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 어휘 교재 개선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정 어휘 교재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ganize Ways to Improve the Textbooks of Korean Emotional Vocabulary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Authors
HUANG, YABI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는 초·중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효과적인 감정 어휘 학습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한국어 교육기관과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중급 교재에 나타난 감정 어휘를 분석하고 대비하는 방식을 통해 감정 어휘의 교재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느낌이나 기분으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표현하는 어휘나 방식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 감정은 자신의 나라의 문화 또는 환경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표현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어휘는 추상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더라도 상황 맥락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의 감정 어휘를 구분하고 사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의 감정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의 감정 어휘의 의미나 사용 맥락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대부분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를 공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인 ‘교재’를 대상으로 감정 어휘들이 교재에 합리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국어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두 측면에서 감정 어휘에 관련된 이론, 감정 어휘 의미 변별, 감정 어휘 유형 분류 및 교육 방안 등에 관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향과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감정 어휘의 개념, 범위, 특징을 정리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감정 어휘 사용에 있어 어떤 오류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여 학습자들이 감정 어휘를 배울 때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감정 어휘를 학습할 때 갖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한·중 교재를 대비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의 대상은 중국에서 출간된 4개 학교의 초·중급 교재와 한국에서 출간된 4개 학교의 초·중급 교재로, 총 41권의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양국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감정 어휘의 수량과 빈도, 어휘의 감정 유형, 제시 방식, 제시된 어휘의 난이도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양국 교재의 대비 분석을 통해 한국과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을 토대로 교재의 감정 어휘 교육 내용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먼저, 한국과 중국에서 출간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감정 어휘 수가 방대하고, 양국의 한국어 교재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감정 어휘의 수량이 더 많았다. 감정 어휘의 출현 빈도의 경우, 어떤 감정 어휘는 빈번하게 제시되고 어떤 감정 어휘는 거의 제시되지 않은 불균형적인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출간 교재에는 감정 어휘의 종류가 다양한 반면에 중국 교재에는 감정 어휘의 종류가 비교적 적은 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시 방식 또한 한국 출간 교재가 더욱 다양하였다. 가장 주목할 점은 양국 출간 초·중급 교재에 제시된 감정 어휘의 난이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감정 어휘에 대한 등급이 현재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Ⅲ장의 교재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감정 어휘의 등급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감정 어휘의 등급으로 재등급화 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재 방안을 제안하였다. 재등급화된 감정 어휘는 중국 감정 어휘와 비교하여 ‘문법 차이’와 ‘의미 차이’에 따라 감정 어휘의 범주를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초·중급 감정 어휘의 교재 개선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감정 어휘 교육을 위해 한·중 출간 한국어 교재를 비교하여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고급 학습자들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ways to improve the textbooks of Korean emotional vocabulary for Chinese learners. The way to improve the teaching materials of emotional vocabulary has been stud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emotional vocabulary textbooks from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The University in China. Emotional vocabulary has abstract meanings and is expressed differently in different situations. Because of this abstract meaning, there are fine differences between words. In particular, emotions are held by each person an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ir own culture and environment, it is even more difficult for learners to distinguish and use meanings appropriately. Therefore, emotional vocabulary is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Most foreign Korean learners use textbooks most often when studying vocabulary. Learning effects vary depending on how the textbooks are presented in an appropriate way. Therefore, it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the textbook by reviewing whether it is reasonably presented in textbooks based o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revealing its limitations. First, starting with two aspects of Korean education as Korean Linguistics and a foreign language, Chapter I show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describes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the research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basic theories related to emotional vocabulary, distinction of the meanings of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emotional vocabulary, and methods of education. Chapter II identifies the concept,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by selecting the subject of study. Based on this, Chinese learners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exist when learning emotional vocabulary.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learners conducted a contrast analysis, as shown in the textbooks, with difficulties that exist when learning emotional vocabulary. A total of 41 textbook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published by 4 schools each in China and Korea has been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mount and frequency of emotional words, the emotional types of words, presentation methods, and the difficulty of vocabulary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content of emotional vocabulary education are found by a comparing two countries’textbooks. First of all,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presented in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is vast, and more words i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an those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discovered. The frequency with which emotional words appear is also hardly balanced. Some emotional words are frequently presented and others are very rare. In addition, there are more emotional types of word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and relatively fewer in Chinese textbooks. More varied ways to present emotional vocabulary exist in Korean textbooks. The most significant point is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of emotional vocabulary presented in textbook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published in two countries does not correspond and rating the grade of vocabulary is not clearly presented. In order to supplement this limitation, it was intended to re-rate the grade of emotional vocabulary for Chinese Korean learners only. In Chapter IV, we studied and suggested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in Chapter III. First, for Chinese learners, the list of emotional word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was reselected and the grade of them was rerated. With the result of relating the Korean emotional vocabulary, we compared it with Chinese emotional vocabulary and divided into two categories; grammar and meaning. These three categories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the textbooks of emotional vocabulary for Chinese learners i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Throughout the comparison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to find out the effective methods to supplement emotional vocabulary for Chinese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it provides ways to improve Korean textbooks characterized to Chinese learners by finding advantages from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and compensating any weak points.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extbooks for Chinese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ners only so that it has limitation for advanced learner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study on improving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will be continu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