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업무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업무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e space of office for communication reinforcement
Authors
송다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최근의 기업들은 사회구조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보다 창의적이고 순발력 있는 발상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그에 따라 업무공간의 형태도 조직원들에게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팀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전의 연구에 따르면 창의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조직원들이 자유롭게 만나고 휴식하는 공간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는 곧 기업의 혁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와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업무공간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분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기 위한 방법들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 가능한 디자인모형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학회 논문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오피스 공용공간 디자인 사례에 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 공간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현대 업무공간의 형태 및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변화 및 중요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디자인하기 위한 이론적 도구로서 들뢰즈의 유목적 사고개념을 분석하여 업무공간과 유목적 사고개념의 관계성, 디자인특성 등을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유목적 사고개념의 디자인특성을 토대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실제로 이러한 특성들이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디자인 모형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기업 및 대상지를 선정하고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될 수 있는 구체적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중요하게 여겨지는 업무공간 내 커뮤니케이션과 유목적 사고개념이 서로 관계성을 가지고 이를 디자인적으로 풀어낼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디자인적 이론을 도입하여 타당성 있는 디자인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companies are demanding more creative and quick-thinking communication due to the rapid social structure change.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workspace is changing into a space that can reinforce the teamwork and reinvigorate the team members. According to preliminary research, the creative communication is more active in the space where the organizers are free to meet and rest, leading to innovation of the company.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workspace to provide creative communication, and aims to explore mechanisms to enhance creative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ase analysis, and to present it as an applicable design model. This research focuses on an empirical and advanced studies on the case of office space design for communication enhancement. Then, the work space design to enhance creative communication is discovered. Chapter II examines the change and importance of the forms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modern work space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Deleuze's purpose of thinking as a theoretical tool for designing. Chapter III analyzes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based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the purpose of thinking, which were derived above, and confirm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actively applied. Then, Chapter IV selects the target companies and areas for the study of the design model, and presented specific designs that can enhance communication. The research discovers the exist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in the work space and the concept of the purpose of thinking, which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recent years, and the possible solution in terms of design integ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