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공공서비스 영역의 벽면 타일 패턴 그래픽 개발연구

Title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공공서비스 영역의 벽면 타일 패턴 그래픽 개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all Tile Pattern Graphic for the Public Service Area in Seoul Metro
Authors
박해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위치한 공공서비스 영역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고려한 패턴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서비스는 공공체의 만족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역할하고 있는데 이는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 제안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하루에 약 800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서울 지하철은 면적대비 높은 공공서비스 밀집도를 보이는 공간으로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통해 이용객에게 보다 나은 지하 환경 및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개개인의 일상의 영역에 자연스럽게 개입되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는 데서 의미를 볼 수 있다. 개개인의 편의 향상은 공동체의 만족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공공서비스는 지속적인 활성화를 통한 확장이 필요한 서비스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역사 내 공공서비스는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는 규모에 비해 디자인 시스템 등의 질적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결국엔 비효율성으로 인한 빠른 생성과 사라짐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디자인의 정비를 통한 공공으로의 관심 제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측면에 입각하여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 및 공공영역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공공디자인을 심미적, 환경적,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지하철 역사의 공공디자인 필요성 및 개선방향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또한 지하철 역사 벽면 타일에 적용되기 적합한 모듈 디자인 방식인 ‘패턴’의 접근법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이를 통해 첫째, 공공서비스가 가진 기능적 요소의 시각화를 통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기능적인 패턴으로, 둘째, 단순 명료하지만 직관적인 표현을 통한 효율적 소통이 가능한 패턴으로, 셋째, 간단한 그래픽 유닛의 반복으로 인한 오차 범위 축소 및 효율성 제고가 가능한 패턴으로 디자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의 영역을 도서 및 휴식, 물품보관 및 택배, 비상 및 안전 서비스의 세 분류로 나누어 각 속성에 따라 연상되는 특성과 키워드를 통해 정리한 뒤, 그 특성을 표현하는데 디자인 초점을 맞추고 있다. 표현 단계에 따라 분위기를 통해 전달하는 A 타입, 보다 상징적이며 비교적 구체적인 인상으로 공공서비스의 분위기를 표현함에 중점을 둔 B 타입, 그 형태가 완전히 인식 가능한 비교적 구체적인 모티브를 묘사하며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C 타입으로 디자인을 제안하며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이를 통해 밀폐되고 답답한 지하공간인 지하철 역사 내의 색다른 시각 표현법이자 공공을 위한 디자인으로써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오늘같이 지역 경제와 관광산업이 활성화되어있는 세계화 시대에 지하철 역사와 같은 대중교통 영역은 도시 인상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공공 영역의 디자인 제고가 필요한 영역이다. 하지만 여전히 상업적 가치창출 수단에 초점 맞춘 디자인으로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디자인이 실제로 수행할 수 있고, 수행해야만 하는 다양한 정치, 사회, 문화적 역할들을 외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역사 내 공공서비스 영역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본 연구가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시키는데 있어 기초연구 자료 및 디자인 시도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a pattern design considering the publicness in the public service area located in the subway station of Seoul. Public services serve as an indicat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public satisfaction, which is meaningful as a design proposal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public services. The Seoul subway, which is used by more than 8 million people a day, has a dense public service density compared to the area. It provides better underground environment and convenience to users through various public servic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naturally intervening in an individual's daily life. Since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convenie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public services can be seen as services that need to be expanded through continuous activation. However, the public service in the history is not supported by the qualitative support of the design system compared with the scale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eventually it is repeatedly generated and disappear due to the inefficien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ais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improvement of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public design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public desig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ubway history by classifying public design into aesthetic,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ublic service and public domain. In addition, the design is being developed through the 'pattern' approach, which is a module design method suitable for subway historical wall tiles. First, it is a functional pattern that provides practical help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functional elements of public services. Second, it is a pattern that enables efficient communication through simple but intuitive expression. Third, Design goals are set in a pattern that can reduce the scope and improve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ublic service area into three categories: book and rest, store and courier, emergency and safety service, . Type A, which conveys through the atmosphere according to the stage of expression; Type B, which focuses on expressing the mood of the public service with a more symbolic and relatively specific impression. It depicts a relatively specific motif that the form is fully recognizable and focuses on message delivery. We have experimented with various possibilities by suggesting a C type design. Through this, I hope to be able to function as a design for the public as well as a different way of visual expression in the subway history which is an underground space that is sealed and tigh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here local economy and tourism industry are active today,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the history of subway has a great influence on deciding on the city increas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public area. However, attention is still focused on designs that focus on commercial value creation tools. This can result in the designer ignoring the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roles that a design can actually perform and must perfor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ing the design of public service area in the histor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and design attempts to solve this imbal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