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초임 음악교사의 교사로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초임 음악교사의 교사로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n Intrative Search for Teacher's Experience as a Starting Music Teacher: A Study on the Institutions of the Teacher Training Agency and Music Teachers
Authors
윤선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는 초임음악교사의 교사로서의 경험을 내러티브로 탐구함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임용 전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및 임용 후 교사재교육이 그들의 교사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래포(rapport)관계가 형성된 교직경력 5년 미만의 초임음악교사 세 명을 내러티브 탐구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3회의 면담과 수업관찰 그리고 저널로 이루어졌다. 연구 자료들은 연구 참여자의 뜻에 왜곡되지 않도록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서로 자료를 읽고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의미를 찾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음악교사는 임용 전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음악수업에서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있었으며, 다양한 음악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었다. 또한, 임용 전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은 교사 스스로 교사로서의 가치관과 교육관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초임음악교사가 음악수업을 하는데 있어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임용 전 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학교 업무에 관한 이론적인 교육은 초임음악교사가 실제 학교 현장의 행정적·실무적 업무를 처리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론으로만 배운 교육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기는 힘들었으며, 초임교사는 자신이 발령받는 학교의 시스템을 전혀 모른 채 현장에 들어가기 때문에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초임음악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교사재교육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교사로서의 자아실현을 위한 노력하고 있었다. 초임음악교사들은 매년 있는 지역음악연구회에 참여하여 경력교사로부터 음악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점들을 배우고 다른 학교의 동료교사들과 수업 자료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자신의 음악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마음이 맞는 동료교사들과 비공식적인 모임을 만들어 상호보완적인 형태의 연수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임음악교사는 자신이 발령받게 되는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다른 경험을 겪고 있었다. 중학교 초임음악교사보다 고등학교의 특성 상 고등학교에서 재직하는 초임음악교사가 음악수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고등학교의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에 ‘음악’이라는 교과가 학생들에게 비주류과목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농·어촌 지역의 학교에서 지역의 특성상 학생들의 문화 접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수업에 관련된 교육은 초임음악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학교 업무와 관련된 교육은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임음악교사들이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임음악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그들이 임용 전 배운 교육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실제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임음악교사들이 교사재교육을 경험하며 스스로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며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초임음악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교사재교육이 필요하며,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임음악교사가 발령받게 될 학교의 특성을 미리 알고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교 차원의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초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함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 임용 후 교사재교육이 지금보다 더 실제적이고 지속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 life experiences of the beginning of music teachers in depth by exploring them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teacher re-education on teacher life before hir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ree beginning music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explored with interview with three meetings. The research materials were conducted to find meaning by reading and verifying data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so that they would not be distorted by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ginning music teacher was not having much difficulty in music class due to positive effect of education 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before appointment, and was able to teach various music to students. In addition, the education at the pre-employmen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elped teachers establish their own values and views of education as teachers, and the starting music teacher helped broaden their choices in music classes. Second, the theoretical education on school work at the pre-employment teacher training institute did not help the starting music teacher handle the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work of the actual school site. Education, which was only theoretical at the teachers ' training institute, was difficult to apply in the field, and the starting teacher had difficulty in handling the work as he entered the field without knowing the system of his school. Third, the beginning music teacher was making efforts to enhance his expertise and self-realization as a teacher through various forms of teacher reeducation. Starting music teachers attended the annual local music study, where they could learn from experienced teachers and share their music materials or ideas with fellow teachers at other schools to help them teach music. They also found that they formed informal meetings with their fellow teachers, conducting training sessions on one topic and providing complementary forms of training. Fourth, the beginning music teacher in high school had difficulty in class than music teacher in middle school, and the teacher himself had lower self-esteem. Because of the high school's pre-school education, the subject ' music ' was recognized by students as a fringe subject. Fifth, the beginning music teacher is assigned to a school without knowing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at the school he will be assigned to, and is inconsistent with the learning ability expected by the starting music teacher. In particular, the difficulties emerged from music teachers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rather than urban teachers. The above study found that education related to teaching a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had a positive impact on starting music teachers, but since education related to school work was theoretical and difficult, starting music teachers were applied at the sit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starting music teachers needed hands-on experience in order to be applied at the actual school site. In addition, since starting music teachers were growing themselves through teacher re-education experiences, they needed various teacher restructions for the first music teachers and what they needed. Finally, starting music teachers were informed of the significant assistance from fellow teachers, and starting music teachers were issued to schools and then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at the school level to ensure continued exchange with their peers. In this conclusion, by exploring the teacher experience of primary music teachers, education and re-training teachers after training at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will be improved to be more practical and sustainable than now.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