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해 양상 연구

Title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해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agmatic misunderstanding of Chinese Korean learners for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 pragmatics : a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sample data in Korean textbooks
Authors
DUAN, LIA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오해가 많이 생길 수 있다. 특히 교과서에서 제시한 대화문을 학습할 때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자기 나라의 표현 방식과 상이할 때 오해가 더 많이 생기고 이러한 오해로 인해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할 때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수집하여 오해 원인을 분석하고 화용적 오해 양상을 줄이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비교문화와 화용론 두 가지의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아직 이루지 못한 한계점을 밝혀내 본 연구의 방향과 연구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교과서에 관한 비판, 비교문화 화용론적 관점에서 교재 대화문 분석의 중요성, 화용적 실패 원인에 대한 분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 교과서에서 화용 문화와 맥락에 따른 담화 구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둘째, 비교문화 화용론의 정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화용적 오해와 화용적 실패의 차이와 공통점, 교재에서 제시한 대화문이 실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할 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하여 교재 대화문 분석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셋째, 선행연구의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본고의 분류 기준을 세워 화용적 실패 원인을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5개 대학교에서 출판된 고급 한국어 교과서를 선정하여 교과서에서 제시한 대화문을 분석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선정하였다. 선정은 크게 연구자의 주관 선정과 연구자 외에 2명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검토를 통했다. 먼저 일차적으로 연구자의 주관 판단을 통하여 오해할 수 있는 대화문을 3가지로 나눴다. 그 다음에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 외에 2명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화문을 학습할 때 오해 정도에 따라 4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선정한 후 필요성과 중요성을 고려하고여‘매우 높다’와‘높다’2가지 등급으로 나누었다. 선정된 모든 사례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10가지의 화용적 실패 원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10가지 화용적 실패 원인은 선행연구와 겹치는 부분도 있고 겹치지 않은 부분도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크게 선행연구와 겹친 화용적 실패 원인과 겹치지 않은 실패 원인 유형을 나눠서 각각 해당된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교재에서 제시한 대화문에서 어떤 화용적 오해가 많이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적 오해 양상을 줄이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화용적 오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 방안을 제시할 때 한‧중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오해 사례를 사용하여 언어‧문화 통합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언어적 측면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는 한국어 교사의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명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측면에서 언어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들은 상황 맥락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맥락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게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재에서 제시된 대화문을 학습할 때 쉽게 오해할 수 있는 오해 사례를 선정하여 비교문화 화용론 관점에서 오해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오해하는 대화문을 분류하는 데에 각 유형 간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본다.;Due t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and linguistic, foreigners often experience many misunderstandings when learning Korean. In particular, when learning about dialogues in textbooks, there will be more misunderstandings when the explanations are not sufficient or the expressions are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their own country, and because of such misunderstandings, they will encounter a lot of difficulties in actually communicating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collects dialogues that are more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alyzes their reasons, and prepares a plan that can reduce the situation of pramatic misunderstanding. Firstly, the Chapter I show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paper conducts the leading research from the two aspects of comparative culture and language application ability. It points out the defects of the leading study, thus expounding the direction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The Chapter II observes the three aspects that is the critique of Korean textbooks,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dialogues i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First, it points out and criticizes the scarce part of conversation conversations based on the culture and context of language use in the Korean textbooks. Second, it clearly grasps the definition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common grounds of pramatic misunderstanding and failure of language use, and discusses what impact the dialogues presented in the textbook have on the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the dialogue analysis of the textbook. Third, this article refers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leading research, and sets up a classification benchmark of this paper to classify the failure causes of the language use. In Chapter 3, the paper selects advance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analyze the dialogues presented on the textbooks and select some dialogues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asily misunderstood. The methods of selec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ers’ supervisor and the other is based on a review of two Chinese senior learners except for the researchers to re-select dialogues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asily misunderstand. Firs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researchers, it divides the easily misunderstood dialogues into three levels. Later, in order to improve objectivity, the degree of misunderstanding of two senior Korean learners except for the researchers according to learn dialogues were divided into four levels. After selecting the misunderstood dialogues, the paper divides it into two grades of “very high” and “high” according to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Analyze all selected cases and finally classify them into 10 types of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Through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10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classified of the paper have some overlapping parts with the leading research and there are also non-overlapping parts. This paper takes examples on overlapping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and non-overlapping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with the leading research then analyzes them. Through this analysis, it is to grasp how difficult the Chinese Korean learners experience, and can also analyze which the misunderstandings of language use in the dialogues suggested by the textbooks will appear multiple times. In chapter IV, the paper uses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III as the background, in order to reduce the misunderstanding situations of language use, prepares an education program for Chinese Korean learners. First of all, in order to reduce the misunderstanding of language use due t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and linguistic, the article puts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that reinforces the cognitio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and language differences in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It also uses misunderstanding cases to reveal a close approach to language and cultur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because Chinese Korean learners need explanations of Korean teachers that are in line with their requirements, the article proposes explanation solutions. From the view of cultural, for the parts that only using language are hard to explain, it provides an education program to enable learners to flexibly use the context of situation to grasp meaning. This study takes Chinese Korean learners as the object and selects the examples that were easily misunderstood in the course of learning the dialogu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analyzes the reasons of mis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for this is very meaningful. However, when classifying easily misunderstood dialogues, the boundaries between various types are not very clear and have become the constraint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