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수진-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42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4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는 형태의 정보 전달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심 공원 중에서도 서울시 소재 공원인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체험시설을 제공하며 특히 어린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공원이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도심 중간에 위치하여 도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도심 속 공원으로 비교적 간단한 휴식장소를 제공해 많은 가족 단위의 이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프로그램이나 시설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어 어린이 사용자가 많지만, 공원이 법적으로 근린공원에 해당하여 사인 시스템의 매뉴얼이 성인의 체계에 맞춰져 있어 어린이 사용자가 사인 체계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시설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디자인이 충족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현재 공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보다 어린이 이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어린이 사용자를 배려한 사인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선정 대상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어린이의 인지 능력과 정서적 특성에 부합하는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어린이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는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 제작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 이용자와 정보 디자인 간의 상호 작용을 높이고 나아가 어린이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가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시되는 것을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어린이를 공간의 주 사용자로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공간의 웨이파인딩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어린이를 위한 웨이파인딩 개선에 관한 작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정보디자인에 대하여 정리하고 웨이파인딩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어린이 중심 디자인의 요소와 어린이의 인지와 정서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어린이가 선호하는 인지 특성 또는 정서적 특성을 반영해 제작된 웨이파인딩의 성공적인 사례와 국내외 어린이를 위한 공원의 현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의 형태 인지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장소에 따라 피아제의 인지 이론적 특징을 반영하되, 어린이를 정서적으로 자극할 수 있고 창의력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작하는데 주력했다. 이에 어린이의 상상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단순화 된 총 65개의 픽토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사인시스템과 지도에 각각 적용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사인시스템은 글자만 적용한 것이 아니라 글보다 그림을 더 친숙하게 느끼는 어린이들에게 있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개발한 픽토그램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사인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에 어린이가 정보를 이용하면서도 인지적으로 개발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픽토그램에 흥미를 보이며 동반한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길 찾기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으로 먼저 정보에 대하여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주력했다. 그래픽은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반응까지 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그래픽은 어린이의 인지적이고 심미적인 발달에 기여를 하는 중요한 요소로 제작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어린이를 위한 정보 전달의 요소로 그래픽의 형태적 표현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을 통해 현재보다 더 다양하고 풍부한 미적 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하며, 정보 전달에 왜곡이 없도록 사실성에 기초하여 제작하고자 하였다. 또한 어린이가 선호하는 색상을 중심으로 공원의 구역을 목적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도 목적지에 문자 정보 없이 쉽고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사인 시스템의 높이 또한 어린이의 신체와 성인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능한 한 여러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원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부분에서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이 개발되어지길 기대한다. 평균적 통계만으로 제작된 매뉴얼을 따르는 디자인보다는 좀 더 실제로 대상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 위한 디자인이 제공된다면, 사용자가 정보를 사용하는 데 있어 겪는 어려움이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이 제공되어 어린이가 그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게 된다면, 정보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그래픽 디자인 및 픽토그램과 사인 시스템이 공원뿐만 아니라 국내의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의 형태 및 웨이파인딩 디자인에 대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In this research, we aim to effectively provide information to children via form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aspect. Among parks in the center of the Seoul city, Seoul Children's Great Park, provides a variety of experiences facilities for children, as can be seen from the name, especially in the park operated for children's users is there. The Seoul Children's Great Park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ity center and has the advantage that citizens can easily access it, provides a relatively easy resting place in the park in the city center, many family units Users are using it, and that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The Seoul Children 's Grand Park, which has a large number of children, has a program or facility that is operated for children, but the park is designated as a neighborhood park and the manual of the sign system is tailored to adults, making it difficult for children to use. Therefore, the design focused on the user using the facility is not satisfied. Improvement against this is necessary. In this research, not only to satisfy the children's curiosity but also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design matching the child's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ild's eyes There is a purpose in design creation for children who can be. Therefore, we decided to select the Seoul Children 's Grand Park a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ign system that considers children' s users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and interesting for children. Through this research, the aim of the paper is to enhanc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s users and information design, and in turn, the forms of information provided to children are presented in various forms of design. In this research, we mainly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 study the way pine dinning in the space trying to attract children to the primary users of space, and utilize this to develop Way Pine for children I would like to propose works on Ding improvement. First of all, with regard to information design, we studie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way pining system and elements of the child-centered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on and emotion of the child. We also analyzed successful cases of Way Finding produced reflecting attributes or emotional characteristics whether children prefer or not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parks for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Based on this, based on the preference of being in the shape of a chil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iaget's cognitive theory according to each place, it is possible to stimulate a child emotionally, to promote creativity I devoted myself to making a design that can be useful. We developed a total of 65 graphics simplified so as to draw out the imagination of a child, and suggested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sign system and the map, respectively. The sign system developed a signature system that positively uses graphics developed to induce interest for children who feel the image more closely than sentences rather than texts alone. So that children can use the information and develop it cognitively. Especially interested in graphics and focused on guiding the child to be able to approach the information first by actively selfing so that it is possible for the child to find his way even without the help of the guardian It is. You can know that graphics has the power to cause not only information but also emotional reactions. We considered the graphics used in this study to be able to be made with important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of the chil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 as to be able to enhance a variety of rich aesthetic sense than present by manufacturing in a variety of ways in the morphological expression of graphics as an element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children, I tried to make it based on o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so that there is no distortion. Also,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area of the park is mainly used, centering on colors preferred by children.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adults made meaning to make it possible to reach the destination easily and accurately without character information. The height of the sign system also tried to make it possible to satisfy as many users as possible, reflec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s body and adults. By doing this we expect that designs based on various forms of graphics are developed for children's designs in various parts as well as parks. If the design for users is provided, with users' understanding of users actually utilizing a real target slightly less than the design made according to the manual produced by the average statistics only, the user is in order to use the information, suffer There will be less difficulty. Therefore, as children become visually interested and interested in information, they are in order to accept information about it,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as children become visually interested and become more interested in information, activ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understanding will increase for accepting infor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4 A. 정보디자인 4 1. 정보디자인 정의 4 2.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5 3. 정보디자인의 영역 7 B. 웨이파인딩 8 1. 웨이파인딩 개념 8 2. 웨이파인딩 시스템 9 C.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 19 1. 유니버설 디자인 19 2. 어린이 중심 디자인 22 3. 어린이 인지 능력 28 Ⅲ. 어린이 공원 웨이파인딩 시스템에 관한 사례 및 현황 연구 33 A. 어린이 웨이파인딩 시스템 적용 사례 33 B. 국내외 어린이 공원 웨이파인딩 시스템 현황 42 C. 사례 종합 62 Ⅳ.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대공원의 웨이파인딩 제안 63 A. 대상 분석 63 1. 도시공원과 어린이대공원의 개념 및 특성 63 2. 서울 어린이 대공원의 현황 및 분석 65 B. 설문조사 72 C. 디자인 목표 및 컨셉 79 D. 디자인 표현 방법 및 범위 80 1. 디자인 개발 84 2. 디자인 제안 109 3. 디자인 활용 사례 127 Ⅴ. 결론 130 A. 결론 130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안 132 참고문헌 133 부록1. 설문지 136 부록2. 설문지 139 ABSTRACT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847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어린이를 위한 웨이파인딩 개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픽토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of Way Finding for Children : Focused on Seoul children’s Grand park-
dc.format.pagex,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