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Title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he Tree (PPAT) Drawing Test b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College Students
Authors
김총명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인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대학생의 정신건강 요소로 주목하고, 대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차이와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PPAT 그림검사가 대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PPAT 그림검사를 오늘날 대학생의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진단도구 및 인재역량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8년 4월 5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희망자 186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수준을 측정하고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16부를 제외한 총 170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해결력 척도에서 제안된 점수에 따라 상위군과 하위군으로 분류하고, 창의성 척도는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상위군과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따른 PPAT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χ2검정을 실시하였고, 문제해결력, 창의성, PPAT 그림검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중 형식척도(FEATS)에서는‘색의 적절성’,‘내적 에너지’,‘공간’,‘통합’,‘논리성’,‘사실성’,‘문제해결력’,‘발달단계’,‘세부묘사와 배경’,‘선의 질’,‘사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척도(Contents Scale)에서는‘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의 수’,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 중‘파랑’, 사과나무의 사과 색이‘두 가지 이상’, ‘나이’, 옷의‘모자’,‘옷이 없음’,‘사과의 수’,‘사과나무의 10개가 넘는 사과’, 배경묘사의‘차, 트럭, 수레’,‘바구니, 상자’,‘기타(가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중 형식척도(FEATS)에서는‘색칠 정도’,‘색의 적절성’,‘내적 에너지’, ‘공간’,‘사실성’,‘발달단계’,‘세부묘사와 배경’,‘선의 질’,‘기울기’,‘의미 없는 반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용척도(Contents Scale)에서는‘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의 수’,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 중‘주황’,‘노랑’,‘연두’,‘밝은 파랑’, 사과나무의 기둥 색이‘검정’, 사과나무의 사과의 색이 ‘두 가지 이상’, 옷의‘모자’,‘사과의 수’,‘배경묘사의 수’, 사람이‘앉아있음’,‘기어오름’, 배경묘사의‘풀, 지평선’,‘다른 나무’, 기타(헬리콥터, 우주선, 드론, 그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해결력, 창의성, PPAT 그림검사 형식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은 관계가 거의 없었으며, PPAT 그림검사는 앞서 반응특성 차이에서 유의미했던 창의성 집단 간의 색의 적절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항목에서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를 반영하면, PPAT 그림검사 형식척도에서 문제해결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색의 적절성’, ‘통합’, ‘논리성’, ‘문제해결력’, ‘사람’이며, 창의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색칠 정도’, ‘기울기’, ‘의미 없는 반복’이었다.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내적 에너지’, ‘공간, ‘사실성’, ‘발달단계’, ‘세부묘사와 배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차이와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수준에 따라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에 차이가 있었고, PPAT 그림검사가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PPAT 그림검사가 대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을 평가하는 투사적 그림검사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정신건강 문제의 조기발견 및 개입을 위한 기초진단도구로서 PPAT 그림검사를 사용하고, 인재역량 평가에 관심 있는 다양한 기업에서도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which are core competences of the talented in the future, as elements of mental health for college students,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see if the PPAT drawing test could exert discrimination in measur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By doing this, it intended to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the PPAT drawing test could be useful in basic diagnosis to help college students of today manage their mental health and talent competence evaluation. For this purpose, personal visits were made to three colleges in Seoul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perform the PPAT drawing test in 186 volunteers from April 5 to 19, 2018. Of these, a total of 170 copies were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the insincere one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the level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groups both by the scores in the problem-solving scale and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the creativ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Ver. 25.0 program: t-test and χ2 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the PPAT drawing test.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set at P <0.05, the analys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FEATS) amo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problem-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solving, developmental level,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and the person. The Contents Scal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lors in the whole drawing, blue among the colors in the whole drawing, at least 2 colors of apples in the tree, age, the hood of clothes, no clothes, the number of apples, more than 10 apples in the tree, a car, a truck, and a cart, a basket and a box, and others (scissors) in background depiction. Second, in FEATS amo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realism, developmental level,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rotation, and perseveration. The Contents Scal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lors in the whole drawing, orange, yellow, yellowish green, and light blue among the colors in the whole drawing, black for the trunk of the tree, at least 2 colors of apples in the tree, the hood of clothes, the number of apples, the number of background depictions, a sitting person, a climbing person, grass, horizon, other trees, and others (a helicopter, a spacecraft, a drone, swings) in background depiction. Third,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FEATS of the PPAT drawing test, almost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PAT drawing test in the same items, excepting appropriateness of colors for creativity with th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hat is, the items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problem-solving ability in FEATS of the PPAT drawing test were color fit, integration, logic, problem-solving, and the person, and those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reativity were the prominence of color, rotation, and perseveration. The items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 creativity were implied energy, space, realism, developmental level, and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b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PPAT drawing test differed by the level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the PPAT drawing 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mplied that the PPAT drawing test is useful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to evaluat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PPAT drawing test will be useful in basic diagnosis for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for college students and intervention in the problems and that many different companies interested in talent competence evaluation will be able to apply this t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