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무역전시회의 기업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전시 공간 형태 디자인 연구

Title
무역전시회의 기업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전시 공간 형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rporate Exhibition Spatial Form Design at Trade Fairs for Brand Differentiation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Trade fairs are a very intense and competitive marketing environment where many companies in the industry compete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corporates try to convey their marketing goals in a very limited time and space phase. This study focuses on the exhibition space of trade fair in terms of brand different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of the elements of the exhibition space affects the spectators to recognize the distinctive presence and image of the corporates’s brand. From this point of view,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exhibition space in trade exhibition was carri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he tendency of the roles and expression of these elements then transmitted into survey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factors tha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and differenctions of the corporate’s exhibition spatial design. and show how they play a role in the recent exhibition space design. Also, the study demonstrated on clarifying how the factor strengthens the brand recognition when applied in the exhibition spa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mo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exhibition space, the first thing that is perceived by the spectators is the spatial form of the exhibition space. In the method of expressing it, the form by monolithic structure and figurative, representative form are important means of brand differentiation. Also, since the brand communication at trade fairs is highly instantaneous and immediate, it is important that the exhibition spatial design is expressed in a very unique and lively way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Next, the study proposes a design case study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to support an empirical basis for the thesis. For the design study, a brand was selected and analyzed then carried out by focusing on what may seem as a attractive formal structure in the trade fair environment. The design case study,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spatial structure study and alternative review, is expected to be a basis for research on exhibition space design from marketing point of view and to present a reasonable direction for effective exhibition and operation.;무역전시회는 해당 산업분야의 수많은 기업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경쟁하는 매우 치열한 마케팅 환경이다. 즉, 기업들은 한정된 시간과 공간 속에서 매우 압축적이지만 강렬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차별화의 관점에서 무역전시회 전시 공간을 조명하였다. 이에 전시 공간의 요소들 중 무엇이 관람객에게 브랜드의 차별화된 존재감과 이미지를 인지시키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역전시회 전시 공간의 구성요소를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이들이 최근의 전시 공간 디자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며 표현되는 경향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무역전시회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기업의 전시 공간 디자인을 차별화 시키는데 어떤 요소가 유의하게 작용하였으며, 각 요소들이 어떻게 적용되고 표현되었을 때 브랜드 인지를 강화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시 공간의 디자인 요소 중 관람객에게 가장 먼저 지각되어 특정 부스를 다른 부스들과 차별화 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간의 형태이다. 이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개방적인 공간 형태보다 단일체적인 공간 형태가 시각적으로 더욱 효과적이며 추상적인 형태보다 구상적 형태가 관람객에게 브랜드를 환기시키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순간적이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시 공간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것은 매우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전시 환경이며 일상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독특한 공간 경험을 지원하는 디자인과 표현이 브랜드 차별화 전략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상의 전시 공간 디자인 사례를 연구하여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상 기업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무역전시회 환경에서 매력적인 공간의 형태에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공간 구조 스터디와 대안 검토를 통해 발전된 본 연구의 디자인 사례는 마케팅 관점에서의 전시 공간 디자인 연구의 기초가 되며 효과적인 전시 운영을 위한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