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은주-
dc.creator김은주-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0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시적 문법 탐구와 통시적 문법 탐구가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범시적 문법 교육을 제안하고 그 교육 내용의 선정과 내용 구성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용주의와 학습자 중심주의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문법 교육은 현대국어 교육 내용의 공간마저 축소화 되고 있으며, 국어사 교육은 중세국어만 다루는 파격적인 감축으로 형식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현대국어와 국어사 교육 내용의 연계를 통해 범시적 관점에서 국어 문법을 학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범시적 문법 교육을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진 국어사 교육과 국어사 교육의 위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통시적으로 국어 지식을 다룬 국어사 교육 내용은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현대국어의 교육 내용과 분절된 채 시대별 국어의 특징을 확인하는 내용과 활동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는 현실 적용이 어려운 학습량을 제시하거나 다양한 언어 자료 제시를 대안으로 삼고 있었다. 국어사 교육과 대안적 연구의 실제적 문제와 한계 확인은 범시적 문법 교육이라는 전향적 대안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범시적 문법 교육은 문법 교육이 처한 위기를 직시하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고려한 공시와 통시의 교육적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학습자는 공시와 통시가 연계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을 통해 언어 본질에 대한 범시적 관점을 형성하고, 현대국어 현상의 이해를 확장하여 국어사의 현재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고는 ‘국어의 유기체적 역동성 인식과 국어의 미래를 위한 태도 형성’을 범시적 문법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삼고, 국어의 구조에 대한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교육 내용 분석을 연구 범위로 한정하였다. Ⅲ장에서는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을 추출하기 위해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 분석 자료들을 선별하여 메타적 분석 작업을 실행하였다.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은 ‘시대별 국어 특징의 국어학적 중요성’, ‘현대국어와의 통시적 연관성’, ‘학습자의 국어 학습 능력 수준과의 적정성’이다. 선정 기준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로 제5차·제6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어』 국정 교과서와 2011 개정 교육과정 『국어Ⅱ』 11종 검인정 교과서, 그리고 현대국어와의 연계성이 높은 국어사 교육 내용을 연구한 자료 두 편을 선별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교육 내용 추출 시, 단일 기준이 적용된 국정 교과서의 공통 교육 내용과 11종 교과서 중 반 이상이 채택한 교육 내용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교과서 교육 내용의 취약점인 현대국어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국어사 교육 내용은 두 편의 관련 선행 연구에서 추출하였다. 이들을 메타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총 21가지의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이 선정되었다. Ⅳ장에서는 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위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의 실제적 구성을 보이기 위해 우선 Ⅲ장에서 선정한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설정하고 내용 체계를 재구성한 다음 구성 원리를 정하였다. 구성 방향은 현대국어와의 연계를 고려한 구성을 보인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현대국어와 국어사 지식을 연계 접점마다 함께 다루는 구성 방향을 선택하였다. 이에 적합한 내용 체계 수립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의 현대국어 내용 체계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삼았다. 현대국어의 내용 체계와 Ⅲ장에서 선정한 교육 내용의 접합 지점을 정리하여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의 체계를 세웠다. 그리고 내용 체계를 실제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내용 제시와 언어 자료 제시 방식에 대한 원리를 정하였다. 이러한 선행 작업을 바탕으로 ‘음운과 표기’, ‘형태소와 단어’, ‘문장’ 부문의 학습 요소에 대한 범시적 문법 교육의 실제적인 구성의 예를 각각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현대국어와의 연계에 중점을 두고 국어사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범시적 문법 교육 목표에 맞춘 교육 내용의 체계를 세웠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대국어와 국어사 교육 내용의 연계가 실제 구현될 수 있도록 본고에서 선정한 국어사 교육 내용과 현행 교육과정의 현대국어 교육 내용의 수준을 비교 확인하고, 종래의 분절적 구성을 병렬적 구성으로 바꾸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메타 문헌 분석 시 현대국어와 연계성이 높은 국어사 교육 내용 자료의 양이 충분치 못하여 내용 체계에서 국어사 학습 요소가 소략한 점이 있어 교육 내용 선정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또한 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시적 문법 교육의 세부 교육 내용 및 활동 구성에 대한 중학교 학습자의 수준 분석이 보다 면밀하게 후속 연구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현대국어와 국어사 교육 내용을 연계하여 중등 국어 학습자들의 범시적 관점 형성에 주목하는 문법 교육 논의들이 본 연구를 시작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synchronic and diachronic gramma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identify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 plan for content organization. In the course of revising education curriculum, space for present-day Korean education content is losing, and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deals with perfunctory teaching and learning that include only middle Korean. Solving these practical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at students can learn grammar through conn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present-day Korean and Korean language history. Chapter Ⅱ critically examines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ithin curriculum and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alternatives. The critical review revealed that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or high school freshmen was organized with the content and activities that identify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s in different periods, disconnected from the present-day Korean education content. The previous studies also suggested unrealistic amounts of learning content or the use of various language materials as an alternative.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on curriculum and alternative show the need for a forward-looking alternative,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confronts the crisis of grammar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strategy to connect synchronic and diachronic education considering a potential of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the ultimate goal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is ‘recognition of the organic dynamics of Korean language and formation of attitude for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and the study scope is limited to contents of middle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education regarding th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Chapter Ⅲ developed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 and implemented meta-analysis on selected materials. Selection criteria are ‘academic importance of chr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diachronic relation with present-day Korean’, and ‘appropriateness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level’. National Korean textbooks during the 5th, 6th and 7th curriculum periods, 11 authorized Korean II textbooks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two research materials o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ighly connected with present-day Korean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meta-analysis of the materials, 21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Chapter Ⅳ established the direction for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and reorganized the content system, and then determined organizing principles in order to demonstrate an practical organization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content.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 is to deal with each connection point of knowledge of present-day Korean and Korean language history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refore, the present-day Korean content system and elem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used as standards for development of the appropriate content syst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system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contents through organizing connection points of content system of persent-day Korean and educational contents selected in chapter Ⅲ. Then, the principles about the method of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 and language materials were specified to organize the content system practically. Based on the preliminary work, examples of practical organization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for ‘phonemes and orthography’, ‘morphemes and words’ and ‘sentences’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ccording to the goal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through extrac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a focus approach to Korean language history on connection with present-day Korean. Additional merits include its attempts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selected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content through its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present-day Korean education cont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o change the previous organization into parallel organization.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ecause Korean language history learning elements were scarce in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Moreo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analysis of middle school learners’ level regarding organization of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y in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discussion on grammar education with attention to formation of panchronic perspective of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learners by link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present-day Korean and Korean language histo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7 Ⅱ.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 10 A. 국어사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0 1. 시대별 국어의 변천을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1 2. 중세국어를 중점으로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6 B. 국어사 교육의 대안적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 1. 교육 내용 구성과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 검토 21 2. 대안적 연구의 적용에 대한 실제적 한계 확인 27 C. 범시적 문법 교육의 방향과 목적 35 1. 범시적 문법 교육의 방향 36 2. 범시적 문법 교육의 목표와 교육 내용의 연구 범위 39 Ⅲ. 메타 문헌 분석을 통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추출 42 A. 교육 내용 선정 기준 42 B. 분석 대상 자료와 분석 방법 44 C. 분석 자료 내 국어사 교육 내용 확인 48 1. 국정 교과서의 국어사 교육 내용 48 2. 2011 개정 교육과정기 국어Ⅱ 교과서의 국어사 교육 내용 53 3. 교과서 외 현대국어와의 연계성 높은 국어사 교육 내용 56 D. 메타 분석을 통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선정 60 Ⅳ.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의 틀과 실제 72 A.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의 틀 잡기 72 1.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 72 2.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의 체계 77 B.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 80 1. 내용 구성의 원리 81 2. 부문별 내용 구성의 실제 87 Ⅴ. 결론 및 논의 103 참고문헌 107 부록 1.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Ⅱ 11종 교과서 국어사 교육 내용 113 부록 2.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Ⅱ 11종 교과서 수록 국어사 언어 자료 117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961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위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tent Organization of Panchronic Gramma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Kim, Eun Ju-
dc.format.pagevii, 120 p.-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