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이상언-
dc.creator이상언-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3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3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96-
dc.description.abstractThe linguistic interaction such as maternal questions and child contribu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during book-shar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The caregiver-child book reading interactions can be seen as a dynamic process by which caregivers and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 to provide a qualitatively rich linguistic experience(Rabidoux & MacDonald, 2000). In particular, caregivers' questions during book-reading promote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language, cognitive, and narratives skills. The interaction of the caregivers and children is important because the cognitive levels of the maternal ques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ild's contributions. In this study, (a) how the different levels of caregivers' questions (referential, inferential) appeared during the book-reading affect the accuracy of the child contributions, (b) how the accuracies(correct, incorrect) and types (referential, inferential) of the child participations elicit the cognitively different caregivers' question types(referential, inferential)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34 mothers and their children. 17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ged 4 to 6 and 17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included. The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K- ABC) an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and caregiver-child book reading task were measured. In order to find out a difference in accuracy of children's responses according to mothers' question types(referential, inferential) between two groups, Two-way mixed ANOVA was used. On the contrary, the maternal question types(referential, inferential) following by the accuracies(correct, incorrect) and the categories(referential, inferential) of children's contributions were analyzed using a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hildren's correct response rate according to the referential and inferential questions of caregivers. Second, the correct response rate to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was higher in the TD group than that of the SLI group. Third, the rate of the caregivers' referential question following by the rate of the child's referential correct response and maternal inferential question rate according to the child's inferential incorrect respon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LI group than those of TD group. Fourth, the ratio of the inferential questions following by child's referential correct responses and the rate of the referential questions to the child's inferential incorrect contributions was fundamentally higher in the typically developmental children than that of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hildre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hild contributions to the referential and inferential questions of caregiver was statistically higher in TD than SLI. On the other hand, caregiver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oved to higher cognitive level question when children answered correctly and modified lower cognitive level questions when they replied incorrectly. Therefore, we examined the cognitively differnt questions of caregivers who chang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response types and accuracies of their contributions, and it was ap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linguistic effects of caregiver and child on shared-reading and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regivers' questions and child's contributions. These facts are clinically related to various types of caregivers' questions needed and the different cognitive levels of maternal questions use based on child's age, language, and cognitive level can be recommended in parent book-reading training.;책 읽기 시에 나타나는 부모-아동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아동의 언어 및 문해 발달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양육자-아동의 상호작용적 책 읽기는 양육자와 아동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질적으로 풍부한 언어 경험을 할 수 있는 역동적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Rabidoux & MacDonald, 2000). 아동은 부모나 교사와의 책 읽기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야기 이해와 구조 개념, 이야기 구성 능력을 증진시킨다. 특히 인지적 수준이 높거나 낮은 질문에 따라 아동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며 서로 다르게 나타난 아동의 반응에 따라 나오는 양육자 질문의 인지적 수준도 달라지기 때문에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 책을 읽는 동안 나타난 양육자의 질문유형(사실, 추론)이 아동의 반응정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으며, (b) 아동의 반응유형(사실, 추론)과 반응정확도(정반응, 오반응)가 양육자의 질문유형(사실, 추론)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동시에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7명(4;0-6;9, 여 8, 남 9)과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4;0-6;2, 여 10, 남 7), 주양육자 34쌍(4-6세, 여 18, 남 16)으로 총 34명이 참여하였다. 집단을 구분하기 위해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10)와 비언어성 지능을 평가하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 ABC; 문수백, 변창진, 2003)의 동작성 하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본 연구과제인 양육자-아동 책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주양육자 질문유형(사실, 추론)에 따른 아동의 반응정확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사실 및 추론적 정반응, 오반응 유형에 따른 양육자 질문유형(사실, 추론)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아동 집단에서 양육자의 사실질문 및 추론질문에 대한 아동의 정반응률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육자의 사실질문에 대한 정반응률이 추론질문에 대한 정반응률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 아동의 사실적 정반응에 대한 양육자의 사실질문 비율과 아동의 추론적 오반응에 따른 양육자의 추론질문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아동 집단에서 아동의 사실적 정반응에 대한 양육자의 추론질문 비율과 아동의 추론적 오반응에 대한 양육자의 사실질문 비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은 양육자의 사실질문보다 추론질문에 어려움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 아동 집단에서 양육자의 질문에 대한 정반응률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 아동의 양육자는 아동이 정반응을 보인 경우 더 높은 인지수준의 질문으로, 오반응을 보인 경우 더 낮은 인지수준의 질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반응유형 및 정확도에 따라 변화하는 양육자의 질문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주양육자-아동 책 읽기 시 양육자와 아동이 서로에게 미치는 언어적 영향에 대해 주목하는 선행연구들을 지지하며, 양육자의 질문과 아동 반응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임상적으로 연결시켜볼 때 책 읽기 부모교육 시 인지적 수준을 달리 요구하는 양육자 질문의 유형을 다양화하고, 양육자가 아동의 연령, 언어 및 인지수준에 따라 적절한 질문을 제공할 필요성에 대해 권고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C.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와 책 읽기 발달 특성 10 B. 주양육자-아동 간 상호작용적 책 읽기 특성 12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1. 단순언어장애 아동 선정기준 16 2. 일반 아동 선정기준 17 3. 주양육자 선정기준 18 B. 연구과제 20 1. 양육자-아동 상호작용적 책 읽기 20 C. 연구절차 20 1. 예비실험 21 2. 자료수집 21 D. 자료분석 22 1. 표준화된 검사도구 분석 22 2. 책 읽기 분석 22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5 F. 신뢰도 25 Ⅳ. 연구결과 26 A.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에서 주양육자 질문유형 (사실, 추론)에 따른 아동 반응정확도 차이 26 B.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정반응, 오반응 유형 (사실, 추론)에 따른 주양육자 질문유형 (사실, 추론) 차이 28 Ⅴ. 결론 및 논의 32 A.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주양육자 질문유형 (사실, 추론)에 따른 아동 반응정확도 비교 33 B. 단순언어장애 및 일반 아동의 집단 간 정반응, 오반응 유형 (사실, 추론)에 따른 주양육자 질문유형 (사실, 추론) 비교 34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36 참 고 문 헌 38 ABSTRACT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09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부모 책 읽기 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오 반응에 따른 양육자의 질문유형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regivers' Question Use and the Contributi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uring Shared Book-Reading-
dc.creator.othernameLee, Sang Eon-
dc.format.pagevi, 55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심현섭, 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