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사물놀이 수업 원리 및 지도 방안 개발

Title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사물놀이 수업 원리 및 지도 방안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사물놀이 Based on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Authors
이승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amulnori principles, models and guidances using the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ory and developed for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is a theory that forms a symbol system based on human musical experience and pursues music experience of internal feeling. Based on this, the principles, models and guidance of the class were developed by The guidance is consists of four period classes. According to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ory, the principles and models were constructed to enactive forms utilizing the body, imagery forms using images and photographs, symbolic forms using musical score. Using the cognitive thinking process as well as the forms, it was structured so as to develop into advanced cognitive thinking through the first period to the fourth period. The principles and the models are divided into four period classes, and the teaching plan is established based on this. In the first period of beginner cognitive thinking, the types of participation, retrospection, refinement, and reinforcement were used. It indicate that learning play a musical instrument, to learn in accordance with the playing method and play it by oneself. The second and third period were developed for intermediate cognitive thinking that contains types of transition, application, extension, and diversification. In the second period, performed activities such as expressing in body, learning , playing iconic musical score. During the third period, doing activities such as learning a tempo and dynamic marks, adding tempo and dynamics where he wanted, presenting own’s music. In the last fourth period were developed for advanced cognitive thinking that contains synthesis, analysis, and evaluation. It composed of playing in group, creating own’s music, and mutual evaluation after listening friend’s presentation. Based on the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ory, the principle, models and guidance of Samulnori class were investigating validation by 10 current teachers and experts in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st, It is expected that composition and content of whole guidance is appropriate an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amulnori. However, it seems to be insufficient as appropriate activities for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Second,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was found to be sufficiently possible. Third, most experts commented that it was evaluated as a development of class that can giv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However, the lack of musical instruments and space to play Samulnori, and the necessity of teacher’s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were suggested in order to teach Samulnori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at to play Samulnori using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ory will make students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music and raise their self-esteem about culture. Nonetheless, it was suggested that a suitable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so that the above advantages would not be lost due to the lack of musical instruments and space. I hope generative theory shall be used for not only samulnori but also national music training for the beaut, interest and inspiration of fostering the student.;본 연구는 보드만(E.Boardman)의 생성적 음악교수 이론을 활용한 사물놀이 수업 원리, 모형 및 지도안 개발을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은 인간의 음악적 경험을 토대로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내면적 느낌의 음악경험을 추구하는 교수이론으로, 이를 토대로 영남가락 중 별달거리를 제재곡으로하여 수업의 원리, 모형 및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지도안은 총 4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따라 신체를 활용한 작동적 양식, 영상과 사진 등의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적 양식, 악보를 활용한 상징적 양식을 사용하여 그에 따른 활동을 차시에 맞게 원리와 모형을 구성하였다. 양식뿐만이 아니라 인지적 사고과정을 이용하여 1차시에서 4차시로 갈수록 고급 인지사고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원리와 모형은 4차시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1차시의 초급인지사고에서는 참여, 회상, 세련화, 강화의 유형을 사용하였으며 악기의 연주법 배우기, 연주법에 맞게 <인사굿> 배우기, 스스로 연주하기로 나타냈다. 2,3차시는 중급인지사고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중급 인지사고에서는 전환, 전이, 적용, 확장, 다양화의 유형이 포함되어 있다. 2차시 때는 신체로 표현하기, <별달거리>구음과 연주법 배우기, 영상적 악보보고 연주하기의 활동을 하였으며 3차시 때는 빠르기, 셈여림 배우기, 자신이 원하는 곳에 빠르기, 셈여림 추가하기, 자신의 음악 발표하기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4차시에서는 고급 인지사고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고급 인지사고에서는 종합, 분석, 평가의 영역이 포함되어 있고, 조별로 연주하기, 자신의 음악 창작하기, 친구들 발표 듣고 상호평가하기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작성된 생성적 교수이론을 활용한 사물놀이 수업 원리와 모형, 수업 지도안은 현직교사와 음악교육의 전문가 10명에게 타당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지도안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적합성이 적절하며 이를 통해 사물놀이의 개념 이해도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하지만, 인지적 발달 과정의 활동으로는 부족할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현장적용 가능성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인 전문가의 의견으로는 국악과 관련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전해줄 수 있는 수업 개발이라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사물놀이를 전체 학생이 연주 할 수 있는 악기의 부족, 공간 협소라는 점과 사물놀이 수업을 하기위해서는 교사들의 국악 연수에 대한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로부터 연구자의 결론 및 제언은 생성적 음악교육이론을 활용한 사물놀이 활동들이 학생들에게 국악의 흥미를 갖게 할 것이며,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충분히 높일 수 있지만, 학교의 교구부족, 공간 협소 등이 나타나지 않게 사물놀이 수업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교사의 국악 연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더 많은 국악교육 제재의 적용을 기대하였다. 사물놀이의 수업 뿐 만이 아니라 많은 국악교육 제재에 생성적 음악 교수이론이 활용되어 학생들에게 국악에 대한 아름다움과 흥미를 더욱 더 고취시켜주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