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실태조사

Title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실태조사
Other Titles
Survey of After- School Music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윤화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석문주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의 음악프로그램의 실태조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초등학교의 방과후 학교를 총괄하는 관리교사와 출강하는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관리교사와 강사 두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관리교사는 학교마다 운영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장 운영하는 교사와 업체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교사로 나누었다. 연구대상은 학교장이 운영하는 교사 38명과 위탁 운영하는 교사 14명으로 총 52명이었다. 강사는 현재 음악프로그램에 출강하고 있는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배경,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음악교육 현황,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로 구성하였으며 집단별인 관리교사와 강사로 다르게 구성하였다. 관리교사 설문지에서 학교장 운영일 경우 22문항과 위탁운영일 경우 19문항, 외부 강사 설문지 경우에는 41문항이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각 설문지당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는 주관식에 대한 응답은 주제별로 분류하고, 이를 빈도분석 하였고 순위로 나열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관리교사와 강사의 인식에 따르면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음악교과수업 외에 다양한 음악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는 학교장 운영과 위탁운영으로 나뉘는데, 두 그룹의 교사들이 대체적으로 관리하는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아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관리교사가 프로그램에 대해 생각하는 문제점으로는 ‘시설확보’, ‘값비싼 수강료’, ‘수준별 수업’ 부분에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재정지원’과 ‘시설확보’를 개선방안으로 꼽았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후 음악프로그램에 출강하고 있는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강사들이 학생들에게 음악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방과후 음악프로그램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에, 강사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으로는 다수의 학생을 가르치기에 수업시간이 부족하다는 것과 재정문제로 관련한 낮은 급여와 학생들에게 악기를 지원하는 부분에 부족한 것이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경력별로 인식하는 차이가 있는지 알기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끝으로, 방과후 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와 강사가 음악프로그램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지만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도 많았다. 관리교사와 강사의 문제점들이 보완되어 학생들에게 조금 더 나은 수업을 제공할 수 있길 바라며, 더 나아가 방과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fter-schoo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gather data for the study,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supervising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after-school programs and outside lecturers in Seoul and Geyonggi-do province. I set up the survey into two groups: supervising teachers and outside lectures. As every school has different ways to supervise after-school programs, I divided supervisors into those who are directly employed by principal and those who are hired by agency or consignment. A group of supervising teachers were 52 in total, including 38 of direct-employment and 14 of entrusted-employment. The other group of outside-lectures were 80 and they were all working in schoo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 categories: general features, recognition on music programs,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and satisfaction on music programs. Each group was asked different individual questions for the same category. I gave 22 questions to directly employed supervisors, 19 to the entrusted, and 41 to the outside-lecturer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I applied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alysis proces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In case of essay questions, I asked the participants to describ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n after-school music programs. Then I classified answers by subjects and analyzed the frequence of occurrence. The study show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ing teachers and outside-lecturers are mostly satisfied with after-school music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n the programs. It is because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have various musical experiences an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t no additional cost. Second, I found out that supervising teacher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after-school programs and they stated the prime reason is that students highly participated in the class. Meanwhile, supervising teachers think that security of facilities, expensive tuition, differentiated instruction are problems of the programs. They suggested some methods such as financial aids and provision facilities. Third, according to the questions on recognition, teachers were higly satisfied with the programs because they provide musical knowledge to students. However, the teachers indicate some problems such as shortage of class hour, low salary related to financial problems, and low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to students. In addition, I tried cross-analyze to find perception gap according to different carriers but failed as it was meaningless statistically. Finally, supervising teachers and outside-lecturers who are major of after-school,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usic program, and there were pointed out as problem. I hope that after school music program will be complemented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nd I hope to continue to develo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