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백석 시의 멜랑콜리적 언술 구조

Title
백석 시의 멜랑콜리적 언술 구조
Other Titles
A Study on Melancholic Discourse Structures in Baek Seok’s Poem
Authors
서은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Since melancholy is classified as an emotional or psychopathological notion, it is mentioned in most literary work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way that narrators with melancholy speaks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narrators without melancholy and the major sentiment in Baek Seok’s poems is melancholy, this research aim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ancholic discourse structure in Baek Seok’s poems. Chapter Ⅱ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elancholic narrators who try to summon memories of their peaceful hometowns but fail to do so are embodied through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Since the narrators have never possessed the lost objects, those objects cannot be achieved or summoned. As a result, the narrators repetitively summon those objects. As a trick to deny the loss, melancholic narrators deny the loss that they suffered and repetitively summon the objects and fail to achieve them because if they accept the loss, they can no longer summon those objects. This endless cycle of summoning and its failure is materialized through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In order to rebuild the fantasy world of his childhood, Baek Seok repetitively uses abdominal transformative endings and case-marking postpositional particles of time and place. Delaying the achievement of the objects is the same as delaying failure and permanent denial of loss. In addition, in order to concretely reproduce the objects, Baek Seok juxtaposes nouns. By doing so, seemingly heterogeneous nouns harmonize with each other and reproduce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childhood.Ⅲ presents that the loss that melancholic subjects undergo as they enter the Symbolic is fundamental and they collect the signifier to make up for the sense of loss. Melancholic narrators incessantly absorb and internalize the signifier to replace the objects. However, since the world is fundamentally consist of the signifier without the signified, the melancholic subjects who cannot find the signified only floats around the signifier. Therefore, metonymy is a major discourse strategy of melancholic narrators. To analyze the discourse of melancholic narrators who lost the signified, this research observes the pattern that the signifier is collected following melancholic subjects’ eyes based on adjacency and the pattern that melancholic subjects float around the signifier following the stream of their consciousness. Since Baek Seok attempted to rebuild his own order under the patriarchic order of language, this research also focuses on the fact that Baek Seok did not withdraw into melancholy, but tried to sublimate the melancholy. Discourse of Baek Seok’s poems is materialized mostly through repetition and metonymy. Baek Seok tries to summon and reproduce the lost objects, the memories of the childhood and community, through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In addition, to achieve the objects that melancholic narrators have never achieved, Baek Seok constantly uses metonymy as a mean to express melancholic narrators who float around the signifier based on the adjacency of sight and consciousness. Since complete reproduction of the objects is impossible, the tortuous journey of melancholic narrators to find their objects is embodied through repetition and metonymy. ;멜랑콜리는 정서 혹은 정신병리적 영역에 속해 있어 대부분의 문학 작품에서 언급되는 요소다. 멜랑콜리커의 말하기 방식은 그렇지 않은 이들의 것과 구분된다는 점, 그리고 백석 시에 나타나는 주된 정조는 멜랑콜리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본고는 백석의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적 언술 구조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Ⅱ장에서는 안온하던 과거의 고향을 소환하려 시도하나 좌절하는 멜랑콜리커의 특징이 반복과 병렬의 언술을 통해 형상화됨을 살펴보았다. 상실의 대상은 사실 소유된 적도 없기에 성취 불가능하고, 때문에 대상의 소환 역시 완수되지 않으므로 끝없이 반복된다. 멜랑콜리적 주체는 상실을 부정하기 위한 책략으로 대상의 소환과 성취의 실패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상실을 인정하면 대상을 더 이상 소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지속되는 소환과 실패의 반복 순환은 반복과 병렬로 구체화된다. 유년기의 환상적 세계를 재구축하기 위해 백석은 이야기를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는 관형사형 전성어미와 시간, 처소의 격조사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대상의 성취 지연은 곧 실패 지연이며, 또 상실에 대한 영원한 부인이 된다. 또한 멜랑콜리적 주체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책략으로 백석은 명사를 병렬하여 구체성을 확보한다. 얼핏 이질적으로 보이는 명사들이 조화로운 공동체를 이루며 유년기의 평화로움과 안전함을 재현한다. Ⅲ장에서는 멜랑콜리적 주체들이 상징계로 진입하며 겪는 상실을 근원적이라 보고, 이 근원적 상실감을 채우기 위하여 기표들을 수집함을 분석하였다. 멜랑콜리커는 대상을 대신할 기표를 끊임없이 섭취하고 내면화하나, 세계는 본질적으로 기의가 존재하지 않는 기표만 존재하는 곳이다. 따라서 기의를 찾지 못하는 주체는 기표를 옮겨다니며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환유는 멜랑콜리커의 주된 언술 책략이 된다. 백석 시에서 시선의 이동을 통해 인접성에 근거한 기표들을 수집하는 양상과, 의식의 흐름에 따라 기표를 부유하는 양상을 관찰하며 기의를 상실한 멜랑콜리커의 언술을 분석했다. 또한 아버지의 질서로 표상되는 언어 질서 속에서 지극히 개인적인 질서를 재구축하려했다는 점에서, 백석의 시 쓰기는 멜랑콜리에 침잠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승화하려 하기도 했음을 눈여겨보았다. 백석 시의 언술은 크게 반복과 환유의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상실한 대상인 유년과 공동체의 기억을 반복과 병렬의 언술을 통해 소환하고 재현하려 했으며, 성취된 적 없는 대상을 성취하려는 몸짓의 일환으로 시선과 의식의 인접성에 근거하여 기표의 부유로서 환유의 언술을 지속적으로 구사한다. 대상을 완전히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단 점에서 멜랑콜리커의 대상을 찾기 위한 지난한 여정은 반복과 환유의 언술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