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Title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Thyroid Diseases
Authors
나신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thyroid diseases and group for an intervention for their return to a healthy community member.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raw data disclosed from the 7th-term, 1st-year(2016)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by KCDC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ince it has the representativeness and reliability from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As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for 186 women with thyroid diseases using SPSS 23.0, along with the Pearson simple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in and dependent variables. Beside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Als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the quality of lif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a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thyroid diseases, M=0.86(SD=.20). It shows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thyroid diseases is lower than that of the average women(EQ-5D) M=0.94(SD=.003)(Th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consideri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for age people in their 30s, 40s and 50s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an those in 60s and 70s, and the married and more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an the unmarried and elementary school graduates each.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ain variables, persons diagnosed in their 60s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an those diagnosed in their 70s or older, and persons in their 30s or younger than those in their 60s. As for experience of mental health counselling for a year, persons with such an experience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As for the monthly income, people between 3.01 -4 million won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an those under 1 million won, and as for health insurance, those with employed or regional health insurance than those with medical care. Besides, the private insured had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an the uninsured. Fourthly, as for factors having a rel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thyroid diseases, there were mental health counselling experience for a year, perceived fatigue, education more than high school, age at diagnosis and private medical insurance in order. These research findings have significance from a perspective of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s follows. Firstl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verifie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based not on the dominant biomedical model but on biopsychosocial model of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thyroid diseases and on their symptoms. So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basis for understanding physical problem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hospitals, a field for practicing social welfare, solving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so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Such an effort allows us to have a comprehensive and extended perspective. Secondly, from a perspective of research, despite a lot of studies on the quality of life, there are a few studies for women with thyroid diseases so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ir quality of life. Thirdly, much attention has not been given to thyroid diseases though they hav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because of their favorable prognosis(Kim Chang-Hee, 2006). From a perspective of practi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ursued a direction for women with thyroid diseases to return to society by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roles by medical social workers and patients' spouse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thyroid diseases are as follows. Firstly, distinction verification shows whether one has one's spouse or not with his/her role is an important factor. According to the Kim Dae-gyu(2015) study a spouse, or a protector of a patient, is the closest family member of the patient and in our nation they are regarded to be nearest in kinship. It gives a very important suggestion as a factor for intervention of a medical social worker. Furthermore, medical social workers conduct interventions for patients' healthy return to society so they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ir quality of life even after discharge in addition to hospitalization terms. Accordingly, dur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s who came to have a low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ey have to include patients' protectors to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a variety of programs for their spouses are warranted to help and support their recovery and adaptation beyond programs for patients. Secondly, through active cooperation with clinics havi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for long-term treatment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y have to help them with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with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ir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본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복귀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수준으로 표준화 되어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의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공개된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갑상선 질환 여성 186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들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그리고 통제변수와 각 독립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은 M=0.86(SD=.20)으로, 이들의 삶의 질 수준은 일반 여성 삶의 질인 M=0.94(SD=.003) 비해(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낮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있어서 30대 이하, 40대, 50대가 상대적으로 고령인 60대, 70대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 유배우자가 무배우자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 교육수준도 초졸보다는 중졸이 상인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들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단 당시 연령은 60대 이하가 70대 이상에 진단받는 것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 또 30대 이하가 60대 보다는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간 정신문제 상담 경험은 상담을 받은 사람의 삶의 질이 상담을 받지 않은 사람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은 100만원 이하보다는 301-400만원 소득을 가진 사람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보험 종류는 의료급여보다는 직장이나 지역 건강보험을 가진 사람의 삶의 질이 더 높았으며, 민간 의료보험 가입자가 민간 의료보험 미가입자 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1년간 정신문제 상담을 받은 경우, 피곤함을 느낀 경우, 고졸 이상의 교육수준, 진단 당시 연령, 민간 의료보험 가입의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을 갖는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를 이론적 측면과 연구적 측면, 그리고 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갑상선 질환 여성의 증상과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들에 입각해, 의료분야에서 우세한 관점인 생의학적 모델이 아닌 생심리사회모델을 바탕으로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함으로 써 사회복지실천현장인 병원에서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문제를 이해하고, 심리적,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회복해가는 과정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보다 포괄적이고 확장 된 시각을 갖도록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연구적인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갑상선 질환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를 함으로써 앞으로 이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갑상선 질환은 예후가 좋다는 이유로 인해(김창희, 2006)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관심에서 소외된 질환으로 간주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사회복지사와 환자 배우자의 역할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갑상선 질환 여성의 건강한 사회복귀를 도모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갑상선 질환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검증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배우자의 유무와 그 역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김대규(2015)의 연구에 의하면 환자의 보호자인 배우자는 환자와 가장 가까운 가족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무촌으로 인식할 만큼 밀착된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요인으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갑작스러운 갑상선 질환 진단으로 삶의 질이 저하된 여성 환자에게 개입을 할 때, 환자의 건강한 사회로의 복귀라는 목적을 상기하며, 보호자도 개입의 대상으로 포함하여 환자의 삶의 질 증진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이에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필요하지만 보호자인 남편을 대상으로 환자의 회복을 돕거나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및 실행을 하여야 한다. 둘째, 특히나 만성질환인 갑상선 질환은 오랜 기간 동안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해당 임상과와 적극적인 협력과 다학제간의 접근을 통하여 보다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에 있어 정확히 사정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실시하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