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지형건축적 접근에 의한 환경디자인 연구

Title
지형건축적 접근에 의한 환경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ed by Topographical Architecture
Authors
서여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끊임없이 도시화하는 현대 사회는 자연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짐에 따라 자연환경과 인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중요시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민의 삶 속에서 자연에 대한 욕구를 해결하고자 자연과 건축의 통합을 도모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필요성의 변화에 따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의미는 점차 확장되어 그 개념이 모호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과 건축의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도록 하는 구축작업을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보다 구체적인 실행 방법으로써, 건축이 땅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영역인 지형건축(Topographical Architecture)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학회지를 통해 지형건축에 나타난 영역의 융합 특성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연구를 더욱 심층적으로 발전시키고자, 지형건축적 접근을 통하여 공공 휴게 공간을 지원하는 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하는 실증적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형건축은 땅의 속성을 탐구하고 구축작업에 반영하여 지형을 건축적으로 재현한다. 이 과정에서 자연 요소를 핵심적인 가치로 여기어 공간 구축에 반영하므로 지형건축은 자연생태계가 지니는 정성적 효율성을 공간 안에서 극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도시화가 심화되는 환경이 불가피한 현대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드는 장이며, 이러한 활동의 장은 자연과 함께 더불어 존재해야 더욱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생활에서 증대되는 자연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지형건축의 특성을 공공환경디자인 개념에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서, 자연의 경험과 동반한 활동의 장을 제공하는 지원성이 강화된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하여 도시민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자가 지형건축에 주목하게 된 전반적인 배경을 설명한다. 연구의 범위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에서 비롯하되 ‘땅’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건축 공간으로 대상 범위를 한정하고 연구의 과정 체계를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자연과 건축과의 관계에 변화에 따른 새로운 건축적 출현으로써 지형건축의 배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에서 구체적으로 비롯된 지형건축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지형건축의 개념이 드러나는 일반적인 사례를 통하여 관련 영역들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지형건축은 영역적으로 융합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형건축은 건축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의 한계점을 극복하며 자연의 가치와 건축적 요구를 절충하고, 자연환경과 건조 환경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도록 경계를 허물어 환경적 정체성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지형건축의 영역적 융합 특성으로부터 파악한 내용을 토대로 지형건축의 특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지형건축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자연과 건조 환경의 경계, 땅의 표면 및 의미, 주어진 장소의 맥락을 다룬다. 특히, 이를 1) 경계의 모호성, 2) 지표면의 유동성, 3) 땅의 장소성, 4) 맥락적 오브제성으로 구분하여 사례 분석 및 관련 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4장에서는 지형건축적 접근을 적용한 실증적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연에 순응하는 건축으로써의 지형건축은 구축작업에서 자연 훼손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구조적인 시설물을 권고하는 도시공원 설치 기준과 같은 맥락을 하는 공공시설물에 주목하여, 지형건축의 특성이 적용된 지원성 강화를 위한 공공환경디자인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도시화를 막을 수 없는 환경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친밀하게 하여 도시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하도록 집중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현시대는 자연과 건조물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통합적인 사고가 요구된다. 이에 지형건축적 공간은 도시민의 삶 속에서 자연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건축적 작업의 역할을 한다. 이는 형태적으로만 경관적 가치를 증진할 뿐만 아니라, 도시화 시대에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활동의 장을 마련하기에 건축적 공간을 매개로 자연과 인간이 소통 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도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지형건축적 공간은 자연과 건축의 통합적 구축작업의 방법으로써 이 시대와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As the demand for nature becomes more urgent in the constantly urbanizing city, the modern society has been aiming for an ecological paradigm which emphasiz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In order to solve the desire for the nature in city life, the Landscape Architecture which aims for the integration of nature and architecture, has emerged. However, the meaning of its concept has been gradually expanded that now its meaning becomes ambiguous due to the changes in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social necess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which is the area where architectu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and, as more concrete implementation method tha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oncept, in order to construct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Based on a such background, the researcher had proceeded the basic study about Topographical Architecture through the 「Study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Territory Revealed in Topographical Architecture」, which wa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ubstantiative design study which suggests a facility design that affords public facility environment through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al approach in order to develop the research further in depth.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explores the nature of the land and reflects it in the construction operations and thus, reenacts topography architecturally. Through this process, the natural elements are considered as a core value ​​and reflected in the spatial construction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and maximizes the qualitative efficiency of the natural ecosystem within the space. If the urbanization in the current society is inevitable, then the field that creates th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should be developed, and the field for human activity is more valuable when it comes with the na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which established the basis to satisfy the needs of the nature in the urban life, was applied to the concept of public environmenta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improved environment for the better quality of city life, by proposing a public facility design with enhanced Affordance that provides the field of activities accompanied with the experience of the nature. To do this, the research was proceeded as follows. In chapter 1, it explains the overall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attention to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but limited to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and' and the process for the research was set up. In Chapter 2, as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is emerg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changes, and the background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was reviewed based on the change of periodical needs. In addition, the concept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which specifically arose from the Landscape Architecture concept, was studi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Through the general case studies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that reveals its concept, the related territories were found and thus, the fact that Topographical Architecture is formed by territorially converged, was comprehended. Thus, it was realized that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performs a formation of environmental identity and build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built environment by overcoming the limitation when the architecture exists solely, and compromises the value of nature and architectural requirements. In Chapter 3,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was studied in further detail based on the contents acquired from the territorial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deals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na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the surface of the land, the meaning of the land, and the contextualism of the place, in order to affil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closely. Such elements were developed into detailed categories; 1)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2) the fluidity of the surface, 3) the placeness of the land, and 4) the contextual objectivity.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was found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In Chapter 4, a positive design study through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al approach was processed. As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has the concept of conformation to the nature, it optimizes natural degradation in the architectural work. Therefore, as the standard of the public park facility installation has the same context as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e in terms of minimizing the structural facility, the final design of affordably enhanced public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Architecture was propose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urrent environment which urbanization can not be avoid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humans should be intimately focus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ity life. Therefore, the present society of pursuing pluralistic values ​​requires an integrated thought that aims for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built environment. Therefore,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al space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n architectural work that reminds the importance of nature for the city life. This not only enhances the landscape value morphologically, but also, as it provides a space that interacts with the nature in the era of urbanization, the environment that nature and human communicates can be formed by using architecture as an intermediation. Therefore, the Topographical Architectural space, which contributes to enhance the quality of city life,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modern society, as a way of integrating nature, architecture, and hum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