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1 Download: 0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Authors
한서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의도적으로 결혼만족도 유형을 정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살펴봄으로써 기혼여성근로자들이 보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이루어 가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 일-가정 관계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5년까지 실시 된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5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결혼하여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고, 미취학 또는 학령기 자녀가 있으며, 일을 하고 있는 기혼여성근로자 1,28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연구참여자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 기술하고, 결혼만족도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며, 각 유형에 따라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 일가정 관계요인이 어떻게 예측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 유형은 평균이상형, 평균형, 평균이하형으로 구분하였으며, 평균이상형(37.1%), 평균이하형(34.1%), 평균형(28.8%)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다. 둘째, 기혼여성근로자들의 결혼만족도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평균 연령은 평균이상형이 가장 낮았고, 학력의 경우 평균이상형은 대졸이상, 평균이하형은 고졸이하에 속하는 대상이 더 많았다. 가구소득은 평균이상형이 가장 높았고, 건강상태의 경우도 평균이상형이 건강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요인에서는 미취학, 학령기 자녀의 수가 평균이상형이 가장 많았고, 평균형, 평균이하형으로 그 수가 감소했다. 남편의 가사분담만족도와 부부성관계만족도 또한 평균이상형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형, 평균이하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부여가활동공유여부는 모든 유형이 여가활동을 공유하지 않는 부부가 더 많았지만, 그럼에도 비교했을 때 평균이상형에 속한 여성이 부부여가활동공유를 다른 유형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요인의 경우 하루 평균 근로시간은 모든 유형이 8시간 미만이었으며 평균이하형, 평균형, 평균이상형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직무만족도는 근로시간과 반대로 평균이상형, 평균형, 평균이하형 순으로 평균이상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구분은 전체 유형에서 임금근로자가 비임금근로자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평균이상형이 다른 유형보다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았다. 마지막 일-가정 관계요인은 일→가정 촉진(WFF)과 가정→일 촉진(WFC)은 평균이상형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평균형, 평균이하형으로 영향이 감소했다. 일→가정 갈등(WFC)은 우와 반대로 평균이하형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평균형, 평균이상형 순으로 영향이 감소했고, 가정→일 갈등(FWC)은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결혼만족도 점수의 평균이 평균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평균이상형은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남편가사분담만족도와 부부성관계만족도,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이하형의 경우는 고졸이하일수록, 남편가사분담만족도와 부부성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가정이 일을 촉진시키는 영향이 낮을수록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편의 가사분담만족도가 모든 유형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남편가사분담만족도를 높여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부의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가사에 대한 이해부터 직접 실습까지 해보고, 최종적으로 부부가 역할분담표를 작성해보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적으로도 남성들이 양성평등적인 성역할관을 학습할 수 있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부부성관계만족도 또한 기혼여성근로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모든 유형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부부성관계만족도는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빈도의 정도보다는 각 부부의 성생활패턴에 따라 다를 수 있기에 부부마다의 다양함을 인정해야한다. 이에 부부들이 자신들의 방식으로 성생활 패턴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기회의 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부부의 성에 대해 솔직하고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도 있고 교육도 함께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는 결혼 기간이나 가족의 구성(자녀의 유무 등) 부부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세분화되어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결혼만족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고, 근로시간은 결혼만족도를 낮아지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근로시간을 줄이는 것이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인 것이다. 이는 기혼여성근로자나 가정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실효성 있는 정책과 기업의 실행 능력 및 의지로 가능한 부분이다.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가족친화제도나 기혼여성근로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근로시간 유연제와 관련한 정책과 제도들이 있음에도 이것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고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법적인 정책 강화와, 이런 제도를 기업에서도 받아들이고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직장의 관리자의 인식개선과 조직문화 개편도 함께 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이 일을 촉진시키는 영향이 낮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가정→일 촉진(FWF)은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가족들의 일에 대한 지지에 관한 것으로 스스로의 인식과 가족들의 지지에 관한 부분이기에 정서적 측면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는 인식 캠페인, 상담, 교육과 프로그램 등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factors that affect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ype. Therefore, the type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designated deliberately, and influencing factors on each type were observed in a bi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ried working women to lead a better married life. For this, the factors were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family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and work-family relation factors. Using the data collected by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for 5 years until 2015, the subjects were decided to be 1,280 married working women who are married and living with the spouse, have a preschool or school age child and is working. The research findings describe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participants, how to separate the marital satisfaction types, and what characteristics each type include. Lastly,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how the influencing factors – sociodemographic factors, family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work-family relation factors -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types are being predicted. The summary of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above average, average, and below average, where 37.1% of women were above average types, 34.1%, below average, and 28.8%, average. Second,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satisfactions types,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average age was the lowest in the above average type, and regarding the educational background factor, the above average type had ‘undergraduate or higher’ the most while the below average type had ‘highschool graduate or lower’ the most. Household income was the highest for the above average type, and the above average type perceived their health more positively than others. Among the family factors, the number of children in preschool or school age was the highest in the above average type, and the number decreased for the average type and the below average type, perspectively. Satisfaction in division of domestic labor with spouse and sexual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for the above average type, followed by the average type and then the below average type. Regarding sharing of leisure activity with spouse, there were more couples who did not share leisure activity together, however, when still compared, the women from the above average type found to be sharing leisure activity with spouse more than those from the other types. For occupational factors, all types answered the average hours worked is less than 8 hours, and the number of hours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below average type, the average type, and the above average type. Job satisfaction, however, on the contrary, was the highest for the above average type followed by the average type and then the below average type. For all types, the ratio for paid worker was higher than unpaid workers, and the above average type had the highest ratio of paid workers. Lastly, regarding the work-family relation factors, the above average type was the type most affected by work-family facilitation (WFF) and family-work facilitation (FWF), and the effect decreased for the average type and the below average type, perspectively. On the contrary, work-family conflict (WFC) affected the below average type the most and then the average type and the above average type in or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family-work conflict (FWC).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type shown by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when the average type accounts for the average marital satisfaction score, it was more likely for women to be in the above average type when they had higher awareness on health condition, higher satisfaction on division of domestic labor with spouse, sexu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below average type wh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s high school graduate or lower, when the satisfaction on division of domestic labor with spouse, sexual satisfaction, and family-work facilitation were lower. Practical implications drawn based on this study are stated below. First,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ype, the result for the satisfaction on division of domestic labor with spous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all types. To increase the marital satisfaction by enhancing satisfaction on division of domestic labor with spouse, a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help 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program should be practical, including understanding of domestic labor, its actual practice, and making of a labor division table by the couple. From the political aspect,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and political support are necessary for men to learn and practice gender role ideology from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Second, sexual satisfaction was also a factor affecting the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hat showed relevant results in all types. Summing up the researches that study sexu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s, each couple has a different sexual life pattern, therefore, such diversity should be recognized.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opportunities for the couples to make their own sexual life pattern. There should be a program that enables the couples to openly and comfortably converse about sexual life of married couples while also educating them. The program should be subdivided by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uples such as duration of marriage and family composition (with or without children, etc.).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working hours negatively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e way to enhance marital satisfaction is to boost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 working hours. This cannot be resolved by married working women or family themselves – it can be enabled by effective policies and companies’ capacity and willingness. Although there exist family-friendly systems and flexible working hour-related policies and systems that married working women can utilize, not many companies actually use and exercise them. Thus, a legal action should be taken to strengthen related policies, which should be coupled with improvement in perception of the managers and re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in order for the companies to accept and promote these systems. Last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er the family-work facilitation (FWF), the lower the marital satisfaction. Family-work facilitation (FWF) is about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and family’s support for the work, which regards to self-awareness and family’s support. Therefore, it requires improvement in the emotional aspect, which can be achieved with approaches such as awareness campaigns, counseling, education and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