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LI, XIN-
dc.creatorLI, XIN-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9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인 직장인 및 예비 직장인의 비즈니스 목적의 한국어 이메일 작성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 구안에 있어 경험적 준거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메일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쓰기 장르로서, 친구, 지인 등 사적 이메일과 회사, 공공기관 등 비즈니스 상황에서 요구되는 공적 이메일로 나뉜다.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은 공적 이메일에 속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및 비즈니스 목적의 한국어 이메일 자체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구체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이에 Ⅰ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와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담화 분석에 관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언어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서 본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이메일과 비즈니스 이메일의 개념 및 특징, 한⦁중 비즈니스 이메일의 담화의 구조적,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대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어 교재와 교육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에서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은 대부분 위탁, 개인 수업으로 진행하고 있고 중국에서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은 대학교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총 8종의 한국어 교재를 살펴본 결과 직장생활, 업무생활 등 여러 측면의 교육 내용이 들어있으나 화행 중심으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비즈니스 이메일을 읽고 쓰는 등 비즈니스 이메일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즈니스 이메일에 관한 이론적 개념이나 예시 등을 제시하였을 뿐 비즈니스 이메일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언어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어떤 부분을, 어떻게 작성 또는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 내용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그간의 비즈니스 이메일 관련 논의들이 이론적 차원에서 충실히 이루어진 것에 비해, 실제 학습자들이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하고 이해하는 양상이 어떠하며, 의사소통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지점이 무엇인지를 언어 표현적, 문화적 차원에서 살피는 경험적 연구가 부족함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에 Ⅲ장에서는 학습자들이 비즈니스 이메일을 작성하는 실제적 수행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과제 해결 문항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참여자의 기본 정보를 묻는 부분과 주어진 상황에 따라 한국어로 이메일을 작성해 보는 과제 수행 부분,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묻는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한⦁중 언어문화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직장인과 중국 직장인의 이메일을 비교 분석하는 것과 교육 수준과 경험(환경) 차이에 따른 수행 양상 차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 직장인과 중국 학부생의 이메일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후에는 한국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중국인이 작성한 이메일의 의사소통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중국인들이 작성한 이메일에 대해 비즈니스 이메일 의사소통의 한 축을 담당하는 한국인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피는 것은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성을 제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구체적 지점을 시사하는 바,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펴본 이론적 논의와 Ⅲ장에서 확인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이메일의 구조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또한 각 교육 내용별 과제 활동을 마련하여 중국 직장인과 예비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이메일 읽기 및 쓰기 활동의 구체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살피고, 논의 발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차원에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중국 직장인 또는 예비 직장인들의 비즈니스 이메일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성을 기대하며 추후 더 많은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has a goal of obtaining an educational content for boosting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by Chinese who are studying Korean. Thus, we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preliminary workers who try to write business e-mail in Korean in order to prepare a standard for the education content. E-mail is a common writing genre that one can frequently use in daily lives. It consist of a private e-mail among friends, acquaintances and a public e-mail used in public organization and companies. Business Korean e-mail belongs to public e-mail and in order to prepare the educational content, we have to know specifically about the theoretical debate of the own traits of Korean e-mail for business purpose and educational purpose. Therefore, in chapter I, we have investigated critically about the research about the analysis of Korean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and business Korean education. In chapter Ⅱ, we have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mail and business e-mail, then structural and cultural traits of Korean and Chinese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Next, for the sake of analyzing current status quo of Korean and Chinese business Korean education, we have compared and contrasted currently released business Korean textbook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business Korean education in Korea was mainly done by commission and individual tutor. The education in China was mainly targeted toward junior and senior of university. When looking at the textbook, there are various sides of education such as work and business life. However, it was mainly composed of speech-oriented lectures.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such as reading and writing the e-mail were not dealt in the textbook. It has only provided the theoretical concept and examples of business e-mail and did not mention how to write business e-mail, how to consider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how to understand them. Compared to the fact that business e-mail debates were dealt in theoretical way recently, it has turned out that empirical research method was not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business e-mail, where it can cause a mis communication by looking at expression and cultural aspects. Thus, in chapter Ⅲ, in order to confirm the condition of realistic performing of business e-mail by learners, we have conducted a survey which included problem solving questions. The survey asked the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questions according to given situations and requests of Korean business e-mail education from Chinese who learn Korean. In terms of data analysis, we have approached by comparing the e-mail of Korean and Chinese workers to find out cultural differences and analyzing Chinese workers and students’ e-mail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gap caused by educational and background differences. After, we asked Korean workers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level of e-mail written by Chinese. As the evaluation will imply the specific level and future plans for the education, it was used as an additional data to procure Korean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 In chapter Ⅳ, based on the theoretical debate of chapter Ⅱ and result of data analysis from chapter Ⅲ, we have prepared th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ructural and expressive sides. Furthermore, by procuring assignment for each education contents, we intended to provide desirable shape of reading and writing business e-mail from Chinese and preliminary workers. In the last chapter Ⅴ, we have suggested a hypothesis by reviewing the entire contents of research in order to remind of the meaning and investigate possible solutions. This research suggests specific content of Korean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education. It is meaningful in a way that it has set a standard of improving ability of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of Chinese and preliminary workers. We look forward to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of further debates for effective outcome of this research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3 2.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에 관한 연구 5 3. 언어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8 C. 연구 내용 및 방법 10 II. 이론적 고찰 13 A.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내용 및 현황 13 1. 비즈니스 한국어 개념 및 교육 특성 13 2.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현황 16 3.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내용 분석 20 B. 한중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 특징 26 1. 이메일의 기본 형식 27 2. 비즈니스 이메일의 기본 형식 30 3. 한중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의 언어문화 32 III.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담화 분석의 실제 37 A. 예비조사 37 B. 본 조사 38 1. 연구 대상 38 2.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42 3. 자료 분석 방법 46 C. 결과 분석 49 1. 한중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 비교 분석 49 2. 중중 비즈니스 이메일 담화 비교 분석 63 3. 중국인 비즈니스 이메일에 대한 의사소통성 평가 75 IV.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 93 A.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 93 1. 비스니스 한국어 이메일 교육 내용 요구 조사 결과 93 2.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작성 시 미숙한 내용 95 B.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의 구성 101 1. 구조적 측면 101 2. 표현적 측면 103 V. 결론 및 제언 110 A. 결론 110 B. 제언 113 참고문헌 115 부록1. 설문지1 (한국 직장인) 119 부록2. 설문지2 (중국 직장인) 122 부록3. 설문지3 (중국 학부생) 128 부록4. 설문지4 133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9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의사소통 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중 언어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Korean Business E-mail Communication Educational Content Research : Mainly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Korea and China-
dc.creator.othername이흠-
dc.format.pageviii, 147 p.-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