Regulations in the New Europe' written by British scholar Cooke in 1992. Research and practice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the U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began early and was introduced late in developing countries. Among the cases of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China's Zhongguancun Science Park and Innopolis Daedeok in Korea are representative cases. The establishment of Zhongguancun is based on the goal of the Chinese government to move away from the reliance of foreign high technology imports and to improve the national innovation abil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on the other hand, has adopted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with an emphasis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nopolis Daedeok is the oldest science and technology park in Korea, and since it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t was designated as a special R&D zone in 2005 and introduced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recently to analyze whether the quality of the innovation system is good because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till based on quantitative performance creation and local economic boom.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oncept and typ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analyzes the environmental factors (innovation - based environment, entrepreneurial environment, social - indirect - based environment), empirical factors, Research institutes, companies), networks (industry-academia-government cooperation, regional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ddition, the time horizon was set until 2015, considering the sufficiency of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consistency of the statistical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Zhongguancun and Innopolis Daedeok have excellent manpower resources and fuzzy R & D cost resources in the innovation - based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Zhongguancun is located in Beijing, the capital city of China, social infrastructures such as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medical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well constructed. However,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s a major problem in winter in recent years. On the other hand, Innopolis Daedeok has legally regulated the construction of garbage disposal facilities, which could cause pollution by regulating green area. However, it is a bit disappointing because there is no airport going to foreign countries from Daejeon. In addition, there are best institutes located in each region. However the number of key universities in Zhongguancun is larger than that in Daedeok, and the distribution of departments is more diverse.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fact that KAIST is a prestigious university in the world,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and R & D capacity of other universities. In addition, Daedeok has a growing number of entrepreneurs as a whole, but no company can become a national and global leader. This is related to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in both regions. In Zhongguancun, “mas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大眾創業, 萬眾創新) ” is popular in the public institution and civilian society. Also, venture start-up business in Zhongguancun is popular as venture investment settled in China. And Zhongguancun has become the world 's second largest venture investment cluster. Nevertheless, venture investment still has to go beyond many institutional barriers in China. Meanwhile, Daedeok is promoting start-ups through business incubation centers established mainly by government agenc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s in Zhongguancun and Daedeok, start-up agencie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the systematic environment for managing and coordinating them is insufficient. Finally, networks are a definite part. While Zhongguancun is more open and diverse in promoting industry-academia-government cooperation, Daedeok plays a pivotal role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cooperation with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with other regions, and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I am in charge. In addition, Daedeok has innovative plans at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ut the linkages between other regions and other countries are somewhat lacking. Therefore, it is the most urgent task for Daedeok to strengthen its role as a science and technology hub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Daedeok' s high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technology creation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wo regions attempted to derive strengths and weaknesses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elements, subject elements and networks that constitut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know about the case to do the case study, but it cannot collect data by visiting the Zhongguancun and Daedeok special zones because of the cause of the overview. In addition, China and Korea have different definitions of statistical indicators. And because there are too many factors that can affect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it is the limit of the study to be analyzed one by one.;현재 세계는 기존의 지식 및 기술의 재결합과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창출, 확산과 활용을 바탕으로 한 국가의 생존을 결정하는 지식기반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지식의 경제적 역할이 중시되면서 국가단위보다는 지리적 인접성을 지니는 지역 수준의 지식경쟁력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지역혁신체제라는 개념이 나타났다.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개념의 등장은 1992년 영국 학자 Cooke가 쓴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mpetitive Regulation in the New Europe’로 거슬러 갈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에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연구 및 실천은 일찍 시작하였는데 개도국들에서 늦게 도입되었다. 개도국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는 사례들 중에서 중국의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및 한국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대표적 사례로 들 수 있다. 중관촌의 설립은, 중국정부가 외국 첨단기술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가의 자주혁신능력 및 국제적 경쟁력 제고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한다. 한편 한국은, 지역균형발전 및 지방의 경제진흥을 중시하면서 지역혁신체제를 채택하게 되었다. 대덕특구는 과학기술단지로서 역사가 가장 오래되고 한국 중부 지역에 위치한다는 지리적 중요성때문에 2005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어 지역혁신체제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시아 대표적인 지역혁신체제 사례 지역인 중관촌 및 대덕특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지역의 지역혁시체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초점을 두어 실제 상황을 분석하도록 사례연구의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비교연구를 하는 목적은 두 지역 중 어느 지역이 더 많은 양적 성과를 창출하는가 혹은 어느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못한다는 것을 넘어 두 지역이 혁신체제를 구축하는 데 잘되는 점과 부족한 점을 도출한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우선 지역혁신체제에 과한 개념 및 유형부터 살펴보아 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실증적 분석하기 위한 환경요소 (혁신기반환경, 창업환경, 사회간접기반환경), 주체요소(대학, 연구기관, 기업), 네트워크(산 ∙ 학 ∙ 연 협력, 지역 간 협력, 국제적 협력) 3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또한 통계자료의 충분 여부 및 통계 기간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2015년 까지 시간적 범위를 정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관촌과 대덕특구는 혁신기반환경에서 우수한 인력자원과 충분한 연구개발비용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중관촌은 중국 수도인 베이징 시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한 교통, 통신, 의료, 문화 등 사회적 인프라가 잘 건설되어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겨울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앓고있다. 반면에 대덕특구는, 법적으로 녹지 면적을 규정하여 오염이 될 수 있는 대형공장, 쓰레기 처리 시설의 건설까지 제도 규제하였다. 그러나 세계 일류의 첨단기술혁신단지를 목적으로 하는 대덕특구에 대해 근거에 외국으로 가는 공항이 없는 것이 다소 불편하다. 또한 주체요소인 대학, 연구기관, 기업의 입주현황을 살펴보면 두 지역에서 각각 나라의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덕보다 중관촌의 국내 중점대학 수가 더 많고 학과 구성도 다양하다. 반면에 KAIST가 세계적인 명문대학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대학의 교육수준이나 연구개발역량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대덕특구의 기업수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보이지만 전국 ∙ 전세계 범위 리더가 될 수 있는 기업이 없다. 이것은 두 지역의 창업환경과 관련이 있다. 중관촌에서 ‘대중창업, 만중혁신(大眾創業, 萬眾創新)’의 혁신 ∙ 창업 환경 하 공공기관에서 뿐만 아니라 특히 민간 사회에서 혁신 ∙ 창업 열풍이 더욱 세다. 또한 벤처투자가 중국에서 정착함에 따라 혁신자원이 가장 풍부한 중관촌에서 벤처창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 이어 세계 2위의 벤처투자 집적지로 선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처투자가 중국에서 여전히 많은 제도적 장벽을 넘어야 한다. 한편 대덕특구에서 주로 정부기관,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설립된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방면 지역혁신체제에 대해 기대된 대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를 결정적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관촌이 산 ∙ 학 ∙ 연 협력을 추진하는 데 더 개방적이며 다양한 방식을 취하는 반면 대덕특구는 산 ∙ 학 ∙ 연 협력이나 다른 지역과의 협력 그리고 해외와의 협력에 있어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덕특구는 선진국 수준의 혁신역량을 갖추어 있지만 다른 지역과 나라와의 연계가 다소 미흡한 편이며 자원을 최대화 활용하고 있는 편은 아니다. 따라서 향후 대덕특구의 높은 기술개발 역량이라는 장점을 활용하고 기술상업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대덕특구가 과학기술 허브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가장 시급한 작업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지역이 지역혁신체제를 구성하는 환경요소, 주체요소,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강점 및 약점을 도출하기 시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우선적으로, 개관적 원인으로 인해 중관촌과 대덕특구에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지 못하고, 중국과 한국이 통계지표의 정의가 다르기도 한다. 그리고 지역혁신체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너무 많기 때문에 연구에서 일일 분석하지 못하는 것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대상 및 방법 7 II. 선행연구 9 A. 지역혁신체제(RIS)의 개념 9 B. 지역혁신체제의 유형 16 C. 지역혁신체제의 구성요소 23 III . 연구설계 29 A. 연구의 분석틀 32 B. 연구대상 36 1. 중관촌(中關村)의 발전과정 및 현황 37 2.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발전과정 및 현황 46 IV. 중관촌과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비교분석 54 A. 환경요소 54 B. 주체요소 70 C. 네트워크 82 V. 결론 99 A. 분석결과 요약 99 B. 시사점 103 참고문헌 105 부록1 중국과 한국 대미 환율 117 부록2 2015년 베이징 시 연구개발비용강도 및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 117 부록3 2015년 대전시 연구개발비용강도 및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 118 부록4 2015년 한국 지역별 대학교 이상 인구비율(%) 119 부록5 2015년 한국 지역별 도로연장 119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178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국과 한국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관촌(中關村)과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in China and Korea : Focusing on Zhongguancun Science Park and INNOPOLIS Daedeok-
dc.creator.othername장문흔-
dc.format.pageviii, 124 p.-
dc.contributor.examiner조택-
dc.contributor.examiner김유미-
dc.contributor.examiner김헌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