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4 Download: 0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FTA)와 이에 따른 대응 유형 및 전략

Title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FTA)와 이에 따른 대응 유형 및 전략
Other Titles
Face-Threatening Acts and Response Strategy during an Interpellation Session at Korea's National Assembly
Authors
오선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 논문은 Brown & Levinson의 FTA(Face-Threatening Acts) 이론이 정치 담화 내에서 실현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국회 대정부질문을 대상으로 질의자의 질문에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와 이에 대한 청자의 대응을 분석한 연구이다. FTA 이론은 국어학에서는 그동안 공손 이론을 이르는 말로써 특정 연구자가 제안하고 명명한 이론으로 다루어져 왔다. 이 때문에 누가 체면 위협을 받을 수 있는지, 체면 종류에 따라 화자와 청자의 체면을 손상할 수 있는 상황은 무엇인지, 체면위협행위를 받았을 때 응답의 유형은 무엇이 있는지, 또 최면위협행위를 최소화하거나 최대화하는 전략은 무엇인지 등 다각적이고 단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보단 공손전략의 동의어로 체면위협 완화 행위가 존재한다는 정도로만 인식되어 왔다. 일부 사회학 분야에서는 체면(face)을 한국 사회의 특수성에 맞게 용어의 의미를 재정의를 시도하였고 커뮤니케이션 소통 모델로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문장 이하의 언어단위까지 세부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체면(face)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회 공적 이미지이고 사람들의 언어행위를 통해 위협받을 수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발화자들은 체면위협행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화하지만 군대, 법정, 병원, 정치 분야 등 일부 담화에서는 체면위협행위를 최소화하려는 노력보단 전략적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최소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모든 발화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지시화행을 할 때를 비교해 보면 체면위협행위를 최소화하고 최대화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자가 청자에게 창문을 닫아 달라는 지시를 할 때 ‘조금 추운 거 같지 않니?’라고 발화할 수도 있고 ‘야. 문 닫아.’라고 할 수도 있다. 모두 동일한 발화수반력을 가지고 있고, 타인으로부터 방해받고 싶지 않은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발화들이다. 이때 직접적으로 닫으라는 말보다 전자의 예시처럼 ‘춥지 않냐’고 간접적으로 물음으로써 상대가 받을 위협을 최소화 노력을 화자가 할 수도 있다. 반대로 후자의 예문처럼 같은 의미일지라도 상대의 체면을 더 위협하는 언어행위를 할 수도 있다. 같은 의미이지만 어떤 표현을 하느냐에 따라 청자가 받게 되면 체면위협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발화의 특수성에 따라 체면위협행위의 강화 및 완화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정치적인 발화를 할 때이다. 특히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는 질의자가 응답자에게 다양한 체면위협행위를 하고 이 과정에서 응답자는 수긍, 방어, 공격, 타협, 거절, 회피 등의 응답을 사실관계와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서 응답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이를 표현하는 언어선택이 전략적으로 구현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경어법 사용 유무가 언어표현 결과의 절대적이었다면 정치 발화에서는 질의자·응답자 모두 합쇼체와 해요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포착하지 못했던 언어 표현들을 관찰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체면위협행위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체면위협행위 이론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해보았다. 더불어 체면위협행위에 근간을 두고 있는 후속 연구 중 의도적으로 체면위협행위를 극대화하는 불손(Impoliteness) 이론과 체면위협행위를 받았을 때 응답 유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질의자가 응답자의 적극적 체면을 어떻게 위협하는지, 이에 대한 응답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고, 마찬가지로 Ⅳ장에서는 소극적체면 위협상황을 동일하게 검토하였다.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타나는 체면위협상황의 분류는 Brown & Levinson(1987)에서 제시된 청자의 적극적·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상황을 참고하였다. Ⅴ장에서는 질의자에게 체면위협을 받은 응답자가 질의자에게 답변할 때, 답변의 내용이 질의자의 의견과 비동의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보았다. Ⅵ장 결론 부분은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짚어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FTA(Face-Threathening Acts) of questioner and strategy used by respondent during an interpellation se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According to the Law of National Assembly, a congressman can request a response from minister on the matters of national politics and the minister has to reply to each question during the interpellation sessions for 20 minutes. Questions can include the issues related to the diplomacy, national defense, reunification, economy, education, society and etc. In this study I analyze the interpellation session of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FTA. FTA is a theory suggested by Brown & Levinson (1987), based on Goffman (1967)’s notion of ‘face’. Face is the public self-image that every member wants to claim for himself, consisting of two related aspects: positive face and negative face (Brown & Levinson, 1987). FTA is a speech act and the speaker and hearer’s face can be threatened. Brown & Levinson insisted that every person tries to redress the face threatening act in interaction. Most prior research on FTA and National Assembly didn’t focus on language. Most researchers confused Politeness and FTA theory. Impoliteness strategy must be redressed as well. Especially a political language has such a character that it maximizes the face threatening act and can be used strategically. If the National Assembly speech will be studied, we can know, whose face was threatened, what happened and how to use linguistic expressions. In my research, firstly, I divide the questions into six categories – criticism, blame, ridicule, requestion, order, suggestion and advice – according to the FTA situation. Secondly, I focus on respondent’s answers when their ‘face’ is threatened by questioner. Thirdly, I analyze strategies used in responses and see whether the respondent will reply back with FTA. I strongly believe that my study can impact linguistics and politics. Moreover, it will give an opportunity to shed a light on the conversation using FTA, and more specifically the political dialogue between congressman and minis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