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다문화기독교교육 관점에 기초한 교회학교 공과 분석

Title
다문화기독교교육 관점에 기초한 교회학교 공과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Church Education Lessons from a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Authors
김인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독교교육에서도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어떻게 수용하고 반영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독교교육의 맥락에서 다문화 현상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 접근들 중 ‘다문화기독교교육'의 관점은 성·인종·민족·언어·사회계층 등에 의한 불평등 문제 해소에 관심을 두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으로 기독교교육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관점으로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기독교교육'의 관점에 근거하여 기독교교육에서 활용되는 공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주제가 공과 교육과정에 얼마나 나타나는가? 둘째,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주제가 공과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공과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기독교교육의 문제점 또는 개선과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주제를 ‘평등성과 통일성', ‘다름과 다양성', ‘사회적 책임과 정의 실천' 등 세 가지로 추출하고 이를 공과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각 주제는 3개의 세부하위주제로 나누어진다. 분석 대상 공과 교육과정으로는 예장합동의 <생명의 빛>, 예장통합의 , 기감의 <놀라운 이야기>, 기장의 <예수님 따라> 등 4종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주제가 양적으로 어느 정도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각 공과의 전체 주제 중 다문화기독교교육 관련 주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예장합동 <생명의 빛> 공과는 10%, 예장통합 공과는 26%, 기감 <놀라운 이야기> 공과는 14%, 기장 <예수님따라> 공과는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공과 전체에 대해 각 주제별 분포를 보면, 사회적 책임과 정의실천의 주제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사회적 약자를 위한 봉사와 섬김에 대한 주제가 다른 하위주제들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반면, 다름과 다양성 존중의 영역과 부정의에 대한 변화와 개혁 노력의 영역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특히 다양한 문화를 제시하면서 이들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길러주기 위한 주제들이 부족하며 한국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부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주요 주제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 평등성과 통일성의 영역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동등성'과 ‘구원받는 존재로서의 동등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동등성을 바탕으로 모든 민족을 향한 전도의 중요성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평등성과 통일성성에 기초하여 차별과 편견을 극복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4개의 공과 모두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하나님의 한 가족으로서 서로서로를 소중히 여길 것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로 다름과 다양성의 영역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생명의 빛> 공과에서만 복음을 전해야 하는 구체적인 나라의 다양성과 복음제시와 감사함을 전달할 언어의 다양성이 언급되고 있다. 소수집단으로서의 한국 기독교에 대한 설명은 대부분 한국 초기 기독교에 대한 설명에 그쳤다. 세 번째로 사회적 책임과 정의 실천의 영역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였다. 사회적 책임은 이웃사랑의 측면, 즉 사회적 약자에 대한 봉사와 섬김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사회적 변화와 개혁을 위한 노력이라는 요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다문화기독교교육의 한계와 개선 과제와 관련하여 확인된 결과는, 첫째로, 다름과 다양성의 영역이 매우 적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다름과 다양성의 관점으로 전 세계 기독교 내 한국기독교에 대한 특징이 강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초기 한국 기독교에 대한 설명에 머물러 있으며 그 마저도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천방향이 이웃사랑의 개념에 따른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과 배려에만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스도인의 책임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과 배려 뿐 아니라 사회정의를 위한 다양한 실천의 방법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 기독교교육에서 다문화기독교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기독교교육의 주제를 정리함으로써 다문화기독교교육의 분석 틀을 제공함은 물론 앞으로 한국 기독교의 공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While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as the nation enters a multicultural society, various discussions are being held on how to accommodate and reflect the view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ristia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the view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which aims to embrace multicultural phenomenon, focuses on resolving inequality issues by gender, race, ethnicity, language and social class. Based on this view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used for Christian education and to present improvement for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does the topic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ppear in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Second, how does the topic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ppear in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Third, what is the problem or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s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were extracted into three categories : ‘equality and unity', ‘difference and divers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justice practice'. This was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of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Four categories of Church Lesson curriculum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cluding “Light of Life” by GAPCK(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GPL” by PCK(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mazing Bible Story” by KMC(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Following Jesus” by PROK(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among the total topics of each achievement, the percentages of the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Christianity education are as follows : 10 percent of the “Light of Life”, 26 percent of the “GPL”, 14 percent of the “Amazing Bible Story”, and 26 percent of the “Follow Jesu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each four Lesson, the them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justice practic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Among them, the topic of service and oblig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was shown far higher than other subtopics.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difference and diversity and the areas of change and reform efforts were low frequently shown.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topics that represent diverse cultures and drive understanding and respect, very few features of the Korean church were shown. Second, it analyzed how the major topics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re addressed. First, in the areas of equality and Unity, ‘equality as the image of God' and ‘equality as a saved being' are represented. Based on this equivalence, an importance of a mission toward all peoples is managed. It is clear that we should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on the basis of equality and unity. All Church Lessons show that we should cherish each other as the body of Christ and as a family of God. Second, the areas of difference and diversity appear to be very narrow. Only the “Light of Life” Lesson gives examples of specific countries where the gospel should be preach, and mentions the linguistic diversity that would convey the gospel and gratitude. Most of the explanations about Korea's Christianity as a minority were only descriptions of early Christianity in Korea. Third, social responsibility was emphasized through the words of God in the area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justice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is marked by loving one's neighbor, namely the significance of service and devotion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there is almost no factor of an effort for social change and reform. Third, the findings related with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nd improvement task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areas of difference and diversity are handled very little. Furthermore, despite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ity in the world should be emphasized in terms of differences and diversity, there is only the explanation for the early Korean Christianity, showing a low frequency. Second, the practical direction about the Christian's social responsibility stays at the level of caring and concern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according to the notion of loving one's neighbor. The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 must include not only the care and consider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but also the various methods of action for social justic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how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s handled in Korea's Christian educ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framework for analysis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by categorizing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Church Lesson curriculum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