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김세린-
dc.creator김세린-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3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3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6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6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890-
dc.description.abstract현대 도시디자인의 패러다임은 사람과 사람들이 활동하는 장소 중심의 수평적 네트워크를 중요한 가치로 두며, 도시환경에서 보다 친밀하고 사회·문화적으로 풍부한 공공공간을 요구한다. 도시의 오픈스페이스는 여가와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문화적 교류를 촉진시키는 활동의 장으로서 가치가 증대대고 있으며, 도시의 빛은 물리적 활동영역의 제공, 심미적 연출뿐만 아니라 공간과 이용자 간의 다양한 활동, 경험, 소통을 위한 매개적 역할로써 그 가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오픈스페이스의 야간 환경은 동선 위주의 조도확보를 위한 정량적 조명계획으로 단순한 이용분포와 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장소에 대한 시·공간적 맥락의 이해 없이 부분적으로 과도한 연출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학회 논문을 통해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의 콘텍스트적 접근을 통한 경관조명디자인 표현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연구를 발전시켜 실질적인 디자인 안을 제안함으로써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 장소성을 강화하는 경관조명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하였다. II 장에서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오픈스페이스와 경관조명디자인의 개념과 역할 변화를 이해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 경관조명디자인의 현황과 문제의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장소성의 관점에서 디자인이 이뤄져야함을 인식하였다. III 장에서는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장소성 강화를 위한 디자인 방법으로 콘텍스트적 접근의 가치를 조명하고, 콘텍스트의 유형과 경관조명의 역할을 연계하여 경관조명디자인을 위한 콘텍스트적 접근 구조를 제시하였다. IV 장에서는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경관조명디자인 사례들을 앞 장에서 제시한 디자인 접근 구조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장소성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조명디자인 표현을 도출하였다. V 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대상지의 콘텍스트 분석과 해석을 통한 경관조명디자인을 제안하고, 장소성 강화의 관점에서 디자인 연구를 종합하고 한계점을 밝혔다. VI 장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내린 연구 결과와 의의를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의 다양하고 의미 있는 야간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각 장소의 고유한 시각적·상징적·행태적 측면의 총체적인 콘텍스트 해석에 의한 디자인 접근이 중요하며, 이러한 접근은 장소 이용자들에게 풍부한 시각 경험과 공간 경험을 제공하며 장소 가치에 대한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환경과 이용자 간의 상호 관계성을 증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장소성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조명디자인의 표현과 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장소의 상징적 정체성은 빛을 통한 직접적 오브제화, 은유적 형상화, 형태 구조의 입체화 및 스토리텔링 연출로 표현되며, 이러한 표현들은 장소의 고유성을 강화하게 한다. 장소의 시각적 심미성은 수직적·수평적 밝기 위계 설정, 조도와 휘도의 유기적인 계획, 빛의 강도·색·분포의 리듬과 대비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질서 있고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며 주간과 차별화된 공간성을 창출한다. 장소의 행태적 상호작용성은 비일상적, 연속적, 국부적 빛 분포를 통해 공원 이용자의 접근, 이동, 머무름을 지원하며, 새로운 기술·매체와 결합된 유희적 체험요소 및 변화하는 장면과 시퀀스의 구성은 능동적 공간 경험을 풍부하게 한다. 본 연구는 장소의 본질적 특성에 주목한 디자인 접근이 도시 내에 의미 있는 장소를 창출하고 질적인 야간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조명디자인 방법으로써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 그를 위한 구체적인 조명디자인 표현을 도출하고 실질적인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장소성을 강화하는 경관조명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aradigm of contemporary urban design sets on the horizontal network of people and places in which they live in as an important value and it demands the urban environment to have more intimate public spaces that are both socially and culturally rich. The value of open spaces is increasing as they promote various activities in city. The city’s open spaces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isure, relaxation and social, cultural exchanges. Lightings of a city not only provide the right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ies and aesthetic production,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of intermediating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lace. However, the current nighttime environment of the open space is designed poorly focusing only on retaining the right amount of light for passages; or using excessive decora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place. The previous research, ‘A study of Expression of Outdoor Lighting Design through Contextual Approach in Urban Open Space’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rrent issu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designing landscape lighting that enhances the placeness in urban open space by developing practical design proposal. The study proceeds as follows. Chapter I stat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and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II is o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and role of open space and landscape lighting through literature reviews. As to such, the researcher could real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landscape lightings of open spaces which led to recognition of the design in the aspect of placeness. Chapter III introduces the concept of placeness and importance of contextual approach in design for strengthening placeness.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structure of contextual approach by combining the types of context and the role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Chapter IV draws the expression of lighting design that enhances placeness through studying specific cases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design approach which was presented in chapter III. Chapter V proposes an actual landscape lighting design through contextual analysis. It synthesizes the design procedure as in strengthening placeness and states limitation of the design study. Lastly, Chapter VI summarize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create a diverse and meaningful nighttime environment in the city, design approach by analyzing the overall context of the visual, symbolic, and behavioral aspects of the each and unique place is important; and this approach provides a rich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 for the users of the place. Also, the approach enhanc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user by setting emotional consensus on the value of the place. Furthermore, the researcher could derive the expressions and effects of lighting design that enhances the placenes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olic identity of a place is expressed by direct objectification through light, metaphorical shaping, stereotyping of the structural form and storytelling; and these expressions reinforce the uniqueness of the place. Second, the visual aesthetics of a place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a vertical and horizontal brightness hierarchy setting, an systematic plan of illumination and luminance, and a rhythm of intensity, color, and distribution of light, which forms an orderly and harmonious landscape. Lastly, behavioral interaction of place supports access, movement and retention of park users through non-routine, continuous and local light distribution. The amusement experience elements combined with new technology and media, and the composition of changing scenes and sequences enrich the spatial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design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is valuable as a lighting design method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ative night environment by creating meaningful places in the city. The value of the study lays in guiding the direction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that enhances the placeness by proposing specific lighting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의 경관조명디자인 3 A.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개념 및 역할 3 B. 경관조명디자인의 개념 및 역할 6 C. 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 10 Ⅲ. 장소성 강화를 위한 경관조명디자인 12 A. 장소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 12 B. 콘텍스트적 접근에 의한 장소성 강화 15 C. 경관조명디자인을 위한 콘텍스트적 접근 구조 19 Ⅳ.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경관조명디자인 사례 분석 25 A. 사례 선정 및 분석 기준 25 B. 사례 분석 26 1. 광장 조명디자인 사례 26 2. 공원 조명디자인 사례 34 C. 장소성을 강화하는 경관조명디자인 표현 종합 42 Ⅴ. 장소성을 강화하는 오픈스페이스 경관조명디자인 연구 45 A. 대상지 선정 및 분석 45 B. 디자인 전개 61 C. 디자인 최종안 94 D. 디자인 종합 106 Ⅵ. 결론 108 참고문헌 110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428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장소성 강화를 위한 도시 오픈스페이스 경관조명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콘텍스트적 접근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Open Space for Strengthening Placeness : Focused on Contextual Approach-
dc.format.pageix,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