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 경험

Title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Healing of Women who had been sexually abused by their father
Authors
구혜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healing of women who had been sexually abused by their fath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healing status after social support, since such social support could be an important point for healing research and it includes the clients’efforts and will for healing. In order to vividly include the clients’ experience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ealing experience on the clients and the essence of experience, this research analyzed utiliz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earch question was, “What was the healing experience of the women who have been sexually abused by their fathers like?”. This research collected 5 research participants who reported to the police or received counseling on their fathers’sexual violence.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3 or 4 tim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data 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based on total 4 components and 11 subordinate components, and 29 significance units. analyzed ‘healing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and ‘change through help’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social support. That was a state where festering wound enduring a long hesitant time until their request for help outpoured in a moment. Healing experience that began with help becomes a basis of a new life, however the wound was not clearly heale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und that still remain even after social support. Wound of fathers’sexual violence is consistently hurt and painful. Nevertheless their fathers were defined as the attackers, there’s only superficial severance. Since ‘father’ is frequently mentioned in daily life, the victims frequently recall their fathers along with their memories of damage. Accordingly, the injury caused by the existence of their fathers was located in the position that can not be cut out. However, it became more clear for them to take their attitude as they clearly perceived the actuality of pain. analyzed how the victims endure their pain. Nevertheless the pain was frequently hur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amage experience, they took an active attitude to stand against the wound. They responded to the pain with their own means, and the surrounding people’s support as well as the consola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the same damage helped them endure and stand the wound. In , victims gradually found their selves that were not visible, overwhelmed by the pain. Also, they perceived their wished life and desired world beyond the pain, and strived to be close to the desired figure. The victims gradually received themselves as they viewed themselves including their figures separated from the wound and themselves including pain. In the process, they 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life aspects and the world that they wished, made efforts to become the desired figure, and went forward to become the figure.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reatment experience of the women who received sexual violence committed by their fathers, which this research intended to derive was, ‘a smelting(鍛造) process toward desired life beyond the pain that cannot be cut out’. Lexical meaning of ‘smelting’ is ‘to create necessary form by beating or pressing a metal’(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8). Like the meaning of smelting, the victims made efforts to become more firm, growing power to endure the pain to become the wished figure beyond the pain, instead of focusing on it. They were in the process of becoming the figure, striving to resemble it. However, as the research result,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attackers could visit them eventually, even they reported to the police with difficulty. Besides, improvement is necessary, since there are still several legal· institutional problems of sexual violence damage committed by fathers. Also,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a systematic support process from the early detection of damage to follow-up management should prep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violence damage committed by fat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 경험이 어떠한 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을 받은 이후를 치유의 시점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지원을 받는 행위에 치유를 향한 내담자들의 노력과 의지가 담겨있어 치유 연구의 중요한 시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피해자들의 경험을 생생히 담아내고 이해하며, 피해자의 치유경험이 당사자에게 어떤 의미이고, 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질문은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아버지에 의해 성폭력 피해를 경험했음을 드러내고 경찰에 신고를 하거나 상담을 받은 5명의 연구 참여자가 모집되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최소 3회에서 4회까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 구성요소, 29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 1. 터져 나온 상처와 망설임 끝에 만난 도움>은 사회적 지원에서 경험한 ‘상담에서의 치유’와 ‘도움으로 일어난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피해자들은 도움을 요청하기까지 긴 망설임의 시간을 견뎌왔고, 곪을대로 곪은 상처가 한순간 터져 나온 상태였다. 도움으로 시작된 치유의 경험이 새로운 삶의 발판이 되지만, 깨끗하게 나아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성요소 2. 도려낼 수 없는 자리에 찢기고 덧나는 상처>는 사회적 지원을 받은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상처의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로 인한 상처는 지속적으로 건드려지고 아파오는 것이었다. 아버지가 가해자로 규정되었음에도 표면적인 단절만 있을 뿐이다. ‘아버지’는 일상에서 자주 거론되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자신의 피해 기억들과 함께 아버지를 수시로 떠올리게 된다. 따라서 그 존재에서 비롯된 상처는 도려낼 수 없는 자리에 위치해 있었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고통의 실체를 명확하게 알게 되고, 자신이 어떤 태도를 취하길 원하는 지를 명확히 이해하면서 치유에 가까운 경험을 했다. <구성요소 3. 상처에 맞서 살아내기>에서는 피해자들이 고통을 어떻게 견뎌내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자신이 경험한 피해의 특성으로 인해 수시로 건드려지는 고통이지만 상처에 맞서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다. 자신만의 무기로 고통에 대응했고, 주변 사람들의 지지와 자신과 같은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받는 위로 등은 상처를 견뎌내게 했고 감내해지게 했다. <구성요소 4. 상처 너머의 원하는 삶>에서는 피해자들이 점차 고통에 압도되어 보이지 않았던 본래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 너머에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모습과 원하는 세상이 있음을 인식했고, 그 원하는 모습과 가까워지기 위해 분투하였다. 피해자들은 상처를 분리한 자신의 모습과 상처를 포함한 모습을 바라보면서 점차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모습과 원하는 세상이 있음을 인식하면서 그 모습에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점차 원하는 모습에 가깝게 변해간다는 것에 만족감을 느끼며 치유의 경험을 이어갔다.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했던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는‘도려낼 수 없는 상처 너머의 원하는 삶을 향해 단조(鍛造)하는 과정’이었다. ‘단조’의 사전적 의미는‘금속을 두들기거나 눌러서 필요한 형체로 만드는 일’이다(국립국어원, 2018). 단조라는 의미처럼 피해자들은 도려낼 수 없는 상처에 집중하기보다 그 너머 원하는 모습의 형체에 닮아가기 위해 고통을 참아내는 힘을 기르며, 점차 더 단단해지려고 노력했다. 그 모습에 다가가기 위해 분투하며 결국 그 형체와 점점 닮아가는 과정 중에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분야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의 특성과 치유경험의 특성에 맞춰 피해의 조기발견부터 사후관리까지의 체계적인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피해자들은 어렵게 신고를 했음에도 가해자가 찾아올 수 있다는 가능성에 불안해했다. 이 밖에도 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에 대한 법·제도 상 문제가 여럿 남아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