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9 Download: 0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을 반영한 무용창작작품「광장」에 나타난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에 관한 연구

Title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을 반영한 무용창작작품「광장」에 나타난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Dance Images i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Square 」 Reflecting the Space Concept of Post-Structuralism
Authors
어수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공간은 과거 객관적이고 무한하며 공허한 공간을 지칭하는 제한된 의미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행동과 교류에 기반하여 경험되는 대상으로서, 역동성과 지속가능성을 내포한 채 맥락화되는 관계의 공간으로 그 관점이 변화하였다. 연구자는 현대공간을 사람들에 의해 끊임없이 의미를 생산해내는 잠재적 이미지 공간이자 해석가능한 텍스트 공간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의미를 무대공간에 투영시켜 다양한 표현방법을 통해 접근하여 극장적 춤이 갖는 제한적 시각을 확장하면서 무대공간이 갖는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공간담론으로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말한 대항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개념과 공간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소멸되는 역동적인 과정이자 사회관계의 반영으로 보는 앙리 르페브르(Henri Lefèbvre)의 공간생산 개념에 주목하여 작품에 적용해 봄으로써, 현대공간의 의미를 무용예술의 관점에서 재인식하고 이를 무대에서 실현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무용예술은 시대 변화와 작가의 견해, 대중의 취향에 따라 표현방식을 달리해 왔는데, 지속적인 재생산과 재창조의 기반으로서 오늘날 무용작품이 실현되고 관객과 만나게 되는 현장인 무대공간의 의미에 대한 재고와 무용작품에서의 공간표현방식의 다각적인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을 갖는다. 연구자는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을 반영한 무용작품「광장」의 창작과 분석에 앞서 철학적 관점에서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예술적 수용에 있어 공간표현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현대공간을 탈중심성, 탈균형성, 불확정성을 특성으로 하는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공간을 변화시키는 주체를 인간의 행위로 규정하면서 이로부터 탈구조에 의한 구축, 상호침투를 통한 중첩, 예측불가능한 이접을 무용예술에 반영할 수 있는 표현의 틀로 유추하여 작품 창작과 분석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무용창작작품「광장」은 속도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삶에서 느끼게 되는 소외와 공존의 문제를 현대공간의 문제로 인식하여, 일상공간에서 느끼게 되는 고독과 소외감이 반복과 중첩의 과정을 거쳐 집단화됨에 따라 참여지향적인 축제로 변화되어 가면서 보여지는 현대인의 모습과 공간의 변화를 주제로 3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의 고독과 단절을 오브제를 이용한 다층적 공간을 구성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2장은 소통의 부재를 통해 고립감을 느끼면서도 사회공간 안에서 정주하지 못하고 부유할 수밖에 없는 유목적 존재로서의 현대인의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3장은 균일화된 공간에서의 역동적인 공간쟁취의 과정과 공간점유가 갖는 무의미성을 담아내면서 현대공간이 내재하고 있는 무한한 역동성을 표현하였다. 각 장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장면구성과 이동경로, 움직임의 특질과 오브제, 영상, 의상, 음악의 설정이 연계성을 갖도록 연출하여 탈구조적 구축, 상호침투적 중첩, 우연적 이접의 표현방식을 형상화 하였다. 이러한 표현의 틀을 통하여 무용창작작품「광장」을 분석한 결과 무대공간은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무대표현요소들의 변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춤이미지를 생산해 내면서 다상적, 탈전유적, 가변적 공간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을 반영한 무용창작작품「광장」을 안무하여 다음과 같이 무대표현공간의 변화에 따른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를 이끌어 내었다. 첫째, 다상적 공간에서의 환영성은 탈구조에 의한 구축의 표현방식을 통해 나타난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로, 오브제를 이용한 움직임의 동시적이고 다층적인 구성을 통하여 무대공간이 갖는 중심성을 해체하였다. 무용수에 의해 이동하는 오브제에 영상을 투사하거나 투사한 영상을 무대공간으로 확대하고 무용수 움직임과 결합하여 복합적으로 실현시키는 과정에서 공간은 확장되고 재창조되었다. 구축된 공간이미지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공간이미지를 생산해 냈는데, 작품을 구성하는 미적 요소들이 단일공간에서 공존하며 동시다발적으로 연출되어 복수의 춤이미지를 형성해 냄으로써 작품은 현실을 더욱 허구적으로 노출시키는 다의미적 환영성을 내포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탈전유적 공간에서의 해체성은 상호침투를 통한 중첩의 표현방식을 통해 나타난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로, 운동감이 상실된 균형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실천적 행위로서 무용수의 움직임에 의해 창출되었다. 무대 안에 구축된 독립 공간들은 오브제와 무용수의 이동, 영상과 무대장치의 사용, 음악과 조명의 전환을 통해 형성되고 흩어지며 다시 응집되는 과정을 지속하는데,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구성과 영상에 의해 가상공간에서 현실공간으로 이행하는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하여 작품 속 이미지들은 무대공간이 갖는 물리적 구획을 불분명하게 하였다. 오브제의 이동이 멈춰 고착화된 무대공간에서 오브제의 위와 아래를 넘나드는 무용수의 역동성은 기존 공간의 의미에 대해 해체적 성격을 갖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이미지들을 상호침투시켜 또 다른 이미지를 생산해 내었다. 셋째, 가변적 공간에서의 메타성은 예측불가능한 이접의 표현방식을 통해 나타나는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로, 무대공간이 전환성, 다양성, 확장가능성을 내포하도록 실존공간, 대항공간, 거울공간으로 구성하여 공간이 갖는 경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이미지 간의 일시적이고 즉흥적인 결합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작품에서 무대표현요소들은 예기치 않은 접촉을 통해 소거되고 확대되는 과정에서 메타적 춤이미지로 발현되며, 통념적 질서를 흐트러뜨리는 무대구성과 오브제의 배치, 음악의 배열을 통해 무대공간이 갖는 개념들을 혼성시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편화되는 공간이미지들은 무용수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되고 리듬을 형성하는 메타적 성격을 내포하며, 무대공간의 가변적 확장성을 확보시키면서 작품 고유의 미적공간을 형성하는 잠재적 이미지들을 실현해 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자는 후기구조주의 공간개념으로 헤테로토피아 특성과 공간생산의 의미를 무용작품에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무용창작작품 「광장」을 전개함으로써 무한한 잠재적 공간으로서 무대공간이 갖는 의의와 무대표현공간의 변화를 이끄는 춤이미지의 예술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실현되는 춤이미지들은 무대표현요소들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의 확장을 통해 공간을 만들고, 다시 확장된 공간으로부터 움직임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상호순환적이고 관계적인 공간으로서 무대공간개념의 변화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움직임이 구현해내는 춤이미지의 창조적 행위는 무대공간이 갖는 기존의 제한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의미와 가치를 생산해내는 공간으로서 지속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In today's modern society, space no longer refers to an objective, infinite and empty space but is an object experienced based on concrete behavior and exchange, and the perspective has changed as a relational space which is contextualized with the connotation of dynamics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intended to expand the limited perspective of theater dance and call public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tage space, by considering the modern space as a potential image space and an interpretable text space whose meaning is constantly produced by people, and by approaching this meaning through reflecting onto the stage space. This study aim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 moder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art of dancing and clarify the artistic meaning of dance images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t on the stage,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heterotopia as a counter-space told by Michel Foucault as a space discourse of post-structuralism as well as the concept of space production supported by Henri Lefèbvre viewing the space as a dynamic space with constant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nd a reflection of social relationship, but also by applying them to the works. The art of dancing has been changing its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opinion of artist and public taste. Today, it is required to study regarding the way of realizing works of dance as a base of constant reproduction and re-creation, reconsider the meaning of stage space where the audience meet the works of dance, and find the multidirectional approach way to express space in the works of dance. Before creating and analyzing the work 「The Square」 reflecting the space concept of post-structuralism, this study inquired into how the awareness of space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has been changed and how the aspect of space expression in artistic acceptance has been changed. This study prepared for the grounds for creation of work and analysis, by viewing the modern space as a space of heterotopia characterized by decentralization, de-balance and indeterminacy, and by analogizing the construction by post-structure, superposition by mutual penetration and unpredictable disjunction as a frame of expression to reflect in the art of dancing.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Square」 consists of three parts based on three themes. It recognized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coexistence felt in life by modern-day people living in the era of speed as problems of modern space. This way, this work shows the aspect of modern-day people and changes of space as their loneliness and alienation become collective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petition and superposition of such feelings while transforming into a participation-oriented festival. The first part symbolically expresses solitude and rupture of individuals living in the modern day by composing multi-level space based on objects. The second part portrays modern-day people as nomadic beings, who are forced to drift around without being able to settle down while feeling alienated by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 third part shows the dynamic process of competition for securing space in the homogenized space and the meaninglessness of space occupation to express the infinite dynamics inherent in the modern space. In the process of composing each part, this work considered the connectivity among scene composition, moving route, features of movement, objects, image projection costumes and setting of music to materialize the expression method such as post-structural construction, superposition of mutual penetration and fortuitous disjunction. After analyzing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Square」 through this frame of expression, the stage space expanded as a variable space with multiple aspects free from monopolization. While constantly producing dance images due to the moving route and movement of the dancer and variation of stage expression elements. This study choreographed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Square」 reflecting the concept of space of post-structuralism and brought the artistic meanings of dance im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tage expression space as follows: Firstly, the illusionary features in the space of multiple aspects refer to artistic significance of dance images represented through the expression method of post-structured construction, and they deconstructed the centrism possessed by the stage space through simultaneous and multi-level composition of movement using objects. The space could be expanded and recreated when the image is projected to the object moved by the dancer, the projected image is expanded towards the stage space and it is combined with the movement of the dancer through the complex realization. The constructed space image produced a new space imag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s. The aesthetic elements composing the work coexist in the single space and are created simultaneously to form the multiple dance images.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this work connotes illusionary features with manifold meanings exposing the reality in a more fictitious manner. Secondly, the deconstructivity in the space free from monopolization refers to artistic meaning of dance images represented through expression method of superposition by mutual penetration. It is an act of practice trying to escape from the balance whose movement sense was lost, and this was created by the movement of the dancer. The independent spaces built inside the stage repeat the process of forming, dispersing and condensing through the objects, movement of dancer, usage of images and stage setting and changes of music and illumination. The images of the work present uncertain physical section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ancer transferring from the virtual space to the real space due to the genre-crossing music composition and images. The dynamics of the dancer moving from the superior part of objects to the inferior part of them in the fixed stage space where the movement of objects are stopped has deconstructive characters of the meaning of the existing space, creating other images by interpenetrating the space images which exist with independence. Thirdly, the metaphor in the variable space refers to artistic meaning of dance images represented through the expression method of unpredictable disjunction. It emerged in the process of inducing temporary and extemporary union among the images while constantly expanding the border of the space, by structuring existential space, counter-space and mirror space in order for the stage space to connote transformability, diversity and extendibility. In this work, the stage expression elements are revealed as metaphoric dance images in the process of being eliminated and expanded through unexpected contacts. The concepts of stage space are mixed through stage setting placement of objects and music arrangement breaking the conventional order. The space images which are being fragmented in this process are connected by the movement of dancer, connote metaphoric features forming the rhythm, and secure the variable extendibility of stage space. This way, potential images forming the intrinsic aesthetic space of the work could be materialized. In sum,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tage space as an infinite potential space and find the artistic meaning of dance images leading the changes in the stage expression space, by developing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Square」 after practical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and the meaning of space production based on the space concept of post-structuralism. The dance images expressed in the work creates a space through the expansion of movement in the process of combining with stage expression elements and the movement is created again in the expanded space. This is considered the changes of stage space concept as a relational space with mutual circul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creative act of dance images expressed by the movement will make the stage space sustainable as a space producing incessant meanings and values, away from the limited conventional perspective of stage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